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역거버넌스의 활성화 요인에 관한 통합적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254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지역거버넌스 활성화 요인을 탐색하고 이들 변수간의 인과관계를 실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양적 방법과 질적 방법을 통합하여 지역노사정민협의회 활성화에 미치는 ...

      본 연구는 지역거버넌스 활성화 요인을 탐색하고 이들 변수간의 인과관계를 실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양적 방법과 질적 방법을 통합하여 지역노사정민협의회 활성화에 미치는 요인 및 인과관계들을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4개의 요인 모두 지역노사정협의회의 활성화에 정(+)의 관계를 형성하였으며 각각의 기여 정도는 참여평가요인(요인3) > 참여운영요인(요인1) > 참여지원요인(요인2) > 참여역량요인(요인4)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부천지역거버넌스가 활성화되는 과정을 사례분석 결과, 앞서 양적 연구에서 검증된 요인들이 부천 지역이라는 구체적인 맥락에서도 동일하게 지역거버넌스의 활성화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studies theoretical factors that local governance be activated. Through the virtual study and existent discussion, four facrors are composed of participation support, participation capability, participation administration, participation fee...

      This paper studies theoretical factors that local governance be activated. Through the virtual study and existent discussion, four facrors are composed of participation support, participation capability, participation administration, participation feedback. From the factor analysis, the four factors proved to be evaluate the present situation of local governance.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effect of local governance's activation are arranged with participation feedback > participation administration > participation support > participation capability. So, a result of case study on Buchon local governance is all alik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들어가며
      • Ⅱ. 이론적 논의와 연구 분석틀
      • Ⅲ. 지역거버넌스의 활성화 요인에 대한 양적 분석
      • Ⅳ. 지역거버넌스의 활성화 요인에 대한 질적 분석
      • Ⅴ. 결론
      • Ⅰ. 들어가며
      • Ⅱ. 이론적 논의와 연구 분석틀
      • Ⅲ. 지역거버넌스의 활성화 요인에 대한 양적 분석
      • Ⅳ. 지역거버넌스의 활성화 요인에 대한 질적 분석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주섭, "지역인적자원개발과 지역고용거버넌스" 한국노동연구원 2009

      2 원구환, "지역노사정협의회의 로컬거버넌스적 관리방안" 한국정책학회 14 (14): 273-297, 2005

      3 장홍근, "지역노사민정 파트너십의 현황과 과제" (7월) : 3-17, 2009

      4 정인수, "지역노동시장연구Ⅱ" 한국노동연구원 2006

      5 김정렬, "정부의 미래와 거버넌스: 신공공관리와 정책네트워크" 34 (34): 21-39, 2000

      6 전명숙, "새로운 지역고용 거버넌스와 노사정의 과제" 노동부·OECD 2007

      7 김성희, "부천지역 제조업공동화 대응과 중장기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노사정 역할제고 방안" 2005

      8 임수경, "부천지역 노사정협의회를 중심으로 한 지역고용거버넌스 발전사례. in: 지역고용·인적자원개발 실천사례" 노사발전재단 2008

      9 부천지역노사정협의회, "부천지역 고용 및 인적자원개발 백서" 2006

      10 부천지역노사정협의회, "부천 노사공동훈련 사업보고" 2008

      1 김주섭, "지역인적자원개발과 지역고용거버넌스" 한국노동연구원 2009

      2 원구환, "지역노사정협의회의 로컬거버넌스적 관리방안" 한국정책학회 14 (14): 273-297, 2005

      3 장홍근, "지역노사민정 파트너십의 현황과 과제" (7월) : 3-17, 2009

      4 정인수, "지역노동시장연구Ⅱ" 한국노동연구원 2006

      5 김정렬, "정부의 미래와 거버넌스: 신공공관리와 정책네트워크" 34 (34): 21-39, 2000

      6 전명숙, "새로운 지역고용 거버넌스와 노사정의 과제" 노동부·OECD 2007

      7 김성희, "부천지역 제조업공동화 대응과 중장기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노사정 역할제고 방안" 2005

      8 임수경, "부천지역 노사정협의회를 중심으로 한 지역고용거버넌스 발전사례. in: 지역고용·인적자원개발 실천사례" 노사발전재단 2008

      9 부천지역노사정협의회, "부천지역 고용 및 인적자원개발 백서" 2006

      10 부천지역노사정협의회, "부천 노사공동훈련 사업보고" 2008

      11 이성균, "미국 위스컨신 주의 노사정 협의모델" 한국노동연구원 2001

      12 임상훈, "노사공동 고용·인적자원개발 사업 연구" 노사발전재단 2007

      13 심재정, "노동조합의 지역사회 주도전략. in: 부천지역노사정협의회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노총 조직본부 2007

      14 강인성, "공공정책참여의 활성화를 위한 주민참여역량, 과정, 성과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학회 16 (16): 29-56, 2007

      15 Considine, M., "The Theory and Practice of Local Governance and Economic Development" Palgrave Macmillan 2008

      16 Kaboolian, L., "The New Public Management: Challenging the boundaries of the management vs. administration debate" 58 (58): 189-193, 1998

      17 Rhodes, R. A. W., "The New Governance: Governing without government" 44 (44): 652-667, 1996

      18 Klijn, E., "Public Management and Policy Networks" 2 (2): 135-158, 2000

      19 OECD, "New Forms of Governance for Economic Development" OECD Publications 2004

      20 OECD, "Managing Decentralization. in: A new role for labor market policy" OECD publications 2003

      21 OECD, "Local Partnership for Better Governance" OECD Publications 2001a

      22 JILPT, "Local Governance for Promoting Employment" The Japan Institute for Labor Policy and Training 2005

      23 OECD, "Local Governance and the Drivers of Growth" OECD Publications 2005

      24 Commiss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European Governance: A white paper" Office for Official Publications of the European Community 2001

      25 OECD, "Citizens as Partners. in: Information, Consultation and Public Participation in Policy-making" OECD Publications 2001b

      26 Yin, R. K., "Case Study Research-Design and Methods" SAGE 1984

      27 Kelly, R., "An Inclusive Democratic Polity, Representative Bureaucracies, and the New Public Management" 58 (58): 201-208, 1998

      28 Terry, D., "Administrative Leadership, Neo-managerialism, and the Public Management Movement" 58 (58): 194-200, 199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2 0.92 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 1.23 1.948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