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2015-2017년 국내 스마트 공중 포집기에 포획된 벼 주요 멸구류의 밀도 변동 및 보독충률 조사 = Investigation of Viruliferous Insect Rate of Planthoppers Captured by Smart Sky Net Trap (SSNT) in Korea during 2015-2017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6773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2015년-2017년 사이에 실시간 예찰 장비인 스마트 공중 포집기(SSNT)에 의해 포획된 멸구류 3종, 애멸구, 흰등멸구, 벼멸구의 비래 밀도를 분석하였으며, 각 멸구류가 전염하는 바...

      본 연구에서는 2015년-2017년 사이에 실시간 예찰 장비인 스마트 공중 포집기(SSNT)에 의해 포획된 멸구류 3종, 애멸구, 흰등멸구, 벼멸구의 비래 밀도를 분석하였으며, 각 멸구류가 전염하는 바이러스에 대하여 보독충률을 조사하였다. 중국과 가까운 충남, 전남, 전북과 경기도의 서해안 지역의 경우, 비래 밀도는 각각 27.5%, 17.2%, 15.3% 및 10.9%로 충남의 비래 밀도가 가장 높았고, 남해안 지역인 경남 지역의 비래 밀도는 15.9%였다. 그러나 경북과 강원도 지역의 동남부 지역에서 비래 밀도는 6.9%, 4.7%로 상대적으로 낮았으며, 충북의 내륙지역에서 비래 밀도는 1.6%로 가장 낮았다. 2015년부터 3년간 멸구류의 월별 대량 비래 시기는 애멸구는 7월, 흰등멸구와 벼멸구는 7-8월이었다. 2016년 이동성 멸구류 3종의 일별 대량 비래는 7월 중 하순에 7월 15일, 21일, 27일로 3회였으며, 2017년은 5월 28일, 6월 7일 및 7월 8일로 3회였다. 이 시기의 기후도는 중국과 필리핀 부근에서 형성된 고기압 사이로 우리나라를 향해 이동하는 저기압 골이 형성되었다. 2015-2017년 SSNT에 포획된 비래 멸구류의 바이러스 보독충률 조사는 RSV 등 5종의 벼 바이러스에 대하여 RT-PCR 유전자 진단을 하였다. 애멸구 1,185마리를 대상으로 RSV와 RBSCV를 검정한 결과 RSV는 검출되지 않았고, RBSDV는 0.4%의 보독충률을 보였다. 흰등멸구 898마리를 검정한 결과 SRBSDV를 보독 한 개체는 없었으며, 벼멸구 33마리를 대상으로 검정한 결과 RRSV와 RGSV를 보독한 개체는 없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ajor viruses infecting rice are transmitted by planthoppers such as small brown planthopper (SBPH), brown planthopper (BPH) and white-backed planthopper (WBPH).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planthoppers captured during 2015 to 2017 by a smart sky n...

      Major viruses infecting rice are transmitted by planthoppers such as small brown planthopper (SBPH), brown planthopper (BPH) and white-backed planthopper (WBPH).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planthoppers captured during 2015 to 2017 by a smart sky net trap (SSNT) system installed in 40 areas in Korea, which is an automatic, rapid and real-time insect surveillance system. The average rates of captured migration plnathoppers was 27.5%, 17.2%, 15.3% and 10.9% in Chungcheongnamdo, Jeollanamdo, Jeollabukdo and Gyeonggido, orderly. The highly migrated month was July for SBPH, July to August for WBPH and August for BPH. To investigate the viruliferous rates of planthoppers of rice during 2015 to 2017, we performed RT-PCR using specific primers for each rice virus. RBSDV was detected from 0.4% in SBPH, while no viruses were detected in BPH and SBPH. Rice planthoppers exist all around in Asia. They can move long distance by wind from southern countries to Korea. Monitoring the migration of rice planthoppers and their viruliferous rates is important to prevent the outbreaks of rice virus diseas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지연, "한국의 열파 분포와 그 원인에 관한 연구" 대한지리학회 42 (42): 332-343, 2007

      2 김정수, "벼줄무늬잎마름바이러스의 대 발생과 발생 요인" 한국농약과학회 15 (15): 545-572, 2011

      3 김정수, "벼 바이러스(RSV, RBSDV)와 애멸구의 간편한 VC/RT-PCR 유전자 진단기술" 한국식물병리학회 15 (15): 57-62, 2009

      4 Pham, V. D., "Yellowing syndrome of rice: etiology, current status and future challenges" 15 : 94-101, 2007

      5 Kim, J. S., "Virus-insect-plant interaction at RSV outbreak regions in Korea"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62-74, 2009

