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남일벼 돌연변이 후대 계통 ‘Namil(SA)-flo1’의 분질배유 특성에 대한 유전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786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쌀 가공산업을 활성화하고 소비를 촉진하여 국내 쌀 생산기반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쌀가루 제분적성을 보유한 가공용벼 품종 개발이 시급하다.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에서는 아지드화...

      쌀 가공산업을 활성화하고 소비를 촉진하여 국내 쌀 생산기반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쌀가루 제분적성을 보유한 가공용벼 품종 개발이 시급하다.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에서는 아지드화나트륨을 돌연변이원으로 활용하여 건식제분적합성을 보유한 분질배유 돌연변이 후대계통인 ‘Namil(SA)-flo1’를 육성한 바 있다. 본 연구는 염색체 상에서 ‘Namil(SA)-flo1’의 분질배유 특성을 지배하는 유전자위를 탐색하고자수행하였다. 주요 결과는 아래와 같다.1. ‘Namil(SA)-flo1’ x ‘밀양23호’로부터 유래한 F2 94 개체로부터 종자 분질립 비율을 검정하고 54개 SSR 마커의 유전자형을 검정하여 연관성분석(association analysis)을 수행한 결과 목표 유전자위는 5번 염색체 중하단부위로 추정되었다.2. 목표 부위의 SSR 마커 밀도를 높여 추가 연관성분석을 실시하였고, F2:3 종자 분질립 변이의 79.7%가 5번염색체 상의 RM164의 유전자형 변이에 의하여 설명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3. 이를 통하여 분질배유 지배 유전자위를 5번 염색체17.7~20.7 Mbp 부위로 추정하였으며, 추후 추가 분리집단을 이용하여 목표 유전자를 동정하고 쌀가루용품종 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핵산정밀표지인자를 개발할 계획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ice varieties with suitable flour-making quality are required to promote rice processed-food industry and boost rice consumption in Korea. ‘Namil (SA)-flo1’ is an advanced mutant line with floury endosperm which shows good flour-making quality un...

      Rice varieties with suitable flour-making quality are required to promote rice processed-food industry and boost rice consumption in Korea. ‘Namil (SA)-flo1’ is an advanced mutant line with floury endosperm which shows good flour-making quality under dry-milling process. Genetic analysis was carried out to localize the chromosomal region responsible for the floury endosperm of ‘Namil (SA)- flo1’. By using 94 F2 progenies, which were derived from ‘Namil (SA)-flo1’ x ‘Milyang 23’, floury grains percentage was investigated as phenotypic data, and genotyping was conducted with 54 SSR markers. Associ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target genetic region for floury endosperm is on middle-low region of chromosome 5. Through further association analysis with increased number of SSR markers on chromosome 5, we found that genotypic variation in RM164 explains 79.7% of the variation in floury grains percentage of F2:3 seeds. The floury endosperm locus was localized on 17.7-20.7 Mbp region of chromosome 5 and will be further analyzed for fine mapping and gene identific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지웅, "야생벼 Oryza minuta에서 유래한 수원506호의 흰잎마름병 저항성유전자에 대한 고찰" 한국작물학회 56 (56): 124-133, 2011

      2 홍하철, "벼 중생 거대 배아미 발아현미용 신품종 ‘큰눈’" 한국육종학회 44 (44): 160-164, 2012

      3 홍하철, "벼 내도복 중간찰 신품종 ‘백진주’" 한국육종학회 44 (44): 51-56, 2012

      4 홍하철, "벼 내도복 뽀얀멥쌀 신품종 ‘설갱’" 한국육종학회 43 (43): 532-537, 2011

      5 강시용, "녹색찰현미로 이용 가능한 “녹원찰벼”의 돌연변이 육종" 한국육종학회 40 (40): 303-307, 2008

      6 정지웅, "남일벼 돌연변이 후대 분질계통, Namil(SA)-flo1의 건식제분 적합성 평가" 한국작물학회 56 (56): 57-63, 2011

      7 이영택, "건식, 습식 및 반습식 쌀가루에 의한 쌀빵의 특성 비교"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5 (35): 886-890, 2006

      8 전현일, "건식 및 습식제분 흑미 쌀가루의 물리화학적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7 (37): 900-907, 2008

