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거시이론에서 사건사로, 그리고 다시 거시이론으로? -역사사회학의 연구 경향과 새로운 길의 탐색 = From Macro-structural Theories to Event Analyses, and Return to Macro Theories: Trends in Historical Sociology and An Alternative Path of Development in the Fut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5730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역사사회학이 어떤 과정을 거쳐 제도화 되었고, 어떻게 변화되어 왔으며, 앞으로 어떻게 나아가야 할 것인지를 살펴보려고 한다. 이를 위해 우선 사회학의 중심을 이루고 있는 유럽...

      이 글은 역사사회학이 어떤 과정을 거쳐 제도화 되었고, 어떻게 변화되어 왔으며, 앞으로 어떻게 나아가야 할 것인지를 살펴보려고 한다. 이를 위해 우선 사회학의 중심을 이루고 있는 유럽과 미국에서 역사사회학이 자리 잡아간 과정과 변해가는 모습을 검토하려고 한다. 이어서 이러한 제도화와 변화의 과정이 한국의 학문적 상황에서는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를 알기 위해 사회와 역사와 한국사회학 에실린 역사사회학 논문을 경험적으로 분석해보려고 한다. 더 나아가서 앞으로 역사사회학은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며, 그리고 이러한 새로운 방향의 모색에 있어 한국의 역사사회학이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은 무엇인지를 탐색해보는 것이 글의 목적이다. 역사사회학이 사회학의 발전에 미친 긍정적 부정적 영향은 분명하다. 시간의 개념이 들어가지 않는 연구가 가질 수 있는 위험성을 극복하는데 역사사회학이 도움을 준 것은 물론이며 보다 넓게 보면 사회에 대한 심층적 이해도 사회의 형성과 변화에 관한 역사적 접근을 통해 가능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들어 역사사회학은 거시 구조이론에서 미시 사건사와 문화연구로 방향을 바꾸면서 새로운 위기를 맞고 있다. 이는 국내 역사사회학의 연구경향에서도 똑같이 발견되고 있다. 거시구조이론이 가진 몰역사성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이 모색되면서 역사사회학의 연구가 단편화되고 파편화되는 또 다른 위기를 맞이하고 있다. 이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길은 기존 연구가 가진 단점들을 버리고 장점들을 묶어 하나의 총체적 결합으로 나아가는 것에서 찾아질 수 있다. 특히 사건에 근거한 이론 구축을 확대·심화함으로써 사건과 이론을 새롭게 통합함으로써 탈출구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 과정에서 한국 역사사회학은 한국의 역사적 경험 특히 식민/탈식민의 경험에 근거한 새로운 이론구축을 통해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I intend to trace back the institutionalization process of historical sociology in the U. S. and Europe: how it emerged in the academic field, how it was transformed, and how it will be developed in the future. I will also investigate ho...

      In this paper I intend to trace back the institutionalization process of historical sociology in the U. S. and Europe: how it emerged in the academic field, how it was transformed, and how it will be developed in the future. I will also investigate how this general trend is reflected in the research papers of historical sociology in Korea by analyzing those published in Sociology and History (Sahoewa Yoksa) and Korean Journal of Sociology (Hankuk Sahoehak), and how Korean historical sociology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ocial theories. Historical sociology first emerged in the 1970s with a practical purpose of overcoming ahistorical fallacy in the construction of social theories, as most representatively exemplified in functionalism. Despite its great contribution to a deeper understanding of social reality by constructing macro-structural theories, historical sociology faced a new challenge when some scholars criticized decontextualization of these theories and emphasized the necessity to steer its attention towards event analyses and cultural studies. This new trend, when pursued in an extreme form, brought about a new crisis by fragmenting theories of historical sociology and abstracting events from the general social theories. One effective way to solve this crisis is to synthesize events with theories and causality with narratives. Historical sociology in Korea will help in developing new social theories as it can construct them based upon historical experiences of Korean society, especially colonial modernization and decolonization process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사회학"

      2 "한국사회사학회 논문집"

      3 신용하, "한국 사회사의 대상과 ‘이론’의 문제, In 사회사와 사회학" 창작과비평사 561-588, 1982

      4 박명규, "한국 사회사연구의 최근 동향과 이론적 쟁점" 역사문제연구소 (75) : 76-91, 2006

      5 김필동, "최근 한국사회사연구의 성과와 과제: 방법론적 반성 – 한국사회사연구 논문집(제1집 – 21집)의 분석을 중심으로" 24 : 11-43, 1990

