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미국 금리변동이 한국의 자본이동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8735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aims to examine how capital flows of Korea responded to changes of U. S. Federal Fund Rate before and after Global Finance Crisis. I focused on exploring different trends that were shown in the several types of capital flows, FDI, portfoli...

      This thesis aims to examine how capital flows of Korea responded to changes of U. S. Federal Fund Rate before and after Global Finance Crisis. I focused on exploring different trends that were shown in the several types of capital flows, FDI, portfolio investment, bank loan.
      The variables in this analysis are FFR, call rate, exchange rate, balance on current account. I took unit root test and co-integration test to analyze the long-term equilibrium relation. I examined impulse-response relation by Vector Auto-Regressive Model and did forecast error variance decomposition analysis.
      The result of analysis is that there have been high volatilities in stock investment and bank loan of Korea responded to changes of FFR except for FDI which has a relatively low volatility. In addition, I found an asymmetry before and after Global Finance Crisis such that the degree of volatilities has been highe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과 이후로 미국의 연방기금금리가 한국의 자본이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변수로는 연방기금금리, 한국 콜금리, 원/달러 환율, ...

      본 연구에서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과 이후로 미국의 연방기금금리가 한국의 자본이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변수로는 연방기금금리, 한국 콜금리, 원/달러 환율, 경상수지, 유형별 자본흐름을 사용하였다.
      공적분 검정 결과, 공적분 관계가 발견되지 않아 VAR모형을 통한 추정을 하였다. 다음으로 한 변수의 다른 변수에 대한 반응 추이를 지켜보기 위한 충격반응분석을 실시하고, 각 변수의 변동에 다른 변수들의 기여도를 파악하기 위해 예측오차분산분해 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상대적으로 약한 유출입 변동성을 가진 외국인직접투자를 제외한 다른 자본 유형들 특히 주식투자자본과 은행차입자본은 미국 금리에 대한 자본 유출입 변동성이 상당 수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또한 금융위기를 거치면서 그 정도가 심화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자본의 유형 간, 금융위기 이전과 이후 간에 어느 정도 비대칭성이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