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 사회의 구조적 변동과 아버지 양육의 변화 = The Change of Social Structure and Fatheringin South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0586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후기 근대라는 그늘 아래서 ‘돌봄 제공자’로서의 아버지 역할을 사회적으로 유발하는 구조적인 변동을 분석했다. 신자유주의가 강화되는 가운데 단독생계 부양자 역할이 ...

      본 논문에서는 후기 근대라는 그늘 아래서 ‘돌봄 제공자’로서의 아버지 역할을 사회적으로 유발하는 구조적인 변동을 분석했다. 신자유주의가 강화되는 가운데 단독생계 부양자 역할이 무너지고 여성들의 유급 노동 비율이 높아지며 가족의 이혼율 증가와 같이 가족 불안정성이 증가할수록 ‘돌보미’로서의 아버지 역할은 사회적으로 강조됐다. 또한 국가의 차원에서 ‘아버지 할당제’와 같은 ‘돌봄 제공자’로 아버지를 바라보는 복지제도가 마련되고 아버지 운동에서는 돌봄 제공자로서의 권리 확보를 위해 노력했다. 이러한 구조적 변동을 배경으로 하여 아버지들은 놀이 및 교육자로서의 ‘돌보미’ 역할을 수행하며 자녀 돌봄 영역에 참여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자녀와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고 감정 능력을 발달 시키는 새로운 경험을 하게 된다. 따라서 아버지들이 ‘돌보미’로서 변화하는 가운데 그들의 양육자로서의 역할은 더욱 강화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사회구조적 변동과 아버지의 자녀 돌보미로서의 역할 강화
      • 1. 신자유주의화 이후의 가족불안정성 증가와 아버지
      • 2. 가족구조의 변동과 아버지
      • 3. 아버지상의 변화 : 아버지 운동과 아버지 자녀 양육서
      • Ⅰ. 서 론
      • Ⅱ. 사회구조적 변동과 아버지의 자녀 돌보미로서의 역할 강화
      • 1. 신자유주의화 이후의 가족불안정성 증가와 아버지
      • 2. 가족구조의 변동과 아버지
      • 3. 아버지상의 변화 : 아버지 운동과 아버지 자녀 양육서
      • Ⅲ. 아버지들의 자녀 돌봄의 특징
      • 1. 놀이 및 교육 지향적 돌봄
      • 2. 감정 지향적 돌봄
      • Ⅳ. 결 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Giddens, Anthony, "현대인의 성, 사랑, 에로티시즘" 새물결 1996

      2 Giddens, Anthony, "현대사회학" 을유문화사 2001

      3 김호기, "현대 자본주의와 한국사회: 국가·시민사회·민주주의" 사회비평사 1995

      4 김호기, "한국 시민사회의 성찰" 아르케 2007

      5 김진욱, "일하는 어머니들의 이중노동부담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5) : 197-220, 2008

      6 김혜영, "일과 가족생활의 조화로운 양립은 가능해지는가" 4 : 43-42, 2007

      7 김영호,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양서원 2005

      8 김혜경, "여성의 노동사를 통해 본 일과 가족의 접합 : 60년대 산업화 이후 친족관계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연구소 7 (7): 37-82, 2007

      9 Kindlon, Daniel J., "알파걸" 미래의 창 2006

      10 박준식, "세계화와 노동체제" 한울아카데미 2001

      1 Giddens, Anthony, "현대인의 성, 사랑, 에로티시즘" 새물결 1996

      2 Giddens, Anthony, "현대사회학" 을유문화사 2001

      3 김호기, "현대 자본주의와 한국사회: 국가·시민사회·민주주의" 사회비평사 1995

      4 김호기, "한국 시민사회의 성찰" 아르케 2007

      5 김진욱, "일하는 어머니들의 이중노동부담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5) : 197-220, 2008

      6 김혜영, "일과 가족생활의 조화로운 양립은 가능해지는가" 4 : 43-42, 2007

      7 김영호,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양서원 2005

      8 김혜경, "여성의 노동사를 통해 본 일과 가족의 접합 : 60년대 산업화 이후 친족관계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연구소 7 (7): 37-82, 2007

      9 Kindlon, Daniel J., "알파걸" 미래의 창 2006

      10 박준식, "세계화와 노동체제" 한울아카데미 2001

      11 구해근, "세계화 시대의 한국 계급 연구를 위한 이론적 모색" 비판사회학회 (76) : 255-289, 2007

      12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성인지 통계, 혼인상태별 경제활동인구(2013년도)"

      13 박기남, "새 여성학 강의" 동녘 218-243, 2008

      14 권영인, "문화적 변동과 아버지의 자녀양육 참여" 2008

      15 강학중, "맞벌이 부부의 가사 및 자녀 양육 분담에 관한 연구 - 억제 및 촉진 요인을 중심으로 -" 한국가족학회 17 (17): 187-219, 2005

      16 마경희, "돌봄의 정치적 윤리로서 관계적 자율성" 2008

      17 Hochschild, Arlie Russell, "돈 잘 버는 여자 밥 잘 하는 남자" 아침이슬 2001

      18 통계청, "경제활동인구 부가조사 결과"

      19 백진아, "경제위기에 따른 가족생활의 변화와 가족주의" 7 : 27-50, 2001

      20 Gittins, Diana, "가족은 없다: 가족이데올로기의 해부" 일신사 1997

      21 Hobson, Babara, "Making Men into Father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4, 2002

      22 Gavanas, Anna, "Making Men into Father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13-244, 2002

      23 Dermott, Esther, "Intimate Fatherhood: A Sociological Analysis" Routledge 2008

      24 Weisbort, Mark, "Globalization for Whom?" 31 : 1998

      25 LaRossa, Ralph, "Fatherhood and Social Change Fatherhood and Social Change" 37 (37): 451-457, 1992

      26 Skolnick, Arlene S., "Family in Transition" Pearson 1-10, 2007

      27 Coltrance, Scott, "Family Man: Fatherhood, Housework and Gender Equity"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4-01-15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Convergence Humanities -> Korean Association of Converging Humanities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