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공공부문 지식관리에 관한 연구: 기관유형별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349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지식관리(KM)를 시행하고 있는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공기업 등을 대상으로 한 실증분석을 통해 기관유형별 KM 수준을 비교분석하고, KM의 영향요인 및 KM와 성과 간의 ...

      본 연구에서는 지식관리(KM)를 시행하고 있는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공기업 등을 대상으로 한 실증분석을 통해 기관유형별 KM 수준을 비교분석하고, KM의 영향요인 및 KM와 성과 간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이를 통해 공공부문의 기관유형에 따른 KM의 특수성과 보편성을 분석하고 효과적인 KM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부문 기관유형별 KM 수준 분석 결과 공기업이 가장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공기업의 경우 KM 기반, KM 활동, 성과 등 모든 부분에서 중앙행정기관과 지방자치단체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공공성은 물론 기업성을 동시에 지니고 있는 공기업에서 KM가 보다 효과적으로 운영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하지만 중앙행정기관 및 지방자치단체의 경우 KM 기반요인, KM 활동, 성과 등 KM 전반에 걸쳐 매우 미흡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공부문 기관유형별 KM 활동에의 영향요인에 대한 보편성과 특수성이 존재한다. 지식창출에 대한 개인태도와 업무프로세스, 지식품질 등은 기관유형에 상관없이 지식창출에의 유의미한 공통요인으로 나타났지만 다른 요인들의 경우 기관유형에 따라 차별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식축적에 대한 업무프로세스, 보상, 정보기술 등은 기관유형에 상관없이 지식축적에의 유의미한 공통요인으로 나타났지만 다른 요인들의 경우 기관유형에 따라 차별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식공유에 대해서도 업무프로세스, 보상 등은 기관유형에 상관없이 공통요인으로 나타났지만 다른 요인들의 경우 기관유형에 따라 차별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식활용에 있어서도 업무프로세스, 지식품질 등은 기관유형에 상관없이 지식활용에의 유의미한 공통요인으로 나타났지만 다른 요인들의 경우 기관유형에 따라 차별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관유형별 KM 활동과 성과 간에도 보편성과 특수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행정기관의 경우, 지식활용만이 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지방자치단체의 경우, 지식창출, 축적, 공유, 활용 등 KM 활동 모두가 KM 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공기업의 경우, 지식공유 및 지식활용 등의 KM 활동이 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종합해 볼 때 공공부문의 기관유형에 따라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KM 활동은 차별적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분석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KM는 성과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방법론적 도구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으며, 각 기관유형별 특수성과 보편성을 토대로 구성원들의 KM 활동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기반요인을 확인하고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공기업 등 공공부문의 효과적인 KM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ⅰ) 공공부문 기관유형별 특성 및 조직의 목표와 맥락에 부합하는 KM 비전과 전략의 수립, ⅱ) 최고 관리자의 관심과 실질적 지원, 중간관리자의 KM 활동 장려 및 모범적인 실천, ⅲ) 지식친화적 조직문화 구축을 위한 개방적인 의사소통 문화 조성,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levels of Knowledge Management(KM) by the types of public organizations and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fluential factors and KM performance through the empirical studies on central administrative agencies, local govern...

      This study analyzes the levels of Knowledge Management(KM) by the types of public organizations and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fluential factors and KM performance through the empirical studies on central administrative agencies, local governments, and public enterprises which operate it. Based on the findings of analysis, this study presents distinctiveness and universality of KM and proposes directions for managing it effectively.

      The main results follow this: First, in the analysis of the level of KM by the types of public organizations, public enterprises are the highest level among three organizations, the next are central administrative agencies, local governments in order. Public enterprises record the highest scores in all parts including the foundations, activities, and performances of KM. Second, this study finds distinctiveness and universality on influential factors of KM activities by types of public organizations. Third, this study also observes distinctiveness and universality between KM activities and performance by it.

      With this results, we can make sure that KM is the effective public tool for improving performance. Based on distinctiveness and universality by the types of public organizations, we can find the key figures for developing KM activities and can establish the strategies for it. Finally, this study makes recommendations regarding directions and policies for managing KM effectively on public area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