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대학 시설 및 공간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연구 : 공주대학교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546085

      • 저자
      • 발행사항

        공주 : 공주대학교 대학원, 2009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공주대학교 대학원 , 건축학과 , 2009. 2

      • 발행연도

        2009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충청남도

      • 기타서명

        (A) Study on the Efficient Management of Space and Facilities in University

      • 형태사항

        114장 ; 삽도 ; 26 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 94 - 95장

      • 소장기관
        • 국립공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accordance with the trend of globalization and informatization oriented society, the present university education have changed into a student-centered and interactive education curriculum which focuses on self-control and initiativeness from the pr...

      In accordance with the trend of globalization and informatization oriented society, the present university education have changed into a student-centered and interactive education curriculum which focuses on self-control and initiativeness from the previous single-directional education. Therefore, more diversified and specialized university facilitie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and school are being required.
      However, universities in Korea have insufficient data on education facilities and equipments and this is being a detrimental factor of the educational activities and the education quality. Likewise, university facilities should be planned simultaneously and by equal weight with the education plan. Thus, as the facilities and equipments in universities are diversified and modernized, systematic and professional university facility administration and space management are being required.
      Therefore, this study inquired into the definition of university facilities, the changing process of university facilities and the changes in university environments through a documentary survey on academic papers and special works. Also, in order to look into the actual conditions of overall space management of universities in Korea, the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 of facility space management and computerized system in national universities and carried out a comparative analysis with Kongju national university.
      From the result, the problem in facility management of Kongju national university could be divided into the problems in facility management department and the problems in facility management system. As for the problems in facility management department, unbalance in department structure due to unusual position distribution, heavy workload and unfair distribution of workload, position based workload distribution and weak correspondence to the demand for new facility are the problems found. Regarding the problems in facility management system, insufficient specialists in facility management, shortage of economic resources for facility management, ex-post maintenance and management system, absence of professional facility management technology, absence of standardized facility management system are the problems observed.
      Hence, for more efficient facility and space management in Kongju national university, it is necessary to save budget by stationing the specialized human resource and economic resource to the right places and to optimize space utilization together with building up a systematic asset management system. To ease the problems of facility and space management of Kongju national university, the study provided plans to improve the facility and space management as follows.
      First, for betterment of facility management department, the study provided plans on reformation to healthy structure, balanced distribution of human resource, flexible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outsourcing.
      Second, for betterment of facility management system, the study provided plans such as expansion of asset and economic resource, building up an ex-ante facility management system, establishment of facility management system, establishment of knowledge based system of facility management and establishment of standardized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Third, for the systematic administration of university facility space management, the study provided the objective of space management and basic principles.
