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북한이탈 청소년의 한국사회적응을 위한 한국교회의 역할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418793

      • 저자
      • 발행사항

        부산 : 고신대학교, 2011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고신대학교 대학원 , 기독교교육학과 , 2011

      • 발행연도

        2011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235.71 판사항(5)

      • DDC

        268 판사항(21)

      • 발행국(도시)

        부산

      • 형태사항

        iv, 89장 ; 26 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장 71-75

      • 소장기관
        • 고신대학교 문헌정보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oles of Korean Churches for Adapting North Korean Youth Defectors to South Korean Society LEE MISEON Department of Christian Education Kosin University Graduate School Abstract The total number of North Korean defectors has...

      The Roles of Korean Churches for Adapting North Korean Youth Defectors to South Korean Society


      LEE MISEON

      Department of Christian Education
      Kosin University Graduate School


      Abstract

      The total number of North Korean defectors has been increasing continually after 1990 and currently is over 20,000 in 2010.
      Recently, North Korean social and political societies are unprecedently fluctuating and agitating in spite of strict control and supervision of cruel dictatorship of Kim Il Suing and his son Kim Jeong Ill for 60 years.
      Since 2000's North Korean government has not been affordable to provide food and necessities to its people. Obtaining food was on the individual persons and these circumstances made North Korea-China border control loose and information about China and South Korea that they are much prosperous in many ways has been penetrating into North Korea through various routes.
      As a result, considerable amount of people realize that what they know by education and propaganda is far different from the truth and they have bitter feelings of betrayal to their government and strong yearning to the outside world.
      The number of North Korean defectors who entered South Korea since the Korean War was only 300 until 2000 but increased to over 1,000 in 2001 and 10,000 in 2007. Although it took 59 years to reach over first 10,000 people but only 3 years for over 20,000.
      The ratio of female defectors who entered South Korea overpassed that of male defectors in 2002 and covered about 77% in 2009. The most age groups are 20s-30s and many of them entered the country less than 8 years ago. Recently, with increase of whole family entrance, the ratio of youth group is increasing and these juveniles' maladaptation to Korean society is rising as a social problem.
      There are several reasons for North Korean youth defectors to have some difficulties to adapt to South society; they were grown up and socialized under a totally different system; they have some traumas in body and mind and hardly got opportunities to get proper education in their very important period, due to the painful journeys to South which took for from several month to 7or8 years. Therefore, we need to understand their difficulties adapting to new society in terms of a social context not of individual abilities.
      It is demanded to bring up North Korean youth defectors as a bridge connecting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ns when the two Koreas reunified. We need to refocus and extend our purpose of education for them from mere settlement to preparation of new generation for post-reunification era.
      Trying to appreciate the problems come from North Korean youth defectors' adaptation process to South society and search for solutions of those will be very useful to ease similar difficulties with which current North Koreans may confront under reunified society. These circumstances demand the cooperation and certain role of NGOs(e.g, churches)' to support some parts of the program for the settlement of North Korean youth defectors where government has limitation. When Korean churches play their role appropriately to embrace and share North Korean defectors' sufferance and agony, their purpose to evangelize whole nation will have a foothold for it.
      For the settlement of North Korean youth defectors in South society, it is recommended for Korean churches to establish enough schools for them like Yeomyeong Schoo. Department of worship service in churches for North Korean defectors and development of appropriate program for juveniles of them are also needed to help their adaptation to Korean society and church.
      Big churches are asked for constant financial support to the churches set up by North Korean defectors so that they can focus on the ministry. In many cases, these churches are in financial troubles. To support them is to help churches in North Korea.
      Last but not least, the participation of christian schools to the education of North Korean youth defectors is strongly encouraged . Experienced teachers can be experts on this field through some training. They will teach these youths with base of christian spirit and help them to adapt to Korean church and society smoothly. The youths who are ready by all these efforts will play major roles in reunified Korea and will be leaders of next generation and core forces of North Korean evangelical minist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북한이탈 청소년의 한국사회적응을 위한 한국교회의 역할 이미선 고신대학교 대학원 기독교 교육학과 요약 1990년 이후 꾸준히 증가...

