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해표지증: 국내 환자들의 임상적 양상, 분류 및 수술적 치료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3397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해표지증은 상완골, 요골, 척골이 부분적 혹은 전체적으로 결손되고 수부는 남아 있는 매우 드문 기형이다. 국내에서 해표지증 환자에 대한 임상적 연구는 5건의 출생 보고를 제외하고...

      목적: 해표지증은 상완골, 요골, 척골이 부분적 혹은 전체적으로 결손되고 수부는 남아 있는 매우 드문 기형이다. 국내에서 해표지증 환자에 대한 임상적 연구는 5건의 출생 보고를 제외하고는 찾아볼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저자들이 경험한 해표지증의 임상적 양상 및 분류, 수술적 치료에 대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3년 1월부터 2007년 8월까지 본 병원에서 상지의 해표지증으로 진단받은 7명의 환자의 9예의 이환된 상지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적 치료는 5명에 대하여 동반된 수부 기형에 대하여 시행하였다. 대상군의 의무기록 및 방사선 영상을 검토하여 그 특징을 살펴보았고 기존의 Frantz와 O'Rahilly 분류법 및 Tytherleigh-Strong과 Hooper에 의해 추가된 분류법 및 Goldfarb 등에 의해 제시된 분류법에 따라 각각 분류해보았다. 수술적 치료의 결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맞섬 및 집기 기능의 향상 여부를 확인하였고, 부모들의 수술에 대한 만족도를 VAS (visual analog scale)를 이용하여 정량화 하였다.
      결과: 태아기의 문제점이나 유전양식은 발견되지 않았다. 견관절은 1예를 제외하고는 모두 비정상적이었으며 주관절은 비정상적인 2예를 제외하고는 존재하지 않았으며 완관절 및 수부도 모든 예에서 기형을 보였으며 무지는 없거나 저형성되어 있었다. 편측이 이환된 경우에 비해 양측이 이환된 경우는 하지를 비롯한 다른 동반 기형을 가지는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기존의 Frantz와 O'Rahilly 분류법으로 분류가 가능한 경우는 없었으며 Tytherleigh-Strong과 Hooper에 의한 추가 분류법으로는 type A가 1예, type B가 1예, type C가 7예에 해당되었다. Goldfarb 등에 의한 분류법으로는 proximal radial longitudinal dysplasia가 2예에 해당되었으며 proximal ulnar longitudinal dysplasia가 7예에 해당되었다. 무지화 수술을 시행한 3예에서는 수술 후 맞섬 및 손끝집기가 가능해졌으며, 합지증 분리술을 시행한 2예에서는 모두 수술 후 가쪽집기가 가능해졌다. 수술적 치료에 대한 부모의 만족도는 수술 후 평균 8.2였다.
      결론: 해표지증은 편측 및 양측 이환 여부에 따라서 임상 양상의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해표지증은 기존의 Frantz와 O'Rahilly의 분류에 의하여 단순 분류하기는 어려우며, 분류상 횡적 개재성 기형이 아닐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수술적 치료는 팔 길이보다는 수부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무지화 수술과 합지증 분리술을 통해 기능적 개선을 얻을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Phocomelia is an extremely rare congenital anomaly of the upper extremity. There have been no clinical reports about phocomlia in Korea except for five birth reports. We present here the clinical features, classifications and surgical treatme...

      Purpose: Phocomelia is an extremely rare congenital anomaly of the upper extremity. There have been no clinical reports about phocomlia in Korea except for five birth reports. We present here the clinical features, classifications and surgical treatments of our phocomelia cases.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1993 to August 2007, seven patients were diagnosed as having phocomelia in 9 upper extremities at our clinic. Surgical treatments were performed for five patients on their hand anomalie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and radiographs of our cases, and we tried to classify them by the previously suggested systems. We evaluated the functional improvement and measured the VAS scale for parental satisfaction with the operative outcomes.
      Results: We could not find any problems during the fetal periods or any hereditary features. The bilaterally-affected patients also had deformities of the lower extremity, while the unilaterally-affected patients did not. We couldn't classify our cases according to the Frantz and O'Rahilly system. We found that the classifications suggested by Tytherleigh-Strong and Hooper (2003) and Goldfarb et al. (2005) could be promising alternatives for classification. One upper extremity was classified as type A, one as type B, and 7 as type C by Tytherleigh-Strong and Hooper's system. Using the Goldfarb's system, two upper extremities were classified as proximal radial longitudinal dysplasia, and seven were classified as proximal ulnar longitudinal dysplasia. Three patients who underwent pollicization showed opposition and tip pinch. Two patients who underwent syndactyly division could do lateral pinch. The VAS scale for parental satisfaction with the functional improvement averaged 8.2 postoperatively.
      Conclusion: The bilateral cases had different clinical features from unilateral ones. Phocomelia could not simply be classified by the Frantz and O'Rahilly system, and it may not be a true transverse intercalary deficiency. We could gain functional improvement after operations on the hand anomal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론
      • 대상 및 방법
      • 결과
      • 고찰
      • 결론
      • 서론
      • 대상 및 방법
      • 결과
      • 고찰
      • 결론
      • 참고문헌
      • 국문초록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Goldfarb CA, "Upper-extremity phocomelia reexamined: a longitudinal dysplasia" 87 : 2639-2648, 2005

