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무용수의 감정표현과 의미전달에 있어 연극적 표현기법의 필요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703965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5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793.31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Need for theatrical techniques of expression in expressing dancers' emotions and conveying their meanings

      • 형태사항

        v, 80 L.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박순자
        참고문헌: p. 73-77

      • 소장기관
        • 숙명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톨스토이는 예술은 인간의 이성적 의식을 감정으로 옮겨 놓는 인간 생활의 한 기관이며 그 감정은 인간이 자연스런 인간 고유의 생활을 모두 맛볼 때에만 솟아나는 것이다 라고 하였다. 특...

      톨스토이는 예술은 인간의 이성적 의식을 감정으로 옮겨 놓는 인간 생활의 한 기관이며 그 감정은 인간이 자연스런 인간 고유의 생활을 모두 맛볼 때에만 솟아나는 것이다 라고 하였다. 특히 무용예술은 과거에 비해 그 영역이 더욱 확대되고 표현력도 많은 발전을 보이고 있다. 무용예술은 인간의 사상과 감정을 신체의 움직임이라는 매체를 통해 표출하는 예술이지만, 신체의 움직임에서만 그쳐서는 안 된다고 하였다. 아무리 기술적으로 완벽한 동작을 한다 하더라도 미적동작, 즉 무용수가 표현하고자하는 감정, 그 생동감이 전달되지 않는다면 그것은 훌륭한 무용표현이 될 수 없다. 따라서 무용예술은 섬세하게 변화하는 내적 감정을 표출하는 것으로 이에 상응하는 풍부한 정서적 표현이 있어야 한다. 감동을 주는 표현은 진실된 표현이며, 진실된 감정 표현으로 인해 대중의 마음을 이해하고, 그 목마름을 해소해 주었을 때 관객의 인생관이 바뀌고, 삶에 있어 많은 부분을 행복으로 바꿀 수 있는 능력을 갖게 된다고 하였기 때문이다.
      표현방식에 있어서 배우의 움직임은 무용수의 움직임보다 분명하고 구체적이다. 그에 비해 무용수는 어떤 소재나 내용을 깊이 관찰, 연구하여 자신의 경험에 대한 것을 구체적으로 모두 설명하거나 나열하지는 않는다. 현대의 무용예술의 다양한 실험적 시도들은 무용예술의 발전을 위한 노력이지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무용예술에 대한 대중의 참여나 이해가 늘어나지는 못하고 있으며, 여타의 예술에 비하여 오히려 소외되는 상황에 이른 것을 통해 볼 때 외적인 표현 양식에 대한 실험이전에 무용예술의 발전을 위한 다른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에 대한 진지한 고민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관객은 소통을 필요로 하는데 연극에서의 삶의 표현을 통해 관객의 마음을 움직여 다시 또 연극을 찾듯이 무용예술에서도 이러한 공감과 표현을 통해 관객과 소통해야 함을 인식하게 되었다.
      내적 경험과 이것을 대중에게 전염시키는 것을 통한 대중과의 소통에 표현기법을 사용하는 연극은 무용예술이 자기의 내면적 사상과 감정을 표상화 하는 본능적 기능을 가지고 있고, 단순한 신체를 통한 예술이 아닌 신체와 영혼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예술이라는 측면에서 그 표현기법을 적용시킬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무용예술의 본질에 따른 감정과 의미전달의 표현기법의 필요성을 전제로 하여 연극적 표현기법을 제시하여 무용예술과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무용예술의 감정과 의미전달의 활성화를 도모하고자 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 4
      • 3. 연구의 제한점 = 5
      • Ⅰ. 서 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 4
      • 3. 연구의 제한점 = 5
      • Ⅱ. 본 론 = 6
      • 1. 무용예술의 개념과 특성 = 6
      • 1) 무용예술의 정의 = 6
      • 2) 무용예술의 본질과 구성요소 = 9
      • 3) 무용예술의 특성 = 16
      • 2. 무용예술의 현상 = 23
      • 1) 무용예술 교육 현상 = 23
      • 2) 무용수에 대한 현상 = 26
      • 3) 사회적 측면에서의 현상 = 29
      • 3. 무용수의 특성 = 32
      • 1) 무용수의 자질 = 32
      • 2) 무용수의 감정표현 = 34
      • 3) 무용수의 표현과 의미전달과의 관계 = 37
      • 4. 연극의 개념 및 기능 = 41
      • 1) 연극의 개념 및 정의 = 41
      • 2) 연극의 구성 요소 = 43
      • 3) 연극적 표현기법 및 효과 = 48
      • Ⅲ. 무용예술과 연극적 표현기법과의 관계 = 65
      • Ⅳ. 결론 및 제언 = 6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