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수출다변화 관점에서 본 대브라질 수출추세 변화와 그 특징 = Korea’s Export to Brazil I -The Change of Tendency and its Characteristic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708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is natural that the Korean economy is oriented to depend heavily on foreign trade and exports as it has grown through international trade beginning in the 1960s. The regional diversification of exports is always an important task for the growth an...

      It is natural that the Korean economy is oriented to depend heavily on foreign trade and exports as it has grown through international trade beginning in the 1960s. The regional diversification of exports is always an important task for the growth and expansion of the Korean economy because this diversification stabilizes the economy and assists in overcoming economic crisis.
      This paper focuses on the Latin American region, especially Brazil, which is emerging as an alternative for regional diversification of exports. These days, Korea's exports to Brazil account for 1 to 2 percent of Korea's total exports. Thus, this study analyses a time series of data regarding Korean exports to Brazi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restricted to examining the changes in trend/tendency of export from Korea to Brazil, differentiating and dividing all periods during 1965 to 2017 into sub-periods. These results will assist in detailing the larger picture of international trade between Korea and Brazil.
      Following the introduction, Chapter 2 discusses the notion of regional export diversification and the changes of that notion over time that were documented in Korean research articles and subsequently the overall flow of Korea’s exports to the World and Brazil from 1965 to 2017. Chapter 3 reviews the regression analysis conducted with the data regarding Korea's exports to Brazil, differentiating exports and division of sub-periods. Finally we conclude with a short explanation of the division of the sub-periods and the highlights of each perio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경제는 수출지향경제로서 대외교역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이로 인해 한국경제의 생존 및 발전을 위해 대외교역 증대와 다변화는 항상 중요한 과제이다. 따라서 수출/교역의 지역적 다...

      한국경제는 수출지향경제로서 대외교역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이로 인해 한국경제의 생존 및 발전을 위해 대외교역 증대와 다변화는 항상 중요한 과제이다. 따라서 수출/교역의 지역적 다변화란 측면에서 하나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중남미지역, 그 중에서도 브라질과 한국의 교역관계에 이번 논문은 초점을 맞추고 있다. 1980년대서부터 국내에서 언급이 되기 시작한 중남미지역과 브라질은 2000년대로 접어들면서 교역규모도 많이 늘어나고 있으며, 2010년대에 한국의 대브라질 수출은 한국 총수출에서 1-2%를 차지하고 있다.
      이번 연구는 한국의 관점에서 대브라질 교역을 분석하는데, 특히 ‘한국의 대브라질 수출 변천과정’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동안 한국의 대브라질 수출이 어떠했는지를 먼저 이해하고자, 장기 시계열 자료를 바탕으로 단기적 수출의 변화, 그에 따른 일정기간의 수출추세를 찾고, 이를 통해 시대 구분을 한 다음, 이 시대구분의 각 구간이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본 논문은 서론에 이어 제 2장에서 한국의 총수출과 대브라질 수출이라는 전체적 흐름, 좀 더 세부적으로 한국 내에서 수출다변화 개념의 시대적 인식변화와 통계자료를 기반으로 한 한국의 대브라질 수출의 변천과정을 논의한다. 제 3장에서는 대브라질 수출의 변화과정을 회귀분석을 통해 시대구분을 한 다음, 제 4장에서 회귀분석에서 나온 시대구분의 각 구간이 갖는 의미가 무엇인지를 논의하면서 결론짓는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국제무역연구원, (21) : 2018

