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COVID-19 환경에서 영어교사의 수업역량이 학생 수업이해도에 미치는 영향: 교사 테크놀로지 활용능력의 매개효과 = Effect of English Teacher’s Teaching Competency on Student Class Comprehension in the COVID-19 Environment: Mediating Effect of Teacher Technology Utilization Competenc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3273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 technology utilization ability between English teachers' teaching competency and students' class comprehension in distance learning in the COVID-19 environment. Method...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 technology utilization ability between English teachers' teaching competency and students' class comprehension in distance learning in the COVID-19 environment.
      Methods The data of 155 English teachers in the 6th Bus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in 2021 were used for teachers' teaching effectiveness and related variables. I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English teachers' teaching competency as a predictor variable, student class comprehension as an outcome variable, and English teachers' technology utilization ability as a mediator were selected.
      Results The research findings showed that the English teachers' ability to use technology showed a positive effect on the students' comprehension of English classes, and the English teachers' teaching competency had a positive mediating effect on the students' comprehension of English classes via the English teachers' technology utilization ability. In particular, the ability to use educational content such as Edunet and T-CLEAR, among the sub-domains of English teachers' technology utilization ability, showed a direct positive effect on students' comprehension of English classes.
      Conclusions For the effectiveness of English classes, the overall ability to use technology is important, but in particular, the importance of using educational content was confirmed. Accordingly, the pedagogical implications for using Edunet and T-CLEAR for English teachers were suggest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이 연구에서는 COVID-19 원격수업 환경에서 중학교 영어교사들의 수업역량이 교사 테크놀로지 활용능력을 경유하여 학생수업이해도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방법 2021년 6차년...

      목적 이 연구에서는 COVID-19 원격수업 환경에서 중학교 영어교사들의 수업역량이 교사 테크놀로지 활용능력을 경유하여 학생수업이해도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방법 2021년 6차년도 부산교육종단연구 영어교사 155명 자료를 대상으로 교사의 수업 관련 변인을 활용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에서 예측변수로 영어교사 수업역량, 결과변수로 학생 수업이해도, 매개변수로는 영어교사 테크놀로지 활용능력을 선정하였다.
      결과 분석결과 영어교사의 테크놀로지 활용능력이 학생의 영어 수업이해도에 정적 효과를 보였고, 영어교사 수업역량이 테크놀로지 활용능력을 경유하여 학생의 영어 수업이해도에 이르는 정적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특히, 영어교사 테크놀로지 활용능력의 하위영역 중 에듀넷 등의 교육용 콘텐츠 활용 능력이 학생의 영어 수업이해도에 직접적인 정적효과를 보였다.
      결론 영어 수업효과성을 위해서 교사의 테크놀로지 활용능력 전반이 중요하지만 특히, 교육용 콘텐츠 활용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있었다. 이에 영어교사의 에듀넷⋅티-클리어 활용 방안 및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이쌍철 ; 김정아, "학생의 온라인수업 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6 (36): 115-138, 2018

      2 조은순, "포스트 코로나시대 비대면 수업을 위한 교육공학의 역할과 과제" 한국교육공학회 36 (36): 693-713, 2020

      3 이동국,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교사의 테크놀로지 통합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6 (26): 261-282, 2020

      4 권성연, "코로나19에 따른 초중등 교사들의 온라인 수업 경험과 인식에 대한 탐색" 한국교육공학회 36 (36): 745-774, 2020

      5 이호은 ; 최승미 ; 박경애 ; 이성희 ; 김현정, "코로나19로 인해 변화된 교육환경 속 중등교사의 경험과 적응과정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721-747, 2021

      6 금선영 ; 조영환 ; 허선영 ; 김명신, "코로나19 팬데믹 시대 원격수업에 나타난교사 행위자성의 유형과 영향 요인" 한국교육공학회 37 (37): 161-190, 2021

      7 이옥화 ; 유민선 ; 김득준, "코로나19 위기 대응에 따른 온라인 원격수업 경험 후 교사들의 인식 변화" 한국교육공학회 37 (37): 429-458, 2021

      8 이지연 ; 성은모 ; 이지은 ; 임규연 ; 한승연, "코로나19 시대 온라인 수업의 도전과 과제" 한국교육공학회 36 (36): 671-692, 2020

      9 박민주 ; Judy Yin, "코로나19 상황에서 온라인 수업을 실시한 중등 영어 교사의 경험에 대한 이해"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20 (20): 139-166, 2021

      10 권점례, "코로나-19에 따른 초, 중, 고등학교 원격 수업 실태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405-425, 2021

      1 이쌍철 ; 김정아, "학생의 온라인수업 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6 (36): 115-138, 2018

      2 조은순, "포스트 코로나시대 비대면 수업을 위한 교육공학의 역할과 과제" 한국교육공학회 36 (36): 693-713, 2020

      3 이동국,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교사의 테크놀로지 통합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6 (26): 261-282, 2020

      4 권성연, "코로나19에 따른 초중등 교사들의 온라인 수업 경험과 인식에 대한 탐색" 한국교육공학회 36 (36): 745-774, 2020

      5 이호은 ; 최승미 ; 박경애 ; 이성희 ; 김현정, "코로나19로 인해 변화된 교육환경 속 중등교사의 경험과 적응과정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721-747, 2021

      6 금선영 ; 조영환 ; 허선영 ; 김명신, "코로나19 팬데믹 시대 원격수업에 나타난교사 행위자성의 유형과 영향 요인" 한국교육공학회 37 (37): 161-190, 2021

