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관인광산 함티탄철석으로부터 고품위 정광 회수를 위한 복합선별 공정개발 = Development of Combination Separation Process for Recovery of High-Grade Concentrate from Gwan-in Mine Ilmenit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000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the technique and process for improving the beneficiation efficiency of ilmenite ore of Gwan-in mine, Gyeonggi–do. The TiO2 grade of the head ore is 18.07%, with the gangue minerals consisting of magnetite, chlo...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the technique and process for improving the beneficiation efficiency of ilmenite ore of Gwan-in mine, Gyeonggi–do. The TiO2 grade of the head ore is 18.07%, with the gangue minerals consisting of magnetite, chlorite, hornblende and etc. Gwan-in ore contains not only ilmenite but also titanium (Ti) and vanadium (V) bearing magnetite. So establishing proper beneficiation technique and process, that improves the grade and recovery of concentrates, is widely anticipated to be difficult.
      Therefore, after removing the magnetite that has high Fe content through appropriate magnetic separation, separation techniques that could effectively recover ilmenite, should be developed from rest of the products. So, complex separation will be developed, through establishing optimum conditions of magnetic and gravity separations. The optimum condition of the complex separation processes delivers ilmenite concentrates with a TiO2 grade of 44.69% and 64.02% recove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경기도 관인 광산에 다량으로 부존되어 있는 티탄철석에 대한 선별효율 향상을 위한 공정개발을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원광의 품위는 TiO2기준으로 18.07%이며, 맥석...

      본 연구는 경기도 관인 광산에 다량으로 부존되어 있는 티탄철석에 대한 선별효율 향상을 위한 공정개발을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원광의 품위는 TiO2기준으로 18.07%이며, 맥석광물로는 자철석, 녹니석, 각섬석 등이 수반되어 있다. 관인 광산의원광은 티탄철석뿐만 아니라 Ti 및 V과 같은 성분이 함유된 자철석이 혼재되어 있어 티탄철석 정광의 품위 및 회수율 향상이 어려울것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Fe 함량이 높은 자철석을 우선적으로 적절한 자력선별을 통해 제거하고 나머지 산물로부터 효과적으로티탄철석을 회수하는 선별 기술이 필요할 것이다. 이에 자력 및 비중선별의 최적조건을 통하여 혼합선별공정을 개발하였다. 결론적으로 복합선별공정의 최적조건에서 44.69% TiO2의 티탄철석 정광을 64.02% 회수율로 회수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광훈, "저품위 티탄철석의 활용을 위한 선별시스템 개발" 한국자원공학회 51 (51): 503-512, 2014

      2 전호석, "국내 희유금속광 부존현황 및 개발기술" 한국자원공학회 55 (55): 67-82, 2018

      3 Premaratne, W. A. P. J., "The process of beach sand from Sri Lanka for the recovery of titanium using magnetic saparation" 12 (12): 13-22, 2003

      4 Zhang, X., "Study on influence of residual magnetic in Panzhihua ilmenite flotation" 2 : 83-88, 2011

      5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KIGAM), "Studies on Mineral Processing of Ilmenite Ore in Hadong area and its Economical Evaluation" KIGAM 395-, 1999

      6 Babu, N., "Recovery of ilmenite and other heavy minerals from teri sands(red sands)of tamil nabu, India" 8 (8): 149-159, 2009

      7 Kim, K. H., "Ore Genesis of the Yonchon Titaniferous Iron Ore Deposite, South Korea" 27 (27): 117-130, 1994

      8 U. S. Geological Survey(USGS), "Mineral Commodity Summaries 2020" 177-, 2020

      9 "Korea Mineral Resources Information Service(KOMIS)"

      1 이광훈, "저품위 티탄철석의 활용을 위한 선별시스템 개발" 한국자원공학회 51 (51): 503-512, 2014

      2 전호석, "국내 희유금속광 부존현황 및 개발기술" 한국자원공학회 55 (55): 67-82, 2018

      3 Premaratne, W. A. P. J., "The process of beach sand from Sri Lanka for the recovery of titanium using magnetic saparation" 12 (12): 13-22, 2003

      4 Zhang, X., "Study on influence of residual magnetic in Panzhihua ilmenite flotation" 2 : 83-88, 2011

      5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KIGAM), "Studies on Mineral Processing of Ilmenite Ore in Hadong area and its Economical Evaluation" KIGAM 395-, 1999

      6 Babu, N., "Recovery of ilmenite and other heavy minerals from teri sands(red sands)of tamil nabu, India" 8 (8): 149-159, 2009

      7 Kim, K. H., "Ore Genesis of the Yonchon Titaniferous Iron Ore Deposite, South Korea" 27 (27): 117-130, 1994

      8 U. S. Geological Survey(USGS), "Mineral Commodity Summaries 2020" 177-, 2020

      9 "Korea Mineral Resources Information Service(KOMI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6-1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구시스템공학회지 -> 한국자원공학회지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ystem engineeri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ineral and Energy Resources Engineers
      KCI등재
      2013-06-1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구시스템공학회 -> 한국자원공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Geosystem Engineering -> The Korean Society of Mineral and Energy Resources Engineer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3 0.13 0.1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7 0.19 0.278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