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색소분석을 통한 곰소만 내 해수와 퇴적물 중 미세조류 생체량과 군집구조의 시공간적 변화 =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 of Microalgal Biomass and Community Structure in Seawater and Surface Sediment of the Gomso Bay as Determined by Chemotaxonomic Analy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8263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만의 대부분이 조간대(약 75%)인 전라북도 곰소만 내 해수와 퇴적물 중 미세조류의 생체량과 군집조성의 월 변화를 비교하기 위해서 1999년 2월부터 2000년 1월까지는 매월, 2000년 2월부터 12월까...

      만의 대부분이 조간대(약 75%)인 전라북도 곰소만 내 해수와 퇴적물 중 미세조류의 생체량과 군집조성의 월 변화를 비교하기 위해서 1999년 2월부터 2000년 1월까지는 매월, 2000년 2월부터 12월까지는 격월로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HPLC)를 이용하여 광합성색소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해수 중 미세조류의 군집구조를 조절하는 환경요인을 조사하기 위해서 수온, 염분, 영양염류, 용존산소, 화학적산소요구량을 분석하였다. 해수 중 미세조류의 월별 분포는 대체로 담수의 유입으로 인한 영양염류의 공급이 많은 시기에 높은 생체량(chlorophyll a)을 보였다. 퇴적물 중 저서미세조류의 생체량은 국내외 다른 갯벌지역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낮았으며, 단위 면적당 적분한 해수 중 미세조류의 생체량에 비해서 2-3배 낮게 나타났다. 해수와 퇴적물 중 미세조류의 색소분석 결과, 규조류의 주요색소인 fucoxanthin 농도가 가장 높았으며, fucoxanthin과 chlorophyll a의 월 변화가 유사한 양상을 보여 곰소만 내 갯벌과 해수 중 미세조류는 규조류가 우점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조하대 표층 해수 중 미세조류 생체량(chlorophyll a)의 월 변화는 갯벌에 서식하는 저서미세조류 생체량의 월 변화와 다른 양상을 보였으며, 현미경 관찰을 통한 해수 중 미세조류의 종조성 분석 결과, 저서미세조류의 우점종인 저서성 규조류는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는 곰소만 갯벌에서 재부유되어 조하대로 공급되는 저서미세조류가 조하대 표층 생태계에 서식하는 생물에게 먹이원으로서의 기여도는 상대적으로 낮다는 것을 시사한다. 갯벌에서 재부유되어 조하대로 공급되는 미세조류의 정확한 평가와 함께 조하대에서 이들의 수직, 수평 거동과 관련된 심도 깊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 compare monthly variations of phytoplankton biomass and community composition between in seawater and sediment of the Gomso Bay (tidal flat: approximately 75%), the photosynthetic pigments were analyzed by HPLC every month in 1999 and every two mon...

      To compare monthly variations of phytoplankton biomass and community composition between in seawater and sediment of the Gomso Bay (tidal flat: approximately 75%), the photosynthetic pigments were analyzed by HPLC every month in 1999 and every two months in 2000. Ambient physical and chemical parameters (temperature, salinity, nutrients, dissolved oxygen, and chemical oxygen demand) were also examined to find the environmental factors controlling structure of phytoplankton community. The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of chlorophyll a concentration in seawater were correlated well with the magnitude of freshwater discharge from land. The biomass of microphytobenthos at the surface sediments was lower than that in other regions of the world and 2-3 times lower than phytoplankton biomass integrated in the seawater column. Based on the results of HPLC pigment analysis, fucoxanthin, a marker pigment of diatoms, was the most prominent pigment and highly correlated with chlorophyll a in seawater and sediment of the Gomso Bay. These results suggest that diatoms are the predominant phytoplankton in seawater and sediment of the Gomso Bay. However, the monthly variation of chlorophyll a concentration in seawater at the subtidal zone was not a good correlation with that in sediment of the Gomso Bay. Although pelagic plankton was identified in seawater by microscopic examination, benthic algal species were not found in the seawat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ntribution from the suspended microphytobenthos in the tidal flat to the subtidal zone of the Gomso Bay may be low as a food source to the primary consumer in the upper water column of the subtidal zone. Further study needs to elucidate the vertical and horizontal transport magnitude of the suspended microphytobenthos in the tidal flat to the subtidal zon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승진, "한국 서해 새만금 갯벌에서 저서미세조류의 생체량과 군집조성에 대한 HPLC 분석" 한국수산과학회 37 (37): 215-225, 2004

      2 이용우, "광합성색소 분석을 통한 광양만 갯벌 퇴적물 중 저서미세조류의계절변화" 한국해양학회 14 (14): 48-55, 2009

      3 장진호, "곰소만 조간대 퇴적물의 장기적 변화" 한국지구과학회 28 (28): 357-366, 2007

      4 윤지현, "곰소만 양식 바지락의 밀도와 성장" 부경대학교 대학원 2001

      5 유만호, "강화도 장화리 갯벌에서 저서미세조류의 계절적 분포 및 일차 생산력" 한국해양학회 10 (10): 8-18, 2005

      6 이학영, "가마미 해수욕장(전남 영광) 갯벌의 미세조류의 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과학회 12 (12): 15-724, 2003

      7 김종성, "Within-day and seasonal patterns of microphytobenthos biomass determined by co-measurement of sediment and water column chlorophylls in the intertidal mudflat of Nanaura, Saga, Ariake Sea, Japan" 72 : 42-52, 200703

