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암실 속 과학탐구를 경험한 과학교육자들의 시각장애학생의 학습상황에 대한 인식 = Science Educators` Perceptions About the Learning Situation of Visually Impaired Students through Scientific Inquiry in the Darkroo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8246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과학교육자들이 암실 속 과학탐구의 경험을 통해서 시각장애학생의 과학학습상황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갖게 되는가를 조사하려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한국과학교육학회에 참석한 과학...

      과학교육자들이 암실 속 과학탐구의 경험을 통해서 시각장애학생의 과학학습상황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갖게 되는가를 조사하려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한국과학교육학회에 참석한 과학교육자 중 24명에게 ``얼음의 분자 구조`` 및 ``눈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모형의 접촉과 대화를 통해 ``암실 속 과학탐구`` 활동을 하게 하였다. 활동 전, 후에 설문을 하였고 활동 중의 개방적 대화와 끝난 다음의 자유토론을 녹음하여 전사한 뒤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암실 속 과학탐구를 통해 과학 교육자들은 시각장애학생의 과학교육이 필요하며 가능할 뿐 아니라, 이들의 학습상황에 대해 더욱 깊게 이해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시각장애학생을 지도해 본 경험이 있는 교사들은 자신들이 학생들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지도하였음을 알게 되었음을 고백한 바 있다. 또한, 참여자들은 암실 경험을 통해 시각장애학생뿐 아니라 학습에 소외된 일반 학생의 입장을 더욱 깊게 이해해야 한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암실 속 과학탐구`` 활동의 교육학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spectives of science educators on the learning situations of visually impaired students through scientific inquiry in a darkroom. Twenty-four science educators who came to the annual conference of th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spectives of science educators on the learning situations of visually impaired students through scientific inquiry in a darkroom. Twenty-four science educators who came to the annual conference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e scientific inquiry in the darkroom`` activities. They were encouraged to touch models of ``the molecular structure of ice`` and ``the structure of eyes`` and to discuss with participants during the activities. Surveys were done before and after darkroom activities, and the discussions during and after the activities were recorded and analyzed. As a result, participants recognized that science education for visually impaired students is both very feasible and necessary. Also, some of them, who have had an experience of teaching blind students and thought that they fully understood the learning situation of the visually impaired, were especially surprised by the fact that they did not actually understand how it was like to be a visually impaired and responded that they were able to more deeply comprehend the learning situation of visually impaired students through these activities. Through this experience, participants also became resolute to try more deeply to understand not only the visually impaired students, but also sighted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Based on these results, educational implications of scientific inquiry in the darkroom were discuss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육주혜, "특수교육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장애유형별 전문가 요구 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48 (48): 139-157, 2009

      2 최성규, "청각장애학생의 과학교과 어휘에 대한 수어 조어활동이 마인드맵 어휘 형성에 미치는 효과" 국립특수교육원 16 (16): 205-230, 2009

      3 김화숙, "장애학생을 위한 과학교육 실태 조사 연구" 한국특수교육학회 37 (37): 153-178, 2002

      4 유장순, "일반학교에 통합된 장애학생의 성공적인 과학수업을 위한 지원체제" 국립특수교육원 13 (13): 53-82, 2006

      5 차향미, "일반학교 저시력학생의 교육지원 실태 및 요구 분석"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9 (29): 43-67, 2013

      6 권효진, "일반중학교에 통합된 장애학생의 과학수업에 대한 장애학생과 관련인의 인식 및 실태와 요구 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3 (13): 471-506, 2012

      7 김정현, "시각장애학생의 학습 유형과 과학적 태도의 관계"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6 (26): 167-183, 2010

      8 박태선, "시각장애학생의 과학 학습 태도 연구"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4 (24): 99-123, 2008

      9 최미정, "시각장애학교 초등부 교사의 현장체험학습에 대한 실태 및 개선 방안"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5 (25): 1-26, 2009

      10 장경숙, "시각장애학교 교사의 지도실태 및 교사 재교육 심화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인식 연구"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6 (26): 67-86, 2010

      1 육주혜, "특수교육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장애유형별 전문가 요구 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48 (48): 139-157, 2009

