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식재지반 용토로서 준설토의 이화학적 특성 =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redged Soils as Planting Soi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2673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out the heavy metal contents an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for the improvement of dredged soils which widely exist in lowlands of Korea. At first all the average heavy metal contents were close to background l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out the heavy metal contents an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for the improvement of dredged soils which widely exist in lowlands of Korea. At first all the average heavy metal contents were close to background level and were much lower than concern level of the Soi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of Korea. And the results of physical analyses of soils showed on the average $2.46\~2.74 Mg/m^3$ in Particle density, $0.45\~2.45 kg/kg$ in soil water contents, $0.34\~0.90 Mg/m^3$ in bulk density, $0.67\~0.87m^3/m^3$ in porosity, $2.18\times10^{-5}\~1.20\times10^{-8} m/s$ in 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R0.12\~0.65 m^3/m^3$ in available water contents. Finally the results of chemical analyses of soils showed on the average $6.5\~8.2\;in\; pH,\;5\~48 g/kg\;in\; OM,\;0.48\~4.51g/kg\;in\;T-N,\;19\~25mg/kg$ in available phosphate, $0.28\~11.80 dS/m\;in\;EC,\;8.7\~38.1cmol/kg$ in CEC,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s ought to be analyzed accurately before dredging for effective using of dredged soils. And it will be more effective, if the dredged soils are used with proper balance among each content of components with consideration to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ommon soil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호소 및 하천 오염퇴적물 관리방안 평가연구원"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1998

      2 "해양수산통계연보" 해양수산부 2003

      3 "한국 토양중 Cs-137과 K-40의 분포" 28 (28): 33-40, 1995

      4 "한국 밭토양 및 곡물중의 중금속 자연함유량에 관한 조사연구" 1990

      5 "토양환경보전법" 환경부 2001

      6 "중북부지역 시설원예지 토양의 토성 염농도 및 화학성분의 조성" 33-40, 1994

      7 "조경설계기준" 건설교통부 1999

      8 "우리나라 논 토양중 중금속 자연함량" 28 (28): 295-300, 1995

      9 "비닐하우스 토양 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29 (29): 166-171, 1987

      10 "농토배양 10개년사업 종합보고서" 농촌진흥청 1989

      1 "호소 및 하천 오염퇴적물 관리방안 평가연구원"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1998

      2 "해양수산통계연보" 해양수산부 2003

      3 "한국 토양중 Cs-137과 K-40의 분포" 28 (28): 33-40, 1995

      4 "한국 밭토양 및 곡물중의 중금속 자연함유량에 관한 조사연구" 1990

      5 "토양환경보전법" 환경부 2001

      6 "중북부지역 시설원예지 토양의 토성 염농도 및 화학성분의 조성" 33-40, 1994

      7 "조경설계기준" 건설교통부 1999

      8 "우리나라 논 토양중 중금속 자연함량" 28 (28): 295-300, 1995

      9 "비닐하우스 토양 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29 (29): 166-171, 1987

      10 "농토배양 10개년사업 종합보고서" 농촌진흥청 1989

      11 "간척지 토양의 염류도 측정과 분석" 1 : 103-116, 2003

      12 "植物環境と綠化土壤" 大平俊男 1986

      13 "建設發生土利用技術マニュアル" 土木硏究センタ?. 1998

      14 "干拓地の農地工學" 長堀金造 1994

      15 "土壤環境分析法" 博友社. 1997

      16 "土壤物理環境測定法." 東京大學出版會 1995

      17 "土壤物理性測定法" 土壤物理性測定法偏執委員會 1975

      18 "The effect of exchangeable sodium on soil properties on growth and cation content of alfalfa and cotton" 29-35, 19551955

      19 "The effect of exchangeable sodium and electrolyte concentration on crust formation" 1 : 101-122, 1985

      20 "Ion interaction and constraints to plant nutrition in Australia sodic soils" 801-819, 1993

      21 "Effects of salinity and sodicity on plant growth" 295-312, 1975

      22 "Effects of clay type and content and electrolyte concentration on clay dispertion and soil hydraulic conductivity" 32-39, 1987

      23 "Diagnosis and improvement of saline and alkali soil" 195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2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6 0.74 1.022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