      2 Lee SJ, "Two cases of phocomelia and chondrodystrophia fetalis" 17 : 339-342, 1974

      3 Shimizu J, "Therapy of phocomelia and the results of Sulamaa’s operation" 18 : 304-307, 1967

      4 Baek GH, "The relative incidence of congenital anomalies of the hand" 32 : 796-801, 1997

      5 Tytherleigh-Strong G, "The classification of phocomelia" 28 : 215-217, 2003

      6 Flatt AE, "The care of congenital hand anomalies" The CV Mosby 37-51, 1977

      7 Taussig HB, "Thalidomide and phocomelia" 30 : 654-659, 1962

      8 Yamauchi Y, "Sulamaa’s operation for phocomelia; 7-year follow-up result" 22 : 907-908, 1971

      9 Fletcher I, "Review of the treatment of thalidomide children with limb deficiency in Great Britain" 148 : 18-25, 1980

      10 Lamb DW, "Phocomelia of the upper limb" 3 : 200-203, 1971

      1 Goldfarb CA, "Upper-extremity phocomelia reexamined: a longitudinal dysplasia" 87 : 2639-2648, 2005

      2 Lee SJ, "Two cases of phocomelia and chondrodystrophia fetalis" 17 : 339-342, 1974

      3 Shimizu J, "Therapy of phocomelia and the results of Sulamaa’s operation" 18 : 304-307, 1967

      4 Baek GH, "The relative incidence of congenital anomalies of the hand" 32 : 796-801, 1997

      5 Tytherleigh-Strong G, "The classification of phocomelia" 28 : 215-217, 2003

      6 Flatt AE, "The care of congenital hand anomalies" The CV Mosby 37-51, 1977

      7 Taussig HB, "Thalidomide and phocomelia" 30 : 654-659, 1962

      8 Yamauchi Y, "Sulamaa’s operation for phocomelia; 7-year follow-up result" 22 : 907-908, 1971

      9 Fletcher I, "Review of the treatment of thalidomide children with limb deficiency in Great Britain" 148 : 18-25, 1980

      10 Lamb DW, "Phocomelia of the upper limb" 3 : 200-203, 1971

      11 Frantz CH, "O'Rahilly R: Congenital skeletal limb deficiencies" 43 : 1202-1224, 1961

      12 Johnson HA, "Formation of a functional thumb post with sensation in phocomelia" 49 : 327-332, 1967

      13 Sulamaa M, "Early treatment of congenital bone defects of the extremities: aftermath of thalidomide disaster" 18 : 130-132, 1964

      14 Chung MS, "Congenital anomaly. In: Chung MS ed. Hand surgery. 1st ed. Seoul" The Koonja Publishing Inc 1397-1398, 2005

      15 Taussig HB, "A study of the German outbreak of phocomelila. The thalidomide syndrome" 180 : 1106-1114, 1962

      16 Chung MS, "A functional classification of congenital anomalies of the hand" 3 : 109-118, 1988

      17 Sulamaa M:Upper extremity phocomelia, "A contribution to its operative treatment" 251-257 1963

      18 Kim YP, "A case of phocomelia" 29 : 282-286, 1986

      19 Hur EJ, "A case of phocomelia" 30 : 1427-1433, 1987

      20 Lee HJ, "A case of congenital phocomelia" 16 : 33-35, 1973

      21 Whang KH, "A case of atypical phocomelia" 10 : 525-528, 196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4-14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1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등록 한글명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06 0.06 0.0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08 0.08 0.24 0.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