      2 최성규, "청각장애학생의 과학교과 어휘에 대한 수어 조어활동이 마인드맵 어휘 형성에 미치는 효과" 국립특수교육원 16 (16): 205-230, 2009

      3 김화숙, "장애학생을 위한 과학교육 실태 조사 연구" 한국특수교육학회 37 (37): 153-178, 2002

      4 유장순, "일반학교에 통합된 장애학생의 성공적인 과학수업을 위한 지원체제" 국립특수교육원 13 (13): 53-82, 2006

      5 차향미, "일반학교 저시력학생의 교육지원 실태 및 요구 분석"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9 (29): 43-67, 2013

      6 권효진, "일반중학교에 통합된 장애학생의 과학수업에 대한 장애학생과 관련인의 인식 및 실태와 요구 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3 (13): 471-506, 2012

      7 김정현, "시각장애학생의 학습 유형과 과학적 태도의 관계"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6 (26): 167-183, 2010

      8 박태선, "시각장애학생의 과학 학습 태도 연구"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4 (24): 99-123, 2008

      9 최미정, "시각장애학교 초등부 교사의 현장체험학습에 대한 실태 및 개선 방안"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5 (25): 1-26, 2009

      10 장경숙, "시각장애학교 교사의 지도실태 및 교사 재교육 심화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인식 연구"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6 (26): 67-86, 2010

      11 이효신, "극놀이 역할 참여가 시각장애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43 (43): 243-264, 2004

      12 박현주, "과학교육 내용표준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 32 (32): 729-750, 2012

      13 정진수, "고등학교 시각장애 학생들의 눈의 구조와 기능 개념 조사" 한국생물교육학회 37 (37): 38-46, 2009

      14 Lee, H., "Visually impaired students in teaching and instructional strategies" 117-127, 2003

      15 Kim, Y., "Visually impaired students in teaching and instructional methods" (3) : 137-148, 2004

      16 Lee, H., "Visually impaired students in career education" 2 (2): 22-27, 1995

      17 Im, A., "Visual disabilities education" Hakjisa 2008

      18 Yoo, J., "The study of the science education in Korea for visually or hearing impaired Students"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1998

      19 Lee, J., "The effect of science lesson through curricular adaptation to grades and attitude towards science of blind students" Yonsei University 2008

      20 Koo, D., "The effect of assistive technology on learning for the visually disabled" 23 (23): 233-245, 2000

      21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MEST Notice No. 2010-44"

      22 Lee, H., "Scientific guidance of visually impaired students" 3 (3): 118-129, 1996

      23 Mastropieri, M. A., "Science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62 (62): 377-411, 1992

      24 이해균, "STS 수업이 시각장애학생의 과학에 관련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6 (6): 1-23, 2005

      25 Choi, S., "Research on status and improvement plan of science education in special school of visual · crippled · hearing-impaired" Kongju National University 2009

      26 Han, S., "Problems and improvement of visual disability teaching methods" 6 : 1-45, 1989

      27 Patton, J. R., "Mainstreaming: A practical approach for teachers" Merrill 1989

      28 Kim, D., "MMPI responses of visual-handicapped" 10 (10): 11-16, 1992

      29 Yu, M., "Instructional and teaching material developed methods for visually impaired students" 2006

      30 Cha, H., "Development of a horizontal balance for visually handicapped" Chi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09

      31 Kim, S., "Analysis on the of scienc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Daegu University 2005

      32 Lee, Y., "An analysis of the visually impaired students’ abilities for observation in physical experiments using auditory sense" Daegu University 2009

      33 Im, A., "Access to information about the visually impaired" 7 : 3-24, 1991

      34 Lee, G., "A study on the strategy of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visually disabled persons’ learning tool-oriented museum education programs; focusing on national museum of Korea" Chung-Ang University 2010

      35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 "2009 Science curriculum study of the revised curriculum"

      36 노태희, "2007 개정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화학 영역에 사용된 비유의 분석" 대한화학회 57 (57): 398-404,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3-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in Science Educati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4-2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in Science Education KCI등재
      2007-04-03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7 1.87 1.6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6 1.54 2.133 0.4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