      9 Kang, H. G., "Whitecore endosperm floury endosperm-4 in rice is generated by knockout mutations in the C4-type pyruvate orthophosphate dikinase gene (OsPPDKB)" 42 (42): 901-911, 2005

      10 Kim, M. R., "The status of Korean rice industry and the rice processing industry" 16 (16): 22-26, 2011

      1 정지웅, "야생벼 Oryza minuta에서 유래한 수원506호의 흰잎마름병 저항성유전자에 대한 고찰" 한국작물학회 56 (56): 124-133, 2011

      2 홍하철, "벼 중생 거대 배아미 발아현미용 신품종 ‘큰눈’" 한국육종학회 44 (44): 160-164, 2012

      3 홍하철, "벼 내도복 중간찰 신품종 ‘백진주’" 한국육종학회 44 (44): 51-56, 2012

      4 홍하철, "벼 내도복 뽀얀멥쌀 신품종 ‘설갱’" 한국육종학회 43 (43): 532-537, 2011

      5 강시용, "녹색찰현미로 이용 가능한 “녹원찰벼”의 돌연변이 육종" 한국육종학회 40 (40): 303-307, 2008

      6 정지웅, "남일벼 돌연변이 후대 분질계통, Namil(SA)-flo1의 건식제분 적합성 평가" 한국작물학회 56 (56): 57-63, 2011

      7 이영택, "건식, 습식 및 반습식 쌀가루에 의한 쌀빵의 특성 비교"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5 (35): 886-890, 2006

      8 전현일, "건식 및 습식제분 흑미 쌀가루의 물리화학적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7 (37): 900-907, 2008

      9 Kang, H. G., "Whitecore endosperm floury endosperm-4 in rice is generated by knockout mutations in the C4-type pyruvate orthophosphate dikinase gene (OsPPDKB)" 42 (42): 901-911, 2005

      10 Kim, M. R., "The status of Korean rice industry and the rice processing industry" 16 (16): 22-26, 2011

      11 Shin, M. S., "The activation of the rice processing industry for initiating green food industry in the future" 9 (9): 16-37, 2010

      12 KOSTAT, "Survey results on the grain consumption of Korea in 2012" Statistics Korea 2013

      13 Kim, T. H., "Status of rice processing industry and rice processing products" 9 (9): 86-96, 2010

      14 Murray, M. G., "Rapid isolation of high molecular weight plant DNA" 8 (8): 4321-4326, 1980

      15 Zhang, D., "Phenotypic and candidate gene analysis of a new floury endosperm mutant (osagpl2-3) in rice" 30 (30): 1303-1312, 2012

      16 Satoh, H., "New endosperm mutations induced by chemical mutagens in rice, Oryza sativa L" 31 (31): 316-326, 1981

      17 Nishio, T., "Mutants having a low content of 16-kDa allergenic protein in rice (Oryza sativa L.)" 86 (86): 317-321, 1993

      18 Ryoo, N., "Knockout of a starch synthase gene OsSSIIIa/Flo5 causes white-core floury endosperm in rice (Oryza sativa L.)" 26 (26): 1083-1095, 2007

      19 Kaushik, R. P., "Genetic analysis of endosperm mutants in rice Oryza sativa L" 83 (83): 146-152, 1991

      20 Yongli Qiao, "Fine Mapping and Candidate Gene Analysis of the Floury Endosperm Gene, FLO(a), in Rice"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29 (29): 167-174, 2010

      21 McCouch, S. R., "Development and mapping of 2240 new SSR markers for rice (Oryza sativa L.)" 9 (9): 199-207, 2002

      22 신영섭, "Characteristics of Endosperm Starch of the Rice Mutant Lines Induced by Sodium Azide" 한국육종학회 41 (41): 84-91, 2009

      23 Jeung, J. U., "A novel gene, Pi40(t), linked to the DNA markers derived from NBS-LRR motifs confers broad spectrum of blast resistance in rice" 115 (115): 1163-1177, 2007

      24 She, K. C., "A novel factor FLOURY ENDOSPERM2 is involved in regulation of rice grain size and starch quality" 22 (22): 3280-3294,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6 0.46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9 0.49 0.91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