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활동방법에 나타난 창의인성요소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2337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창의인성요소를 분석해 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창의인성요소의 전체 빈도와 백분율을 산...

      본 연구는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창의인성요소를 분석해 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창의인성요소의 전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고 각 생활주제별, 활동유형별, 활동영역별 창의인성요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문제에 관심갖기’ 영역, ‘탐구능력’ 세부영역, ‘집중력’ 핵심내용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생활주제별 창의인성요소를 분석한 결과 유치원과 친구, 우리동네, 생활도구는 ‘도덕성에 기초한 비판적 사고’ 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 생활주제는 ‘집중력’ 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활동유형별 창의인성요소를 분석한 결과 자유선택활동, 대소집단활동은 ‘집중력’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바깥놀이활동은 ‘자기주도성’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활동영역별 창의인성요소를 분석한 결과 언어, 수․조작, 이야기나누기, 동화, 동시, 음악, 신체, 요리 영역은 ‘집중력’ 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역할, 동극 영역은 ‘자율적 문제해결’, 과학 영역은 ‘도덕성에 기초한 분석적 사고’, 게임과 바깥놀이 영역은 ‘도덕성에 기초한 비판적 사고’ 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향후 효과적인 유아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가 되길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urrent situation of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 exercised in current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by analyzing creativity-character elements presented in the activity method of teacher’s manual for 5 year old Nu...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urrent situation of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 exercised in current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by analyzing creativity-character elements presented in the activity method of teacher’s manual for 5 year old Nuri curriculum. For that purpose, the frequencies and the percentages of creativity- character elements were derived from teacher’s manual for 5 year old Nuri curriculum and analyzed by daily subject, activity type and activity domain. As a result, ‘Show interests in problems’, ‘Inquiry ability’ and ‘Attentive attitude’ elements were most frequently presented. Secondly, ‘Critical thinking based on morality’ element was most frequently found in daily subjects like Kindergarten and Friends, Our Neighborhood, and Appliances while ‘Attentive Attitude’ was most frequently found in the other daily subjects. Thirdly, Optional Activity and Big·Small-group Activity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for Attentive Attitude while Outdoor Activity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for ‘Active participation for problem-solving’ element. Lastly, Language, Number・Operation, Conversing, Children’s Story, Children’s Poem, Music, Physical and Cooking domains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of ‘Attentive attitude’ element while Role and Juvenile Drama domains showed ‘Autonomous problem-solving’, Science domain showed ‘Analytic thinking based on morality’ and Game and Outdoor Activity domains showed ‘Critical thinking based on morality’ as the most frequently presented elements. The results above are expected to be important base data to explore measures for effective young children’s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 in the futu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논의 및 결론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경화, "창의인성교육 성과 분석 및 발전과제" 한국과학창의재단 2013

      2 박영태, "창의인성 함양을 위한 누리과정에의 MeFOT 적용방안" 3 (3): 5-33, 2014

      3 교육과학기술부, "창의와 배려의 조화를 통한 인재 육성-창의․인성교육 기본방안-" 교육과학기술부 2009

      4 최현주, "창의성요소와 인성요소의 유기적 결합을 위한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1-25, 2017

      5 공은희, "창의·인성교육으로서 콜라주 기법을 활용한 미술프로그램 연구 : 5∼7세 유아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6 박정희, "창의-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유아의 창의성과 교육기관 적응의 관계 연구"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5 (15): 169-187, 2011

      7 최일선, "창의, 인성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실행" 한국육아지원학회 9 (9): 73-98, 2014

      8 조난심, "인성 평가 척도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4

      9 박창현, "유치원 교사의 창의인성교육에 대한 관심과 실행"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0 (30): 127-143, 2012

      10 홍명희, "유아인성교육" 형설출판사 2012

      1 이경화, "창의인성교육 성과 분석 및 발전과제" 한국과학창의재단 2013

      2 박영태, "창의인성 함양을 위한 누리과정에의 MeFOT 적용방안" 3 (3): 5-33, 2014

      3 교육과학기술부, "창의와 배려의 조화를 통한 인재 육성-창의․인성교육 기본방안-" 교육과학기술부 2009

      4 최현주, "창의성요소와 인성요소의 유기적 결합을 위한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1-25, 2017

      5 공은희, "창의·인성교육으로서 콜라주 기법을 활용한 미술프로그램 연구 : 5∼7세 유아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6 박정희, "창의-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유아의 창의성과 교육기관 적응의 관계 연구"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5 (15): 169-187, 2011

      7 최일선, "창의, 인성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실행" 한국육아지원학회 9 (9): 73-98, 2014

      8 조난심, "인성 평가 척도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4

      9 박창현, "유치원 교사의 창의인성교육에 대한 관심과 실행"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0 (30): 127-143, 2012