      북한이탈 청소년의 한국사회적응을 위한
      한국교회의 역할

      이미선

      고신대학교 대학원
      기독교 교육학과


      요약

      1990년 이후 꾸준히 증가 추세를 보이던 북한이탈주민의 수는 2010년 현재 2만 명 시대가 되었다. 최근 들어 김일성과 김정일 부자세습 독재 하에 60여 년간 철저하게 통제되어 온 북한 정세가, 전례없이 급변하며 흔들리고 있다.
      북한은 2000년대 이후 주민들에 대한 배급이 사라지면서 먹을 것을 찾기 위해, 예전에 비해 왕래가 자유로워지면서 중국과 한국의 발전상황 정보가 다양한 매체를 통해 전달되기 시작했다. 이로 인해 지금까지 교과서와 주민 선전을 통해 배워온 사실이 거짓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으며, 정부에 대한 강한 배신감을 갖게 되고 외부세계에 대한 동경을 갖게 되었다.
      2000년까지 1년에 300여명에 불과했던 탈북입국자는 2001년 1000명을 넘어선 뒤 2007년 1만 명을 넘어 섰다. 첫 1만 명을 넘는 데는 59년이 걸렸지만 2만 명이 되는 데는 3년밖에 걸리지 않았다. 성별 입국비율을 살펴보면 여성의 입국비율이 2002년을 기점으로 남성을 추월하여 2009년도에는 약 77%를 차지하고 있다. 연령대는 20-30대가 가장 많으며 이들의 다수는 8년 이내에 입국한 사람들이다. 최근 가족단위의 입국이 늘면서 북한이탈 청소년의 비중이 증가하며 이들의 한국 사회의 부적응문제가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북한이탈 청소년들이 한국사회 적응에 어려움을 느끼는 것의 상당 부분은 그동안 각각의 체계에서 서로 다른 방식으로 사회화되었고 탈북 후 한국 입국까지의 몇 개월에서 길게는 7-8년에 걸친 고된 여정으로 인한 심신의 병과 학습의 공백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들의 사회적응상의 어려움은 개인적인 적응력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인 맥락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한국은 북한이탈 청소년의 교육의 목표를 한국 정착에만 두지 말고 함께 살아갈 통일 세대를 준비시키는 것으로 확장하여 앞으로 있게 될 통일 시대에 북한 동포와 한국 시민들 사이에 교량 역할을 해 줄 세대로 키워야 한다.
      북한이탈 청소년들의 한국사회에서의 적응과 부적응의 문제점 파악은 통일된 사회에서 북한주민들을 원만하게 적응하도록 유도하는데 매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바로 이러한 현실 속에서 정부가 북한이탈 청소년의 정착지원 프로그램에서 지원하지 못하는 부분을 민간단체(교회)가 협력하여야 한다. 동족의 아픔을 함께 나눌 수 있는 교회의 역할이 선행되어질 때 한국교회가 지향하는 민족복음화의 길도 열려 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한국교회는 북한이탈 청소년의 한국사회정착을 위해 먼저 북한이탈청소년을 위한 학교인 여명학교와 같은 학교들을 많이 세워야 한다.
      그리고 개교회내에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예배부서를 만들고 북한이탈주민이 신앙으로 사회와 교회에 정착 할 수 있도록 도우며, 청소년들에게 관심을 갖고 북한이탈 청소년의 특성에 맞는 프로그램개발에 힘써야 한다.
      다음으로 대형교회들은 북한이탈주민들이 세운 탈북민교회를 재정과 재원으로 지속적으로 지원하여 이들이 마음껏 사역에만 전념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많은 탈북민교회들이 재정과 재원의 부족으로 힘들어 한다. 이곳을 지원하는 것은 북한에 있는 교회를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
      마지막으로 기독교학교들이 북한이탈 청소년들의 교육에 참여 하여야 한다.학교내에서 준비된 교사를 북한이탈 청소년전문교사로 육성하여 북한이탈 청소년들을 기독교 정신에 입각하여 교육하며, 한국학교와 사회에 정착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준비된 북한이탈 청소년들은 통일 한국의 주역이 되고 차세대의 리더가 되며, 북한선교의 핵심이 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 2. 선행연구고찰 5
      • 3. 연구방법 8
      • 목 차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 2. 선행연구고찰 5
      • 3. 연구방법 8
      • Ⅱ. 북한이탈 주민의 현황 및 개괄적 이해 9
      • 1. 북한이탈주민의 입국 및 거주 현황 9
      • 2.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정부의 정착지원 12
      • 1) 초기정착금 지급 12
      • 2) 주택 지원 13
      • 3) 취업 지원 14
      • 4) 교육 지원 15
      • 5) 사회보장 지원 16
      • 6) 거주지 보호 및 민간을 통한 지원 17
      • 3. 문제점 18
      • Ⅲ. 북한이탈 청소년의 현황 20
      • 1. 북한이탈 청소년의 이해 20
      • 1) 북한이탈 청소년의 정의 20
      • 2) 북한이탈 청소년 입국현황 21
      • 3) 북한이탈 청소년의 신체적 특징 23
      • 4) 북한이탈 청소년의 심리정서적 특성 26
      • 2. 북한이탈 청소년의 적응 현황 29
      • 1) 북한이탈 청소년의 학교 적응 상황 29
      • 2) 북한이탈 청소년의 사회문화적 적응 상황 35
      • 3) 북한이탈 청소년의 직업 진로지도 및 취업 현황 38
      • 3. 북한이탈 청소년의 정착지원 현황 41
      • 1) 정부의 정착지원 현황 41
      • 2) 민간차원의 정착지원 현황 44
      • Ⅳ. 북한이탈 청소년의 한국사회적응을 위한 교회의 역할 49
      • 1. 한국교회의 정착지원 현황의 개괄적 이해 49
      • 2. 교회내에서의 북한이탈 청소년에 대한 관심과 현황 53
      • 1) 학교지원 현황 53
      • 2) 개교회지원 현황 53
      • (1) 수영로교회 53
      • (2) 서울교회 54
      • (3) 약수교회 54
      • (4) 온누리교회 55
      • (5) 남포교회 55
      • (6) 새문안교회 56
      • 3) 탈북민교회 현황 56
      • (1) 새터교회 56
      • (2) 상인제일교회 57
      • (3) 열방샘교회 57
      • (4) 하나로교회 57
      • (5) 장대현교회 58
      • 4) 기독교학교의 북한이탈 청소년지원 현황 59
      • 3. 북한이탈 청소년을 위한 교회의 역할 제안 61
      • Ⅴ. 결 론 67
      • 참고문헌 71
      • 부록 76
      • ABSTRACT 8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