      6 Fernando, H. E., "The brown planthopper problem in Sri Lanka" 2 : 34-36, 1975

      7 Abraham, C. C., "The brown planthopper outbreaks in Kerala, India" 2 : 36-, 1975

      8 Otuka, A., "The 2008 overseas mass migration of the small brown planthopper, Laodelphax striatellus, and subsequent outbreak of rice stripe disease in western Japan" 45 : 259-266, 2010

      9 Lee, J. Y., "Studies on the occurrence of rice black-streaked dwarf Virus in Korea" 16 : 121-125, 1977

      10 Chung, B. J., "Studies on the damage of Rice stripe virus disease" 14 : 91-98, 1971

      1 김지연, "한국의 열파 분포와 그 원인에 관한 연구" 대한지리학회 42 (42): 332-343, 2007

      2 김정수, "벼줄무늬잎마름바이러스의 대 발생과 발생 요인" 한국농약과학회 15 (15): 545-572, 2011

      3 김정수, "벼 바이러스(RSV, RBSDV)와 애멸구의 간편한 VC/RT-PCR 유전자 진단기술" 한국식물병리학회 15 (15): 57-62, 2009

      4 Pham, V. D., "Yellowing syndrome of rice: etiology, current status and future challenges" 15 : 94-101, 2007

      5 Kim, J. S., "Virus-insect-plant interaction at RSV outbreak regions in Korea"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62-74, 2009

      6 Fernando, H. E., "The brown planthopper problem in Sri Lanka" 2 : 34-36, 1975

      7 Abraham, C. C., "The brown planthopper outbreaks in Kerala, India" 2 : 36-, 1975

      8 Otuka, A., "The 2008 overseas mass migration of the small brown planthopper, Laodelphax striatellus, and subsequent outbreak of rice stripe disease in western Japan" 45 : 259-266, 2010

      9 Lee, J. Y., "Studies on the occurrence of rice black-streaked dwarf Virus in Korea" 16 : 121-125, 1977

      10 Chung, B. J., "Studies on the damage of Rice stripe virus disease" 14 : 91-98, 1971

      11 Song, Y., "Studies on the Prediction Models for the Outbreaks of the Long Range Migratory Planthoppers on Rice" 96-, 2007

      12 Nasu, S., "Studies on some leafhoppers and planthoppers which transmit virus disease of rice plant in Japan" 8 : 153-349, 1963

      13 Park, J. S., "Studies on rice damage due to time of migration of the brown planthopper (Nilaparvata lugens) in Korea" 4 : 17-, 1976

      14 Zhou, G. H., "Southern rice black-streaked dwarf virus: a new proposed Fijivirus species in the family Reoviridae" 53 : 3677-3685, 2008

      15 Cabauatan, P. Q., "Rice viruses transmitted by the brown planthopper Nilaparvata lugens Stal. Planthoppers: New Threats to the Sustainability of Intensive Rice Production Systems in Asia" 357-368, 2009

      16 Abo, M. E., "Rice virus diseases: epidemiology and management strategies" 11 : 113-134, 1997

      17 Kuribayashi, K., "On the new disease of rice, black-streaked dwarf" 16 : 41-, 1952

      18 Bong-Choon Lee, "Occurrence and Detection of Rice black-streaked dwarf virus in Korea" 한국식물병리학회 21 (21): 172-173, 2005

      19 Otuka, A., "Migration of rice planthoppers and their vectored reemerging and novel rice viruses in East Asia" 4 : 309-, 2013

      20 The Korean Society of Plant Pathology, "List of Plant Diseases in Korea" The Korean Society of Plant Pathology 853-, 2009

      21 권덕호, "Incidence and occurrence profiles of the small brown planthopper (Laodelphax striatellus Fallén) in Korea in 2011–2015" 한국응용곤충학회 21 (21): 293-300, 2018

      22 Hinckley, A. D., "Ecology and control of rice planthoppers in Fiji" 54 : 467-481, 1963

      23 Chen, C. N., "Ecological physiology of rice plants attacked by the brown planthopper" Academia Sinica (3) : 135-146, 1979

      24 Matsukura, K., "Dynamics of Southern rice black-streaked dwarf virus in rice and implication for virus acquisition" 103 : 509-512, 2013

      25 Song, Y., "Development of Pest Surveillance System on Internet" 151-, 1999

      26 RDA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5 AFACI workshop on construction of epidemiology information interchange system for migratory disease and insect pest in Asia" 208-, 2015

      27 김정수, "2008년 우리나라 주요 작물 바이러스병 발생 상황" 한국식물병리학회 15 (15): 1-7, 2009

      28 김정수, "2007년 우리나라 주요 작물 바이러스병 발생 상황" 한국식물병리학회 14 (14): 1-9, 2008

      29 박진우, "2002-2004년의 벼줄무늬잎마름병 발생상황 및 약제처리에 의한 애멸구의 화학적 방제" 한국농약과학회 13 (13): 309-314,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1 0.41 0.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 0.38 0.68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