      6 채오병, "이행과 번역: 한국 사회사의 역사사회학" 한국사회학회 45 (45): 168-196, 2011

      7 "사회와 역사"

      8 김동노, "거시 구조 이론에서 미시 사건사로 - 미국 역사사회학의 경향과 과제" 한국사회사학회 (63) : 4-122, 2003

      9 Somers, Margaret, "What is Sociology after the Historic Turn, In The Historic Turn in the Human Sciences"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53-89, 1996

      10 Sewell, Willam Jr., "Three Temporalities: Toward an Eventful History, In The Historic Turn in the Human Sciences"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45-280, 1996

      1 "한국사회학"

      2 "한국사회사학회 논문집"

      3 신용하, "한국 사회사의 대상과 ‘이론’의 문제, In 사회사와 사회학" 창작과비평사 561-588, 1982

      4 박명규, "한국 사회사연구의 최근 동향과 이론적 쟁점" 역사문제연구소 (75) : 76-91, 2006

      5 김필동, "최근 한국사회사연구의 성과와 과제: 방법론적 반성 – 한국사회사연구 논문집(제1집 – 21집)의 분석을 중심으로" 24 : 11-43, 1990

      6 채오병, "이행과 번역: 한국 사회사의 역사사회학" 한국사회학회 45 (45): 168-196, 2011

      7 "사회와 역사"

      8 김동노, "거시 구조 이론에서 미시 사건사로 - 미국 역사사회학의 경향과 과제" 한국사회사학회 (63) : 4-122, 2003

      9 Somers, Margaret, "What is Sociology after the Historic Turn, In The Historic Turn in the Human Sciences"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53-89, 1996

      10 Sewell, Willam Jr., "Three Temporalities: Toward an Eventful History, In The Historic Turn in the Human Sciences"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45-280, 1996

      11 Calhoun, Craig, "The Rise and Domestication of Historical Sociology, In The Historic Turn in the Human Sciences"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305-337, 1996

      12 Ragin, Charles, "The Place of Case Study Research" 13 (13): 1-2, 2000

      13 Wallerstein, Immanuel, "The Modern World-System I" Academic Press, Inc 1974

      14 Hobsbawm, Eric, "The Contribution of History to Social Sciences" 33 (33): 624-649, 1981

      15 Ragin, Charles, "The Comparative Methods: Moving beyond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Strategi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7

      16 Skocpol, Theda, "State and Social Revolu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9

      17 Wuthnow, Robert, "State Structure and Ideological Outcomes" 50 : 799-821, 1985

      18 Clemens, Elisabeth S., "Sociology as a Historical Science" (Summer) : 30-40, 2006

      19 Goldstone, Jack, "Revolution and Rebellion in the Early Modern World"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1

      20 Swanson, Guy, "Religion and Regim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967

      21 Burke, Peter, "Overture: the New History, In New Perspectives on Historical Writing" The Pennsylvania University Press 1-23, 1991

      22 Biernacki, Richard, "Method and Metaphor after the New Cultural History, In Beyond the Cultural Tur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62-92, 1999

      23 McDonald, Terrence J., "Introduction, In The Historic Turn in the Human Sciences"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14, 1996

      24 Gould, Roger, "Insurgent Identit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5

      25 Mink, Louis, "Historical Understanding" Cornell University Press 1987

      26 Hobsbawm, Eric, "From Social History to the History of Society, In Essays in Social History" Clarendon Press 1-22, 1974

      27 Halttunen, Kare, "Cultural History and the Challenge of Narrativity, In Beyond the Cultural Tur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65-181, 1999

      28 Wuthnow, Robert, "Communities of Discourse: Ideology and Social Structure in the Reformation, the Enlightenment, and European Socialism" Harvard University Press 1989

      29 Shin, Gi-Wook, "Colonial modernity in Korea" Harvard University Asia Center 1999

      30 Tilly, Charles, "Coercion, Capital, and European States" Basil Blackwell 1990

      31 Amenta, Edwin, "Case Research and Scholarly Dialogue" 13 (13): 4-5, 2000

      32 Tilly, Charles, "Big Structures, Large Processes" Rusell Sage Foundation 1984

      33 Traugott, Mark, "Armies of the Poor: Determination of the Working Class Participation in the Parisian Insurrection of June 1848"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85

      34 Turner, Jonathan, "American Sociology in Chaos: Differentiation without Integration" (Summer) : 15-29, 2006

      35 Brenner, Robert, "Agrarian Class Structure and Economic Development in Pre-Industrial Europe" (70) : 30-73, 197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0-0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1-50) ->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9 1.09 1.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6 1.11 1.712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