      Fourth, the study provided practical tools for efficient facility and space management such as space cost accountability, space endowment standard, computerization of space utilization time and central control, space utilization rate study, university facility management performance index and facility management system.
      However, the schemes provided in this study are still not realizable without formation of the concept of public in university facilities. In particular, to enforce space endowment standard or space cost accountability in universities emphasizing self-regulated administration, there should be a strong promotion by the management and members of universities; and a clear goal of facility and space management is important as well. In other words, it should be administered fairly and consistently to every user, and should be able to secure the maximum efficiency in facility utilization and to cope with future changes efficientl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장 서론 = 1
      •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 2. 연구의 내용 = 2
      • 3. 연구의 방법 = 2
      • 4. 연구의 흐름 = 3
      • 1장 서론 = 1
      •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 2. 연구의 내용 = 2
      • 3. 연구의 방법 = 2
      • 4. 연구의 흐름 = 3
      • 2장 대학환경변화에 대한 고찰 = 4
      • 1. 대학환경의 변화 = 4
      • 1) 세계화와 정보화 = 4
      • 2) 교육환경의 변화 = 5
      • 2. 대학시설기준 및 분류의 변화 = 6
      • 1) 대학시설기준의 변천과정 = 6
      • 2) 대학시설분류의 변화 = 8
      • 3. 대학교육의 변화와 이에 대한 대학시설의 대응 = 10
      • 3장 대학시설 및 공간관리의 이론적 고찰 = 12
      • 1. 대학시설의 정의 = 12
      • 2. 대학시설관리(Facility Management) = 12
      • 1) 시설관리(Facility Management)의 정의 = 12
      • 2) 시설관리의 목적과 책무 = 13
      • 3. 대학 시설관리 업무의 분류 = 14
      • 1) 시설공사관리 = 14
      • 2) 시설유지관리 = 15
      • 3) 공간관리(space management) = 15
      • 4) 자산/예산관리(assert management) = 15
      • 5) 기자재관리 = 16
      • 4. 통합적인 시설관리시스템 = 17
      • 1) 시설관리시스템의 필요성 = 17
      • 2) 시설관리시스템의 효과 = 18
      • 5. 현행 시설관리 시스템의 문제점 = 18
      • 1) 대학시설관리 현황 = 18
      • 2) 현행 시설관리시스템의 문제점 = 20
      • 4장 국립대학의 공간관리 실태 조사 = 21
      • 1. 공간관리규정구축 현황 = 21
      • 1) 연구중심대 = 21
      • 2) 연구 및 교육 중심대 = 22
      • 3) 산업대 = 22
      • 4) 교육대 = 23
      • 5) 전체현황 = 23
      • 2. 대학시설관리전산시스템 보유 현황 = 24
      • 1) 공간관리 전산시스템의 수준 설정 = 24
      • 2) 연구중심대 보유현황 = 24
      • 3) 연구 및 교육 중심대 = 26
      • 4) 산업대 = 28
      • 5) 교육대 = 28
      • 6) 전체현황 = 28
      • 3. 공간관리시스템 활용 및 공간관리 담당부서 현황 = 29
      • 1) 공간관리시스템 활용 현황 = 29
      • 2) 공간관리 담당 부서 = 29
      • 4. 공간관리시스템 수준 및 향후 추진계획 = 32
      • 1) 연구중심대 = 32
      • 2) 연구 및 교육중심대 = 33
      • 3) 산업대 = 35
      • 4) 교육대 = 35
      • 5) 전체현황 = 36
      • 5. 공간관리 문제점 종합 = 37
      • 1) 공간 공(公)개념의 인식 부족 = 37
      • 2) 공간관리규정 등에 대한 구성원의 합의의 어려움 = 37
      • 3) 적절한 공간관리 시스템의 부재 = 38
      • 4) 시스템 운영상의 문제점 = 38
      • 5) 기타 제기된 문제점 = 38
      • 6. 소결 = 38
      • 5장 공주대학교 시설 및 공간현황 분석(시설, 인력, 운영체계) = 41
      • 1. 공주대학교 시설확보 및 시설비 예산현황 = 41
      • 1) 일반현황 = 41
      • 2) 학생 및 교직원수 현황 = 41
      • 3) 시설현황 = 42
      • 4) 시설비 = 42
      • 5) 국립대학과 비교 = 43
      • 2. 시설 및 공간관리 담당 인력 및 부서 현황조사 = 44
      • 1) 시설 및 공간관리 담당 인력 현황 = 44
      • 2) 시설 및 공간관리 담당 부서 현황 = 46
      • 3. 운영실태 및 결과 = 47
      • 1) 전체 시설관리 체제 = 47
      • 2) 공간관리 준비 실태 분석 = 48
      • 3) 시설유지관리 체제 = 48
      • 4) 안전관리 실태 = 49
      • 5) 에너지 관리 실태 = 50
      • 6) 소결 = 50
      • 4. 설문조사분석 = 51
      • 1) 일반사항 = 52
      • 2) 대학시설 및 시설관리 만족도 = 52
      • 3) 공간관리 만족도 = 63
      • 5. 공간활용률 조사 = 74
      • 1) 공간활용률의 정의 = 74
      • 2) 강의실과 실험실습실 활용률 설정 = 75
      • 6. 공주대학교 시설관리의 문제점 = 76
      • 1) 대학 시설관리 조직의 문제점 = 76
      • 2) 시설관리 체제의 문제점 = 77
      • 6장 공주대학교 시설 및 공간관리의 개선 방안 = 80
      • 1. 시설관리 조직의 개선 = 80
      • 2. 시설관리 체제의 개선 = 81
      • 3. 대학시설 공간관리 목표와 기본원칙 제시 = 82
      • 1) 대학시설 공간관리 목표 = 82
      • 2) 공간 관리 기본 원리 = 83
      • 3) 대학 공간관리 모델 = 84
      • 4. 효율적 시설 및 공간관리를 위한 실천도구 = 86
      • 1) 공간비용채산제(space charging) = 86
      • 2) 공간배정기준(space standards) = 87
      • 3) 공간사용시간의 전산화와 중앙관리(central timetabling) = 88
      • 4) 공간 활용률 조사(space utilisation survey) = 88
      • 5) 대학시설관리성과지표(Facilities Performance Indication : FPI) = 88
      • 6) 시설관리시스템(Facility Management System) = 89
      • 7장 결론 = 90
      • 참고문헌 = 94
      • ABSTRACT = 96
      • 부록 = 9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