      10 홍명희, "유아인성교육" 형설출판사 2012

      11 이병래, "유아리더십에 대한 국내 학위논문 연구동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 (20): 423-451, 2015

      12 전경원, "유아누리과정의 활동목표에 나타난 창의융합관련 요소 분석" 158-169, 2015

      13 김경희, "유아교육기관의 자유선택활동에 대한 운영 실태 및 교사인식" 1 (1): 77-97, 2016

      14 박승순, "유아교사의 수업평가 도구개발 연구 : 대집단 이야기나누기와 소집단 조형활동 수업"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15 태성란, "유아교사의 5세 누리과정 실행수준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 9 (9): 253-272, 2013

      16 김윤희, "유아교사들의 '5세 누리과정' 이해와 실행"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4

      17 이신동, "유아 창의성 교육" 양서원 2016

      18 김선진, "유아 창의․인성 함양을 위한 창의적 문제해결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성균관대학교 2015

      19 서희전, "유아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실태" 한국교원교육학회 33 (33): 345-374, 2016

      20 김선혜, "유․초 연계에 근거한 유아의 도덕성 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4 (14): 249-275, 2009

      21 이석순, "예비유아교사의 창의 인성교육 인식 연구"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8 (18): 161-183, 2014

      22 이정환, "영유아교육의 교수학습방법" 파란마음 2007

      23 문용린,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창의인재육성을 위한 창의․인성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2010

      24 Shaffer, D. R., "발달심리학" 박영 2014

      25 전경원, "누리과정이 반영된 유아창의성교육" 정민사 2015

      26 이진희,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활동목표 및 활동방법에 나타난 창의성 관련 요소 분석" 교육과학연구소 47 (47): 1-25, 2016

      27 김현주,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수록된 인성 교육 요소 분석: 3세, 4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1 (31): 259-280, 2013

      28 박선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인성교육 요소 분석 -연령, 생활주제, 활동 영역을 중심으로-" 교과교육연구소 17 (17): 1007-1031, 2013

      29 장상옥,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분석 연구의 동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2 (22): 1-29, 2017

      30 김민선, "긍정적 유아 리더의 특성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31 Torrance, E. P., "The nature of creativity: Contemporary Psychological Perspectiv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99-121, 1998

      32 World Economic Forum, "The Future of Jobs: Employment, Skills and Workforce Strategy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33 Bull, K. S., "Teaching creativity at tne college level : A synthesis of curricular components perceived as important by instructors" 8 (8): 83-893, 1995

      34 Cheek, J. M., "Shyness and sociability" 41 : 330-339, 1981

      35 Garrick, R., "Playing outdoors in the early years"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2009

      36 Josephson Institute, "MODEL STANDARDS FOR ACADEMIC, SOCIAL, EMOTIONAL, AND CHARACTER DEVELOPMENT-CRITICAL EDUCATIONAL OUTCOMES-"

      37 Monighan-Nourot, P., "Looking at children’s play : A bridge between theory and practice" Teachers College Press 1987

      38 황윤세, "Lickona의 통합인격교육론 관점에서 본 누리과정 인성교육 관련 활동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36 (36): 229-244, 2016

      39 "IT용어사전"

      40 Crain, W., "How nature helps children develop" 9 (9): 41-43, 2001

      41 Lickona, T., "Educating for character : How our schools can teach respect and responsibility" Bantam Books 1992

      42 Urban, K. K., "Creativity: A componential approach" 1995

      43 Cropley, A. J., "Creativity in education & learning: A guide for teachers and educators" Kogan Page 2001

      44 Cskiszentmihalyi, M., "Creativity : Flow and the psychology of discovery and invention" Harper Collins 1996

      45 Guilford, J. P., "Creativity" 5 (5): 444-454, 1950

      46 Peterson, C., "Character strengths and virtues : A handbook and classification" America Psychological Associ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47 Amabile, T. M., "Assessing the work environment for creativity" 39 (39): 1154-1184, 1996

      48 김진규, "6시그마 챔피언의 변혁적 리더십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내재적 동기와 프로젝트 학습성과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1

      49 송규운, "5세 누리과정 교사용지도서의 활동목표에 나타난 창의성 관련 요소 분석"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4 (14): 39-54, 2013

      50 임종헌, "4차 산업혁명사회에서 교육의 방향과 교원의 역량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44 (44): 5-32, 2017

      51 교육과학기술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52 교육과학기술부,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침서"

      53 이미란,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활동의 창의성 요소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 11 (11): 305-327, 2015

      54 안혜정, "'5세 누리과정' 해설서와 지침서에 대한 이해 및 지도서 활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4-2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Society For Children`S Media -> Korean Association for Children’s Media & Education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al of Children's Media -> Journal of Children’s Media & Education KCI등재후보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 1.6 1.9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6 1.85 2.256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