      2 민성환, "한국제조업의 수출다각화 실태와 시사점" 산업연구원 2012

      3 김인수, "한국의 수출과 성장-인과관계검정 및 성장함수모형에 의한 분석-" 한국산업경제학회 15 (15): 13-, 2002

      4 제현정, "한국의 수출 포트폴리오 이대로 괜찮은가?." 국제무역연구원/한국무역협회 12 (12): 2013

      5 민성환, "한국산업의 수출다각화 패턴 분석" 산업연구원 2011

      6 임원택, "한국경제의 이해" 비봉출판사 1987

      7 변형윤, "한국경제론" 유풍출판사 1995

      8 서석태, "한국 수출수요와 공급의 구조방정식 추정" 한국개발연구원 1980

      9 메이슨, "한국 경제.사회의 근대화" 한국개발연구원 1981

      10 장선미, "한·중·일 IT산업의 수출구조에 관한 연구: 다양성과 집중성 비교" 산업개발연구소 29 (29): 51-73, 2013

      1 국제무역연구원, (21) : 2018

      2 민성환, "한국제조업의 수출다각화 실태와 시사점" 산업연구원 2012

      3 김인수, "한국의 수출과 성장-인과관계검정 및 성장함수모형에 의한 분석-" 한국산업경제학회 15 (15): 13-, 2002

      4 제현정, "한국의 수출 포트폴리오 이대로 괜찮은가?." 국제무역연구원/한국무역협회 12 (12): 2013

      5 민성환, "한국산업의 수출다각화 패턴 분석" 산업연구원 2011

      6 임원택, "한국경제의 이해" 비봉출판사 1987

      7 변형윤, "한국경제론" 유풍출판사 1995

      8 서석태, "한국 수출수요와 공급의 구조방정식 추정" 한국개발연구원 1980

      9 메이슨, "한국 경제.사회의 근대화" 한국개발연구원 1981

      10 장선미, "한·중·일 IT산업의 수출구조에 관한 연구: 다양성과 집중성 비교" 산업개발연구소 29 (29): 51-73, 2013

      11 남정호, "중국이 사드보복을 끝낸 진짜이유"

      12 한겨레 사설, "중국의 ‘사드보복’, 해도 해도 너무한다"

      13 권경성, "중국사드보복 해제되나? 한중경제협의체 재가동"

      14 조희근, "우리나라의 수출구조 변화와 향후과제"

      15 정귀일, "우리나라 수출시장 다변화 비교분석 및 시사점" 한국무역협회 2018

      16 최요철, "우리나라 수출과 성장간의 관계 분석" 한국은행 8 (8): 43-75, 2002

      17 산업연구원, "수출편중도의 국제비교와 시사점" KIET 2018

      18 국제무역연구원, "세계무역구조 변화와 한국무역" (30) : 2016

      19 전국경제인연합회, "세계교역에서의 수급구조로 본 우리 수출의 구조적 불균형과 개선과제" 2016

      20 전수용, "사드보복에도 대중수출 13% 늘었다"

      21 산업통상자원부, "보도자료: 2017년 제1차 수출지원기관협의회 개최"

      22 한진현, "남미공동시장의 골문을 열자"

      23 강기천, "경제성장에 따른 수출가격과 상품다양성의 연구 –수출품 다양성과 차별화 효과를 고려한 수출가격지수 개발과 추정" 산업연구원 2007

      24 Bleaney, M., "The Impact of Terms of Trade and Real Exchange Rate on Investment and Growth in Sub-Saharan Africa" 65 : 491-500, 2001

      25 Imbs, J., "Stages of Diversification" 1993 : 63-86, 2003

      26 Labys, Walter C., "Portfolio optimisation and the design of Latin American export diversification policies" 26 (26): 260-277, 1990

      27 Klinger, B., "Innovation and export portfolios"

      28 Cadot, O., "Export diversification : What’s behind the hump?" 93 (93): 590-605, 2011

      29 Farole, Reis, "Analyzing Trade Competitiveness - A Diagnostics Approach" World Bank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3-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 포르투갈-브라질 연구 -> 한국 포르투갈-브라질 학회 KCI등재
      2016-02-17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 포르투갈-브라질 학회 -> 한국 포르투갈-브라질 연구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Luso-Brazilian Studies -> Korean Association of Lusophone Area Studies(KALAS)
      KCI등재
      2016-02-1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Portuguese-Brazilian Studies -> Journal of Lusophone Area Studies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5-07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Portuguese-Brazilian Studies -> Korean Association of Luso-Brazilian Studies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7 0.17 0.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6 0.14 0.566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