      7 이옥화 ; 유민선 ; 김득준, "코로나19 위기 대응에 따른 온라인 원격수업 경험 후 교사들의 인식 변화" 한국교육공학회 37 (37): 429-458, 2021

      8 이지연 ; 성은모 ; 이지은 ; 임규연 ; 한승연, "코로나19 시대 온라인 수업의 도전과 과제" 한국교육공학회 36 (36): 671-692, 2020

      9 박민주 ; Judy Yin, "코로나19 상황에서 온라인 수업을 실시한 중등 영어 교사의 경험에 대한 이해"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20 (20): 139-166, 2021

      10 권점례, "코로나-19에 따른 초, 중, 고등학교 원격 수업 실태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405-425, 2021

      11 오재호, "코로나 19가 앞당긴 미래, 교육하는 시대에서 학습하는 시대로" 421 : 1-20, 2020

      12 오영범, "초등학교 원격수업 사례분석을 통한 원격수업의 가능성과 한계" 한국초등교육학회 34 (34): 109-139, 2021

      13 조호제, "초등학교 수석교사의 교수역량 인식 분석" 한국교육과정학회 30 (30): 201-224, 2012

      14 이대용 ; 김석우, "초등학교 교사의 교수역량 평가지표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평가학회 25 (25): 581-604, 2012

      15 진성희, "초등예비교사들의 “교수역량”에 대한 자기성찰 및 강화방안" 초등교육연구원 20 (20): 233-247, 2010

      16 이민진, "중학교 영어 교사의 스마트교육에 대한 인식 및 태도 분석 연구" 제주대학교 2015

      17 박혜영 ; 민찬규, "중등영어교사의 수업 전문성 계발 실태 및 인식조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951-971, 2021

      18 오영범 ; 이상수, "원어민을 활용한 초등학교 영어화상원격교육 사례 연구" 한국초등교육학회 23 (23): 21-46, 2010

      19 박상훈, "원격교육수업 실행 방안"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20

      20 강민석 ; 김명랑, "온라인 수업에서의 교수자 역할 측정도구 개발"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 (20): 521-545, 2014

      21 이은주 ; 박인우,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서 수업 만족도에 대한 컴퓨터 자기효능감, 교수실재감, 학습자 참여의 예측관계 분석" 한국열린교육학회 20 (20): 195-219, 2012

      22 김상연, "스마트 교육 경험 집단과 비 경험 집단 간 활용 의도 경로계수 차이 분석" 한국정보교육학회 16 (16): 383-395, 2012

      23 도재우, "면대면 수업의 온라인 수업 전환과정에서 발생하는 설계 장애물에 대한 탐색" 교육연구소 26 (26): 153-173, 2020

      24 이성주, "면대면 수업과의 관련, 교수자의 관여수준에 따른 온라인 협력학습의 과정과 결과" 한국교육공학회 25 (25): 35-56, 2009

      25 김상경, "디지털포트폴리오를 적용한 예비 영어교사 수업의 학습효과"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15 (15): 35-56, 2012

      26 채민정 ; 이종연, "대학 오프라인과 온라인 수업의 질, 학습정서, 학습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3 (23): 523-548, 2017

      27 박주호 ; 송인발 ; 김화영 ; 곽현주, "교사협력활동과 수업전문성 효과 인식의 관계에서 수업효능감의 매개효과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42 (42): 81-105, 2015

      28 서경혜, "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한 대안적 접근으로서 교사학습공동체의 가능성과 한계" 한국교원교육학회 26 (26): 243-276, 2009

      29 조대연, "교사 발달단계별 직무역량 요구분석 : 서울초등교사를 대상으로" 한국교원교육학회 26 (26): 365-385, 2009

      30 안성호, "‘융복합교육’을 위한 영어교사 전문성 및 교육여건: 초・중등 영어교사들의 초점집단인터뷰 결과를 중심으로" 과학교육연구소 53 (53): 362-379, 2014

      31 Koehler, M., "What is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TPACK)?" 9 (9): 60-70, 2009

      32 Spoel, L. V. D., "Teachers’ online teaching expectations and experiences during the Covid19-pandemic in the Netherlands" 43 (43): 623-638, 2020

      33 Mardia, K. V., "Measures of multivariate skewness and kurtosis with applications" 57 (57): 519-530, 1970

      34 이영주 ; 조규락, "K-MOOC 참여 학습자 경험에 관한 연구: 현상학적 질적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한국교육공학회 34 (34): 991-1017, 2018

      35 Hu, L. T., "Cutoff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6 (6): 1-55, 1999

      36 정한호 ; 노석준 ; 정종원 ; 조영환, "Covid-19 확산이 교육계에 주는 도전: 모두를 위한 질 높은 원격수업" 한국교육공학회 36 (36): 645-669, 2020

      37 최형미 ; 이동국, "COVID-19에 따른 중등 교사의 원격수업에 대한 경험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1047-1071, 2020

      38 계보경, "COVID-19개학 연기에 따른 초⋅중⋅고 원격학습 실태 사전조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20

      39 경기대학교, "AI(Appreciative Inquiry) 기반 수업 역량 향상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열린교육학회 20 (20): 157-186, 2012

      40 Motamedi, V., "A critical look at the use of videoconferencing in United States distance education" 122 (122): 386-394, 2001

      41 교육부, "2020 원격수업 운영사례집" 교육부 202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