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패션 리테일 샵의 실내디자인 表現傾向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xpressive Trends in Interior Design of a Fashion Retail Shop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465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odern fashion shop diversifies with the change of fashion trends. And as interior design individualized, the functions of space, which reflect sensual and individual images, are also required beyond the space for sale. Based on this point of view...

      The modern fashion shop diversifies with the change of fashion trends. And as interior design individualized, the functions of space, which reflect sensual and individual images, are also required beyond the space for sale. Based on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how interior design and fashion among all the many formative styles we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o review expressive trends in interior design. Focus was placed on three flagship stores (Giorgio Armani, Prada Epicenter, and Louis Vuitton), which was part of a huge and innovative fashion strategy from late 1999 to 2003, when the characteristics of a fashion retail shop and fashion brand started to become more distinct than ever. Under the categories of retail, brand identity, and cultural marketing, expressive trends in interior design were examined in simplicity and repetitiveness (geometric), extreme contrasts of space (opened and closed), and immateriality of materials. Entering the twenty-first century, minimalism was added, and the trends started to follow deconstruction, landscape, and hybrid, which were characterized by spatial differences (de-phenomena), dynamics (continuity), and connectedness (interior and exterior space). The significance of interior space in fashion is part of the fashion designer's process and completed work. It's the task of an interior designer to understand his own world of arts and reflect his world into the space. Architectural elements become the means of effective communication in fashion, and architecture offers a sense of presence to aesthetic expressions. This study's results will help develop mutually dependent and complementary relationships between architecture and fash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해체주의 표현특성을 고려한 상업공간 실내설계 연구" 2003.

      2 "해체주의 건축의 실내공간에 나타난 랜드스케이프적 특성에 관한 연구" 2003.

      3 "패션매장에 나타난 미니멀리즘 의 특성과 실내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1999.

      4 "특집 ‘건축과 타 장르’" 2001

      5 "컬덕 시대의 문화마케팅" 서울문화재단 2005.

      6 "리테일 샵에 나타난 공간체험의 도입성향에 관한 연구" 2003.

      7 "The New Boutique Fashion and Design" First Published by Merrell Publishers Limited 2005.

      8 "The Monacelli" press 1995.

      9 "Retail / Architecture + Shopping" Published by Rizzoli international Publications Inc 2003.

      10 "Minimalimo, Minimalism" 2003.

      1 "해체주의 표현특성을 고려한 상업공간 실내설계 연구" 2003.

      2 "해체주의 건축의 실내공간에 나타난 랜드스케이프적 특성에 관한 연구" 2003.

      3 "패션매장에 나타난 미니멀리즘 의 특성과 실내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1999.

      4 "특집 ‘건축과 타 장르’" 2001

      5 "컬덕 시대의 문화마케팅" 서울문화재단 2005.

      6 "리테일 샵에 나타난 공간체험의 도입성향에 관한 연구" 2003.

      7 "The New Boutique Fashion and Design" First Published by Merrell Publishers Limited 2005.

      8 "The Monacelli" press 1995.

      9 "Retail / Architecture + Shopping" Published by Rizzoli international Publications Inc 2003.

      10 "Minimalimo, Minimalism" 2003.

      11 "LOUIS VUITTON" Published in by Harry N. Abrams Incorporated New York Limited 2005.

      12 "LOUIS VUITTON" Published in by Harry N. Abrams Incorporated New York Limited 2005.

      13 "Hot Shops" 2000.

      14 "Fashion Retail" 2004.

      15 "Fashion + Architecture" 70 (70): 2000.

      16 "20세기 이후 실내디자인과 패션에 있어 조형적 상관성에 관한 연구"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3-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8-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Construction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1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8 0.38 0.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 0.742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