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뼈 콜라겐의 탄소와 질소 안정동위원소에 기록된 6세기대 나주 영동리 고분군 피장자 집단의 식생활 양상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058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뼈에서 추출된 탄소와 질소 안정동위원소 정보는 과거 사람들의 식생활, 영양상태, 생계경제와 고환경 등을 연구하는데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본 연구에서는 6세기대 나주 영동리 고분군 ...

      뼈에서 추출된 탄소와 질소 안정동위원소 정보는 과거 사람들의 식생활, 영양상태, 생계경제와 고환경 등을 연구하는데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본 연구에서는 6세기대 나주 영동리 고분군 제1호분 돌방무덤과 돌덧널무덤에서 출토된 옛사람 뼈 9개체에서 추출된 콜라겐의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실시하였다. 탄소와 질소 안정동위원소 결과는 다음과 같다(δ13C= -19.5±0.7‰, δ15N= 9.6±0.7‰, (n=9)). 탄소 안정동위원소 분석 결과 나주 영동리 고분군 피장자 집단은 벼, 보리, 콩 등 C3 작물 위주의 섭취를 하였다고 추정되며, 질소 안정동위원소 값으로부터 동물성 단백질은 주로 육상 동물로부터 얻었다고 추정된다. 이 결과로부터 백제식 무덤 양식을 갖고 영산강유역 토착 세력의 매장 양식이 보이는 피장자 집단의 식생활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table carbon and nitrogen isotope results recorded in human bone reflects palaeodiet, nutrition, subsistence and palaeoenvironment. We analyzed the remains of the Naju Yeongdong-ri people, who live at around 6th century, excavated from stone chambers...

      Stable carbon and nitrogen isotope results recorded in human bone reflects palaeodiet, nutrition, subsistence and palaeoenvironment. We analyzed the remains of the Naju Yeongdong-ri people, who live at around 6th century, excavated from stone chambers and stone-lined tombs. The following results of the analysis of stable carbon and nitrogen isotopes were obtained: δ13C= -19.5±0.7‰, δ15N= 9.6±0.7‰, (n=9). The value for stable carbon isotopes indicates that the Naju Yeongdong-ri people had a largely C3-based diet such as rice, barley, and beans. On the other hand, the value for stable nitrogen isotopes reflect the consumption of terrestrial animal protein. This study presents new information on the dietary patterns of the Naju Yeongdong-ri people, whose tombs were similar to the Baekje tomb style and their burial type was much like the one followed by the indigenous people of the Yeongsan river basi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록
      • ABSTRACT
      • 1. 서론
      • 2. 연구 방법
      • 2.1. 연구 재료
      • 초록
      • ABSTRACT
      • 1. 서론
      • 2. 연구 방법
      • 2.1. 연구 재료
      • 2.2. 분석 방법
      • 3. 결과 및 고찰
      • 3.1. 탄소와 질소 안정동위원소 분석
      • 3.2. 선행 연구 결과와의 비교 분석
      • 4. 결론
      • 사사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현구, "풍납토성 출토 동물뼈의 탄소와 질소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통해 본 백제시대의 가축사육 양상"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32 (32): 179-188, 2016

      2 신지영, "인골 추출 콜라겐의 탄소·질소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통해 본 경산 임당 유적 고총군 피장자 집단의 식생활" 한국고고학회 (70) : 84-109, 2009

      3 최성락, "영산강유역 고대사회와 백제에 의한 통합과정" 역사문화학회 20 (20): 7-32, 2017

      4 신지영, "석실묘 출토 인골의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통해 본 백제시대 생계경제의 지역적・계층적 특징" 호남고고학회 48 : 103-125, 2014

      5 Lee, J. H., "Yeongdongri, Naju"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111-116, 2006

      6 Jee, S.H., "Who are they and what did they eat? the family relation and dietary pattern of human skeletons:reconstruction study of human remains in the 15-burial at Songhyeon-dong, Changyeong" Gaya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009

      7 Choy, K., "Stable isotopic analysis of human skeletons from the Sunhung mural tomb, Yeongju, Korea : Implication for human diet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2013

      8 Shin, J. Y., "Stable isotopes and ancient DNA result of human remains from Naju area in three kingdoms period, The status force of the three kingdoms periods, Bokam-ri and trends of the surrounding area" Naju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59-269, 2015

      9 Jim, S., "Stable carbon isotopic evidence for differences in the dietary origin of bone cholesterol, collagen and apatite: Implications for their use in palaeodietary reconstruction" 68 : 61-72, 2004

      10 Hedges, R.E.M, "Nitrogen isotopes and the trophic level of humans in archaeology" 34 : 1240-1251, 2007

      1 최현구, "풍납토성 출토 동물뼈의 탄소와 질소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통해 본 백제시대의 가축사육 양상"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32 (32): 179-188, 2016

      2 신지영, "인골 추출 콜라겐의 탄소·질소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통해 본 경산 임당 유적 고총군 피장자 집단의 식생활" 한국고고학회 (70) : 84-109, 2009

      3 최성락, "영산강유역 고대사회와 백제에 의한 통합과정" 역사문화학회 20 (20): 7-32, 2017

      4 신지영, "석실묘 출토 인골의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통해 본 백제시대 생계경제의 지역적・계층적 특징" 호남고고학회 48 : 103-125, 2014

      5 Lee, J. H., "Yeongdongri, Naju"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111-116, 2006

      6 Jee, S.H., "Who are they and what did they eat? the family relation and dietary pattern of human skeletons:reconstruction study of human remains in the 15-burial at Songhyeon-dong, Changyeong" Gaya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009

      7 Choy, K., "Stable isotopic analysis of human skeletons from the Sunhung mural tomb, Yeongju, Korea : Implication for human diet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2013

      8 Shin, J. Y., "Stable isotopes and ancient DNA result of human remains from Naju area in three kingdoms period, The status force of the three kingdoms periods, Bokam-ri and trends of the surrounding area" Naju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59-269, 2015

      9 Jim, S., "Stable carbon isotopic evidence for differences in the dietary origin of bone cholesterol, collagen and apatite: Implications for their use in palaeodietary reconstruction" 68 : 61-72, 2004

      10 Hedges, R.E.M, "Nitrogen isotopes and the trophic level of humans in archaeology" 34 : 1240-1251, 2007

      11 Choi, M.L., "New perspectives in the Korean archaeology and ancient history: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Hanseong period Baekje and Mahan" 2005

      12 Choy, K., "Isotopic evidence of dietary variations and weaning practices in the Gaya cemetery at Yeanri, Gimhae, South Korea" 142 : 74-84, 2010

      13 Mays, S., "Human osteoarchaeology in the UK 2001 -2007: A bibliometric perspective" 20 : 192-204, 2010

      14 Lee, J. H., "How to reconstruct face of the Mahan people,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Symposium on face reconstruction" 7-16, 2017

      15 van Klinken, G. J., "Chemistry strategies for organic 14C samples" 40 : 51-56, 1998

      16 van Klinken G. J., "Bone collagen quality indicators for palaeodietary an radiocarbon measurements" 26 : 687-695, 1999

      17 Lee, H. K.,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the crop assemblage of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in central Korea"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4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47 0.455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