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무직 종사자의 원예활동 경험과 직무스트레스 관계분석 = Analysis of Relationships between Job Stress and Preference of Horticulture Activities of Clerical Work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620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HAP) for job stress management for clerical workers. The research was designed as descriptive study. One hundred fifty officers were analyzed of experience and preference of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HAP) for job stress management for clerical workers. The research was designed as descriptive study. One hundred fifty officers were analyzed of experience and preference of Horticultural activities and plants. And the Scale of Job Stress Short Form developed by Jang et al. (2005), 24 items, 7 sub domains, 4 Likert scale, reliability Cronbach’s alpha 0.88 was used. The preferred horticulture plants were composed of ornamentals 37.3%, vegetables 18.0%, and fruits 12.7%. The preferred ornamentals were flowering and functional plants. Among the horticulture activities, officers experienced watching 53.7%, gardening 28.8%, and using 5.1%, but their preference was changed as gardening 28.7%, using 24.7%, and watching 18.6%.
      The harvesting and decorating activities were recommended. And the more experience of horticultural activity was the less score of job stress, insecurity of job, and conflict of relationship. The group who had preferred to ornamentals was the more autonomy of job than those who had preferred vegetables. So the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was recognized necessary to develop for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tress manage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사무직 종사자들의 직무스트레스 완화를 위하여 원예식물 및 활동에 관한 사전 선호도와 직무스트레스의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실시하였다. 원예 활동 경험과 관련된 사전 선호도...

      본 연구는 사무직 종사자들의 직무스트레스 완화를 위하여 원예식물 및 활동에 관한 사전 선호도와 직무스트레스의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실시하였다. 원예 활동 경험과 관련된 사전 선호도 조사에서 원예식물 중 많이 키워본 식물 및 선호하는 원예식물은 화훼, 채소, 과수 순으로 조사되었으며 경험해 본 원예활동은 감상하기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선호하는 원예활동은 키우기, 이용하기, 감상하기 순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원예활동 경험에따른 직무스트레스 측정 결과 식물 가꾸기를 선호하는 사람의 직무 스트레스가 낮게 나타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채소류에 비해 화훼류를 선호하는 사람이 직무자율성 결여에 대한 스트레스에서 유의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다. 직무불안정 및 관계갈등 대한 직무스트레스는 식물이 비교적 유용하다고 응답한 집단의 점수가 낮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원예활동 프로그램이 직장 내 대인관계 향상 및 직무스트레스 관리에 적용 가능한 활동으로 개발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세진, "한국인 직무 스트레스 측정도구의 개발 및 표준화" 대한직업환경의학회 17 (17): 297-317, 2005

      2 김선미, "텔레마케터의 직무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의 활용"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3

      3 정은주, "직장인의 직무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 전략에 관한 성차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1) : 137-162, 2012

      4 하미경, "원예활동이 중등 여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직무스트레스 소진 및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립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2012

      5 박형욱, "공동생활시설 내 지적 장애인의 일상생활동작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원예치료의 영향" 농업생명과학연구원 46 (46): 11-17, 2012

      6 Baker DB, "The study of stress at work" 6 : 367-381, 1985

      7 Cobb S, "The frequency of rheumatic disease" Harvard Univ Press 1971

      8 Heo YM, "The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on empathy and satisfac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Jeju National Univ 2012

      9 Kim YJ, "The effect of self efficac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home helper" Chosun Univ 2008

      10 Lazarus RS, "Stress, appraisal, and coping" Springer 1984

      1 장세진, "한국인 직무 스트레스 측정도구의 개발 및 표준화" 대한직업환경의학회 17 (17): 297-317, 2005

      2 김선미, "텔레마케터의 직무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의 활용"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3

      3 정은주, "직장인의 직무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 전략에 관한 성차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1) : 137-162, 2012

      4 하미경, "원예활동이 중등 여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직무스트레스 소진 및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립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2012

      5 박형욱, "공동생활시설 내 지적 장애인의 일상생활동작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원예치료의 영향" 농업생명과학연구원 46 (46): 11-17, 2012

      6 Baker DB, "The study of stress at work" 6 : 367-381, 1985

      7 Cobb S, "The frequency of rheumatic disease" Harvard Univ Press 1971

      8 Heo YM, "The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on empathy and satisfac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Jeju National Univ 2012

      9 Kim YJ, "The effect of self efficac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home helper" Chosun Univ 2008

      10 Lazarus RS, "Stress, appraisal, and coping" Springer 1984

      11 Bongers PM, "Psychosocial factors at work and musculoskeletal disease: A review of the literature" 19 : 297-312, 1993

      12 Landsbergis PA, "Patterning of psychological attributes and distress by “Job Strain” and social support in a Sample of working men" 15 : 379-404, 1992

      13 Parker DF, "Oraganizational determinatnts of job stress" 32 : 160-177, 1983

      14 Conway TL, "Occupational stress and variation in cigarette, coffee, and alcohol consumption" 22 : 155-165, 1981

      15 Henningsen GM, "Measurement of salivary immunoglobulin a as and immunologic biomarker of Job stress" 18 : 133-136, 1992

      16 Riihimaki H, "Low-back pain, its origin and risk indicators" 17 : 81-90, 1991

      17 Landsbergis PA Schnal PL, "Job strain and health behaviors:Results of a prospective study" 12 : 237-245, 1998

      18 Karasek RA, "Job demands, Job decision latitude, and mental strain: Implications for job redesign" 24 : 285-308, 1979

      19 Hunter LW, "Feeling the heat: Effects of stress, commitment, and job experience on job performance" 50 : 953-968, 2007

      20 Sturdevant RAL, "Epidemiology of peptic ulver" 104 : 9-14, 1976

      21 Kim JY,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on the depression and personal relations to immigrant women in rural areas" 20 : 185-186, 2009

      22 Choi YH, "Effects of horticultural activity on job stress, ability to react and job satisfaction classified by working women" Catholic Univ 2014

      23 Lazarus RS, "Copin theory and research: Past, present, and future" 55 : 234-237, 1993

      24 Uehata TA, "A cohort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stress and cardiovascular onset in japanese male works" 16-20,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화훼산업육성협회 -> 한국화훼학회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for Flower Industry Development ->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10-20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화훼연구회 -> 한국화훼산업육성협회
      영문명 : Journal Of The Korean Flower Research Society -> Korean Association for Flower Industry Development
      KCI등재
      2006-09-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화훼연구회지 -> 화훼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Flower Research Society -> Flower Research Journal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4 0.34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37 0.506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