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日本 明治年間 淨土眞宗의 추이와 그 특성_prepri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8058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말·일제시기에 걸쳐 성립된 한국근대불교는 대체로 개항 이후 일본 각 종파의 한국불교 침탈과 이에 대한 불교계의 대응을 중심축으로 전개되었다. 이에 대한 관심은 일찍부터 있었으�...

      한말·일제시기에 걸쳐 성립된 한국근대불교는 대체로 개항 이후 일본 각 종파의 한국불교 침탈과 이에 대한 불교계의 대응을 중심축으로 전개되었다. 이에 대한 관심은 일찍부터 있었으나, 최근에 들어 단행본으로 묶을 정도의 본격적인 연구가 나오고 있다. 그러나 이 분야 연구가 활성화된 것으로 보기에는 아직 부족한 점이 많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
      개항 이후 일제의 침략에 의해 식민지 지배체제가 구축되는 과정에서 한국불교계는 두 흐름으로 크게 나누어져 있었다. 하나는 전통불교를 수호하기 위한 호법투쟁과 함께 항일 민족운동을 전개하였으며, 다른 하나는 친일 불교를 적극 수용함으로써 현실에 안주하고 있었다. 이러한 두 흐름 가운데 어느 것이 대세를 장악하고 있었는지는 본격적인 연구의 부진으로 정확하게 파악하기는 힘든다. 더욱이 일제시기에 들어 굴절·왜곡된 불교현실은 친일 일색의 불교만이 존재한 것처럼 보이기도 하나, 물론 주류적인 분위기는 일제침략에 저항하면서 전통적 한국불교의 수호를 항일 민족운동의 차원에서 전개한 전자의 경우라고 할 수 있다. 이는 해방후 왜곡·피폐된 불교계를 개혁하고 나름의 전통을 확립하기 위해 불교계 내부에서 정화운동을 전개한 동력과도 연결되기 때문이다.
      한편 앞서 언급한 연구성과를 보면 일본불교의 침투과정에 대해서는 부분적이나마 이미 관련 자료를 정리하고 이를 통한 연구결과물이 비교적 많이 나온 편이다. 그러나 정작 일본불교가 식민지 침략과정에 적극적으로 앞장서게 된 배경과 그 사상적 토대에 대해 일본학계에 비해 우리 학계에서는 내용을 소개하는 수준이며, 광범위한 자료수집를 통한 본격적인 연구는 鄭珖鎬의 글이라 할 수 있다. 필자의 경우 본고를 작성하면서 구하기 힘든 많은 자료는 이들 논문을 통해 이용할 수밖에 없었지만, 정광호의 경우 明治佛敎의 성격을 ‘Nationalism’이라고 본 것은 어떤 기준에 의한 것인지, 그 성격 규정이 애매한 것 같다. 이를 ‘권력하의 예속과 침략주의’로 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을까 한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갖고서 일본불교가 개항기 이래 식민지 침탈에 부응하여 활약하게 된 배경과 그 특성을 검토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막부를 타도하고 난 후에 명치정부가 이데올로기적 재편을 위해 시도하였던 神道의 부활정책과 廢佛毁釋이라는 불교계에 대한 정책의 변화가 어떻게 전개되었는지를 살펴보기로 한다. 다음은 명치정부의 불교억압정책에 대한 불교계 대응을 특히 淨土眞宗을 중심으로 검토해보고자 한다. 다른 종파에 비해 정토진종에 초점을 맞춘 것은 당시 일본불교계에서 정토진종이 갖고 있는 비중이 가장 컸을 뿐만 아니라, 명치정부와 일정하게 타협을 이루면서 명치정부의 침략정책에 부응하여 가장 두드러진 역할을 했기 때문이다. 아울러 이러한 특성을 가진 정토진종이 국내외적으로 벌인 구체적인 포교활동과 그 역사적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다만 본고는 일본이 조선을 침략할 때 이에 부응한 일본불교의 침략적 속성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 목표이기 때문에 정토진종의 활동시기를 개항부터 1900년대 정도로 한정하였음을 밝혀둔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was the great political reform in 1867, so-called 'Meiji-Ishin'(明治維新), so that the new government entered the stage replacing the 'Bakuhu'(幕府). It was inclined toward the 'Chungwangje'(天皇制) and propelled modernization. Immediatel...

      The was the great political reform in 1867, so-called 'Meiji-Ishin'(明治維新), so that the new government entered the stage replacing the 'Bakuhu'(幕府). It was inclined toward the 'Chungwangje'(天皇制) and propelled modernization. Immediately, the new government abolished the 'Shinbutsushugo'(神佛習合)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new ideology, It adopted the policy of Buddhism-prohibition, the so-called 'Haibutsu-Kishaku'(廢佛毁釋). Sometimes the policy of the 'Haibutsu-Kishaku' succeeded in the reign of a powerful government, but in the end it failed becaue of the resistance of the Buddhistic order and the separation of the people feelings.
      On the other hand, if the government of 'Meiji' pertained the faithfulness in a nation for the powerful 'Chunhwangje', it was not considered a new ideology. Under this condition the Buddhistic order in Japan strongly resisted the 'Haibutsu-Kishaku', but it was rare. It compromised with the government under the condition of union. This example was revealed in the 'Higashi-Honganji'(東本願寺) on the 'Jodo-Shinshu'(淨土眞宗).
      The 'Jodo-Shinshn' had good relationship with the government and stressed the protection of a nation, and so strongly expressed the utility of Buddhism as the national ideology. Also, they stre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Shinto'(神道) and Buddhism, which is called either the 'Bukkyogokokuron'(佛敎護國論) or 'Oboihon'(王法爲本). On the other, the Buddhistic order in Japan sought into the role of the mission of a nation under the condition of compromise with a government.
      The 'Jodo-Shinshu' played positive roles in several works. Firstly, the 'Higashi-Honganji' joined the interests of a government under this condition and projected the settlement on 'Hokkaido'(北海道) to the new government. On the other hand, the 'Higashi-Honganji' propagated the religion within the country, and later projected to propagate the religion with overseas countries which had closely cooperated with the imperialism in Japan. 'Shanghai-Betsuin'(上海別院) was established on Middleland China in 1876 so that it could propagate the religion. Also the 'Jodo-Shinshu' was the center for the aggression on Buddhism in Korea. Under the demand of the Japanese government, the 'Otaniha'(大谷派) on the 'Jodo-Shinshu' propagated the religion in Korea. 'Okumura Enshin'(奧村圓心) was sent to build the 'Pusan-Betsuin'(釜山別院) in 1877, so the 'Jodo-Shinshu' began the aggression on the Korean Buddhism. They projected the generous treatment on the lower class in the Buddhistic priests of Chosun and the support on the poor people. They also built the 'Chosengogakusha'(朝鮮語學舍) as part of their long-term plans. They made efforts to have good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and sought to hold the people through education and social work.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정보원의 내용은 논문이 게재된 학술지의 정보입니다.

      정보원의 내용은 논문이 게재된 학술지의 정보입니다.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1. 머리말 2. 明治初의 불교시책 3. 明治政權과 淨土眞宗과의 타협 4. 정토진종의 국외 포교활동과 그 성격 5. 맺음말 참고 문헌

      1. 머리말
      2. 明治初의 불교시책
      3. 明治政權과 淨土眞宗과의 타협
      4. 정토진종의 국외 포교활동과 그 성격
      5. 맺음말
      참고 문헌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