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수치지도 좌표계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6270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n national coordinate system is an essential component for a geographic/land information system, since it provide the spatial reference for expressing position information. The national mapping of Korea was based on 3-different meridians on the Gauss...

      An national coordinate system is an essential component for a geographic/land information system, since it provide the spatial reference for expressing position information. The national mapping of Korea was based on 3-different meridians on the Gauss-Schreiber projection in year 1910s, later this was changed to the Gauss-Kruger projection. Existing map coordinate systems maintained the national land survey project on 1910s have some structural shortcomings of unknown computational procedures and accuracies of control points. This study discussed the issues involved in choosing coordinate system for digital mapping and their applications as a basis for saptial data management. Topic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nalysis of existing coordinate system : the status of existing geodetic datum, reference coordinate system, and analysis the Gauss Kruger's map projection. (2)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computation procedures of 1910s : the coordination conversion method by Gauss-Schriber directly from geodetic coordinate to grid coordinates (3) Some problems and solutions using of the mapp coordinate system : the relation of grid coordinate systems, the characteristics of map projection coordinates usage, the deviation of the G-K and the G-S coordinates, the problem of longitudes origin shift(10.405”) and its solution. (4) Implementation of the new coordinate system for digital mapping : the study about the foreign country's coordinate system, the analysis of projection method and its projection correction, the transformation of the existing coordinate system. (5) Proposed new coordinate system : the elements to realize an implemention of new coordinate system, the conversion formula of geocentric reference system, projection formula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 1. 연구목적
      • 2. 연구의 범위 및 내용
      • 제2장 기준좌표계의 현황
      • 1. 지도 및 평면좌표계의 현황
      • 제1장 서론
      • 1. 연구목적
      • 2. 연구의 범위 및 내용
      • 제2장 기준좌표계의 현황
      • 1. 지도 및 평면좌표계의 현황
      • 1) 측지기준계
      • 2) 평면좌표계
      • 2. Gauss-Kruger 투영
      • 1) 투영계산식
      • 2) 역계산식(φ,λ계산)
      • 3. 좌표계산의 체계
      • 1) 정밀삼각망의 측량
      • 2) 좌표계산의 과정
      • 4. 새로운 기준점체계의 구축방향
      • 1) 기본방향
      • 2) 새로운 기준점체계
      • 제3장 1910년대 좌표계산에 대한 고찰
      • 1. 좌표계산의 체계
      • 1) 대마연결망 측량
      • 2) 기선 및 기선망측량
      • 3) 본점측량
      • 4) 보점측량
      • 5) 소삼각측량
      • 6) 성과표작성
      • 2. 경위도좌표의 계산
      • 1) 개요
      • 2) 계산법
      • 3) 적용식
      • 3. Gauss-Schreiber투영
      • 1) 등거위도
      • 2) 구체경위도
      • 3) 구면직각좌표
      • 4) 평면좌표
      • 4. 평면직각좌표의 계산
      • 1) 방향과 거리의 투영보정
      • 2) 평면좌표 계산의 과정
      • 제4장 지도좌표계의 문제점 분석
      • 1. 지도 및 평면좌표계의 특징
      • 1) 측지기준계
      • 2) 평면좌표계
      • 2. 좌표원점 계산식의 분석
      • 3. 투영식의 비교분석
      • 1) G-K식과 G-S식의 비교
      • 2) 대삼각본점(1등삼각점)의 예
      • 4. 10.405" 문제의 분석
      • 1) 위도에 따른 특성분석
      • 2) 10.405" 적용방안
      • 5. 경도 128도 도곽선의 분석
      • 제5장 수치지도 좌표계의 도입
      • 1. 외국의 사례분석
      • 1) 영국의 사례
      • 2) 일본의 사례
      • 3) 독일의 사례
      • 4) 소련의 사례
      • 5) 호주/미국의 사례
      • 6) 뉴질랜드/말레이시아의 사례
      • 7) 태국의 사례
      • 2. 새로운 평면좌표계의 조건
      • 3. 새로운 평면좌표계의 도입방향
      • 1) 투영법 분석
      • 2) 투영보정량 분석
      • 4. 기존좌표계의 변환 및 활용방안
      • 1) 국가기본도 좌표계
      • 2) 공공 및 지적좌표계
      • 3) GIS/LIS 좌표계
      • 제6장 새로운 수치지도 좌표계의 설정
      • 1. 새로운 수치지도 좌표계의 설정(안)
      • 2. 기호 및 좌표계
      • 1) 기호의 정의
      • 2) 좌표계
      • 3. 3차원좌표와 타원체좌표의 전환
      • 1) 타원체좌표에서 3차원좌표의 설계
      • 2) 3차원좌표에서 타원체좌표의 계산
      • 4. 투영계산식
      • 1) 투영계산식
      • 2) 역계산식(φ, λ계산)
      • 제7장 결론 및 건의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