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미숙아 어머니를 위한 체계적인 정보제공이 모아애착, 양육스트레스, 양육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343840

      • 저자
      • 발행사항

        대구 :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1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계명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 2011. 2

      • 발행연도

        2011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발행국(도시)

        대구

      • 기타서명

        Effects of systematic information for mothers with premature infants on maternal attachment, parental stress, and maternal confidence

      • 형태사항

        ⅳ, 62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명

        계명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 신영희
        부록 : 1, 일반적 특성. - 2, 모아애착 측정도구. - 3, 양육스트레스 측정도구. - 4, 양육자신감 측정 도구
        참고문헌 : p. 32-37

      • 소장기관
        •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미숙아어머니를 위한 체계적인 정보제공이 모아애착, 양육스트레스, 양육자신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 간호중재에 적용하고자 시도 되었다. 자료수집은 D소재 K병원에 입원...

      본 연구는 미숙아어머니를 위한 체계적인 정보제공이 모아애착, 양육스트레스, 양육자신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 간호중재에 적용하고자 시도 되었다. 자료수집은 D소재 K병원에 입원한 미숙아 어머니를 대상으로 본 연구에 참여를 동의한 실험군 20명과 대조군 2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 유사실험 설계를 사용하였다.
      연구도구는 Muller(1994)가 개발한 모아애착조사표(Maternal Attachment Inventory)를 한규은(2001)이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양육스트레스 도구는 Abidin(1990)이 개발한 부모스트레스 척도(Parenting Stress Index)를 김동희(1997)가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양육자신감은 Parker와 Zahr(1985)의 모성자신감척도(Maternal Confidence Questionnaire)를 채선미(2001)가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15.0 버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χ2-test와 t-test. Repeated measures ANOVA로 분석하였고, 시기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Simple main effec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 1가설인 체계적인 정보제공을 받은 실험군이 일상적인 퇴원교육을 받은 대조군에 비해 시간경과에 따른 모아애착 점수가 높을 것이다 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 지지되었다(F=6.16, p=.005).
      2) 제 2가설인 체계적인 정보제공을 받은 실험군이 일상적인 퇴원교육을받은 대조군에 비해 시간경과에 따른 양육스트레스 점수가 높을 것이다 는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 지지되었다(F=5.56, p=.004).
      3) 제 3가설인 체계적인 정보제공을 받은 실험군이 일상적인 퇴원교육을 받은 대조군에 비해 시간경과에 따른 양육자신감 점수가 높을 것이다 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 지지되었다(F=16.50, p<.001).
      이상의 연구결과로 미숙아 어머니를 위한 체계적인 정보제공이 미숙아어머니의 모아애착을 증진시키고, 양육스트레스는 감소시키며, 양육자신감을 높이는 효과적인 중재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가 PPT와 동영상을 이용한 그룹교육으로 미숙아 어머니를 위한 중재 개발에 기초자료가 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ffects of systematic information for mothers with premature infants on maternal attachment, parenting stress and maternal confidence. Using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quasi-experimental design, 42 stu...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ffects of systematic information for mothers with premature infants on maternal attachment, parenting stress and maternal confidence. Using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quasi-experimental design, 42 study subjects were assigned into two groups, experimental group (n=20), received systemic information; and the control (n=22), received usual discharge education. Prior to intervention, baseline data were collected (pretest) and then systemic information were given four times for experimental group. Maternal attachment, parental stress and maternal confidence were measured. Data were collected three times: first, at the 7 to 10 days and second, at the 3 to 4 days prior to discharge, and third, two weeks after discharg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ing systematic information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maternal attachment(F=6.16, p=.005) and maternal confidence(F=16.50, p<.001), and lower scores on the parental stress(F=5.56, p=.004) than those of the control.
      In conclusion, provision of systematic information for mothers with premature infants is an effective intervention to enhance maternal attachment and confidence and to decrease parental stres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3
      • 3. 연구의 가설 3
      • 4. 용어의 정의 3
      • I.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3
      • 3. 연구의 가설 3
      • 4. 용어의 정의 3
      • Ⅱ. 문헌고찰 5
      • 1. 미숙아 어머니의 모아애착 5
      • 2. 미숙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자신감 6
      • 3. 미숙아 어머니를 위한 체계적인 정보제공 8
      • Ⅲ. 연구방법 10
      • 1. 연구설계 10
      • 2. 연구대상 10
      • 3. 연구도구 11
      • 4. 실험처치 12
      • 5. 자료수집 방법 및 절차 16
      • 6. 자료분석 방법 17
      • Ⅳ. 연구결과 18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동질성 검증 18
      • 1) 대상의 일반적 특성 및 동질성 검증 18
      • 2) 대상자의 종속변수에 대한 동질성 검증 20
      • 2. 가설검정 20
      • V. 논의 27
      • VI. 결론 및 제언 31
      • 1. 결론 31
      • 2. 제언 31
      • 참고문헌 32
      • 부록 38
      • 영문초록 58
      • 국문초록 6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