      8 강창근, "Trophic importance of benthic microalgae to macrozoobenthos in coastal bay systems in Korea:dual stable C and N isotope analyses" Inter-research 259 : 79-92, 200312

      9 김종성, "Tidal resuspension of microphytobenthic chlorophyll a in a Nanaura mudflat, Saga, Ariake Sea, Japan: flood-ebb and spring-neap variations" 312 : 85-100, 200604

      10 강창근, "The importance of intertidal benthic autotrophs to the Kwangyang bay (Korea) food webs:d13C analysis"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36 (36): 109-123, 200112

      1 오승진, "한국 서해 새만금 갯벌에서 저서미세조류의 생체량과 군집조성에 대한 HPLC 분석" 한국수산과학회 37 (37): 215-225, 2004

      2 이용우, "광합성색소 분석을 통한 광양만 갯벌 퇴적물 중 저서미세조류의계절변화" 한국해양학회 14 (14): 48-55, 2009

      3 장진호, "곰소만 조간대 퇴적물의 장기적 변화" 한국지구과학회 28 (28): 357-366, 2007

      4 윤지현, "곰소만 양식 바지락의 밀도와 성장" 부경대학교 대학원 2001

      5 유만호, "강화도 장화리 갯벌에서 저서미세조류의 계절적 분포 및 일차 생산력" 한국해양학회 10 (10): 8-18, 2005

      6 이학영, "가마미 해수욕장(전남 영광) 갯벌의 미세조류의 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과학회 12 (12): 15-724, 2003

      7 김종성, "Within-day and seasonal patterns of microphytobenthos biomass determined by co-measurement of sediment and water column chlorophylls in the intertidal mudflat of Nanaura, Saga, Ariake Sea, Japan" 72 : 42-52, 200703

      8 강창근, "Trophic importance of benthic microalgae to macrozoobenthos in coastal bay systems in Korea:dual stable C and N isotope analyses" Inter-research 259 : 79-92, 200312

      9 김종성, "Tidal resuspension of microphytobenthic chlorophyll a in a Nanaura mudflat, Saga, Ariake Sea, Japan: flood-ebb and spring-neap variations" 312 : 85-100, 200604

      10 강창근, "The importance of intertidal benthic autotrophs to the Kwangyang bay (Korea) food webs:d13C analysis"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36 (36): 109-123, 200112

      11 Bidigare, R. P., "The distribution of algal chlorophylls and their degradation products in the Southern Ocean" 33 : 923-937, 1986

      12 Carpenter, J. H., "The Chesapeake Institute Technique for the Winkler dissolved oxygen methods" 10 : 142-143, 1965

      13 Herman, P. M. J., "Stable isotopes as trophic tracers: combining field sampling and manipulative labelling of food resources for macrobenthos" 204 : 79-92, 2000

      14 Brotas, V., "Spatial and temporal patterns of microphytobenthic taxa of estuarine tidal flats in the Tagus Estuary (Portugal) using pigment analysis by HPLC" 171 : 43-57, 1998

      15 Metaxatos, A., "Seasonality of algal pigments in the sea water and interstitial water/sediment system of an eastern Mediterranean coastal area" 55 : 415-426, 2002

      16 Jeffrey, S. W., "Phytoplankton pigments in oceanography: guidelines to modern methods" UNESCO Publishing 74-75, 1997

      17 Reid, P. C., "Phytoplankton of the North Sea and its dynamics: a review" 26 : 295-331, 1990

      18 Cariou-Le Gall, V., "Monthly HPLC measurements of pigment concentration from an intertidal muddy sediment of Marennes-Oléron Bay, France" 121 : 171-179, 1995

      19 Burkill, P. H., "Microzooplankton grazing and selectivity of phytoplankton in coastal waters" 93 : 581-590, 1987

      20 Kang, C. K., "Microphytobenthos seasonality determines growth and reproduction in intertidal bivalves" 315 : 113-127, 2006

      21 Barranguet, C., "Microphytobenthos biomass and community composition studied by pigment biomarkers: importance and fate in the carbon cycle of a tidal flat" 38 : 59-70, 1997

      22 Kang, C. K., "Isotopic evidence of particle size-dependent food partitioning in cocultured sea squirt Halocynthia roretzi and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2009

      23 Wright, S. W., "Improved HPLC method for the analysis of chlorophylls and carotenoids from marine phytoplankton" 77 : 183-196, 1991

      24 Park, M.O., "HPLC method for the analysis of chlorophylls and carotenoids from marine phytoplankton" 32 : 46-55, 1997

      25 MacIntyre, H.L., "Fine-scale vertical resolution of chlorophyll and photosynthetic parameters in shallow-water benthos" 122 : 227-237, 1995

      26 de Jong, D.J., "Dynamics and distribution of microphytobenthic chlorophyll-a in the Western Scheldt estuary (SW Netherlands)" 311 : 21-30, 1995

      27 de Jonge, V., "Contribution of resuspended microphytobenthos to total phytoplankton in the Ems Estuary and its possible role for grazers" 30 : 91-105, 1992

      28 Cartaxana, P., "Comparative study on microphytobenthic pigments of muddy and sandy intertidal sediments of the Tagus estuary" 66 : 225-230, 2006

      29 Strickland, J.D., "A practical handbook of seawater analysis. 2nd ed" Bull. Fish. Res. Bd. Can. 167-, 197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9-0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 바다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9 0.933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