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불완전 환율전가 모형에서의 경기변동 및 통화정책 분석 = The Analysis of Business Cycle and Monetary Policy under the Incomplete Exchange Pass-throug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277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business cycle and optimal monetary policy in the context of the small open economy model. To do this, I have incorporated the dynamic stochastic general equilibrium model of the small open economy, f...

      The main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business cycle and optimal monetary policy in the context of the small open economy model. To do this, I have incorporated the dynamic stochastic general equilibrium model of the small open economy, following Monacelli(2005). The model, however, have been extended to reflect the more realistic inflation dynamics, in which the domestic inflation shows the endogenous persistent dynamics. Furthermore, I have estimated the structural parameters of the DSGE model using the Bayesian estimation technic. The main conclusions are summaries as follows.
      First, the estimated parameters are the range of reasonable interpretation, not different from the previous research. When there is the one standard deviation of technology shock, the output and output gap increase by 0.8% and 0.5% respectively, and then converge to their long-run equilibriums. As a result of the shock, the domestic and CPI inflation decrease by about 0.02%.
      Second, the one standard deviation of the foreign income shock makes the output and output gap to increase by 0.02%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domestic inflation increases by 0.2% right after the shock, and then converges to the equilibrium slowly.
      Third, under the technology, various simple interest rate rules including the optimal simple interest rate rule are examined. the domestic inflation has more stabilized in the optimal rule than other simple rules. Even though the rule allows the more volatility in terms of the output, the output gap shows the most stable out of other rules. As for the exchange rate peg, even if there is no the volatilities of nominal exchange and terms of trade, the rule shows the high volatilities of output, domestic and CPI infl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환율의 불완전 전가를 가정한 소규모 개방경제 하에 현실적 인플레이션의 동학을설명하는 DSGE모형을 설정하고, 베이지안 추정법에 따라 구조모형의 모수와 분포를 추정하였다. ...

      본 연구는 환율의 불완전 전가를 가정한 소규모 개방경제 하에 현실적 인플레이션의 동학을설명하는 DSGE모형을 설정하고, 베이지안 추정법에 따라 구조모형의 모수와 분포를 추정하였다. 아울러 기술적 충격과 해외소득 충격에 따른 경제 변수의 충격함수를 분석하고 다양한이자율 정책의 효과를 기술적 충격이 존재할 경우를 가정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추정결과 사전에 설정한 모수와유사한 값을 도출하였으며 이론적 예측과도 부합하였다.
      둘째, 1 표준오차의 기술적 충격이 발생했을 때, 산출량은 기술적 충격 후 약 0.8% 정도 증가했다가 서서히 장기균형으로 수렴하였으며, 산출량 갭은 3분기까지 증가했다가 균형으로수렴하였다. 충격은 물가를 하락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는데, 총공급의 증가로 물가수준을약 0.02% 하락시켰다. 이러한 국내물가 하락은 교역조건을 개선하고 환율을 절하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1 표준오차의 해외소득 충격이 발생할 경우 국내 생산은 약 0.12%, 신축적 가격 하의생산은 약 0.9%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산재 물가의 인플레이션은 충격 직후 0.2% 상승한 후 서서히 균형으로 수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이자율정책을 상정하고 기술적 충격하의 변수들의 충격반응함수를 분석하였다. 최적준칙 하에서 국내 인플레이션이 다른 정책에 비해 충격이 가장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출량의 변동은 허용하였으나 산출량 갭을 최대한 장기균형 수준에 유지시킴으로써경제안정화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배병호, "경제전망 및 정책분석을 위한 New BOK-DSGE 모형 구축결과" 한국은행 2014

      2 Corsetti, G., "Welfare and Macroeconomic Interdependence" 116 (116): 421-445, 2001

      3 Lane, P., "The New Open Economy Macroeconomics; A Survey" 54 (54): 235-266, 2001

      4 Crosetti, D., "Optimal Monetary Policy in Open Economies" 3B : 861-933, 2010

      5 Walsh, C. E., "Monetary Theory and Policy" MIT Press 2017

      6 Devereux, M. B., "Monetary Policy in the Open Economy Revisited:Price Setting and Exchange-Rate Flexibility" 70 (70): 765-783, 2003

      7 Monacelli, T., "Monetary Policy in a Low Pass-through Environment" 37 (37): 1047-1066, 2005

      8 Gali, J., "Monetary Policy and Exchange Rate Volatility in a Small Open Economy" 72 : 707-734, 2005

      9 Corsetti, G., "International Dimension of Optimal Monetary Policy" 52 : 281-305, 2005

      10 Fuhrer, J. C., "Inflation Persistence" 3 : 423-486, 2011

      1 배병호, "경제전망 및 정책분석을 위한 New BOK-DSGE 모형 구축결과" 한국은행 2014

      2 Corsetti, G., "Welfare and Macroeconomic Interdependence" 116 (116): 421-445, 2001

      3 Lane, P., "The New Open Economy Macroeconomics; A Survey" 54 (54): 235-266, 2001

      4 Crosetti, D., "Optimal Monetary Policy in Open Economies" 3B : 861-933, 2010

      5 Walsh, C. E., "Monetary Theory and Policy" MIT Press 2017

      6 Devereux, M. B., "Monetary Policy in the Open Economy Revisited:Price Setting and Exchange-Rate Flexibility" 70 (70): 765-783, 2003

      7 Monacelli, T., "Monetary Policy in a Low Pass-through Environment" 37 (37): 1047-1066, 2005

      8 Gali, J., "Monetary Policy and Exchange Rate Volatility in a Small Open Economy" 72 : 707-734, 2005

      9 Corsetti, G., "International Dimension of Optimal Monetary Policy" 52 : 281-305, 2005

      10 Fuhrer, J. C., "Inflation Persistence" 3 : 423-486, 2011

      11 Sutherland, A., "Incomplete Paa-through and the Welfare effects of Exchange Rate Variability" 65 : 375-399, 2005

      12 Alofson, M., "Incomplete Exchange rate Pass-through and Sinple Monetary Policy Rule" 26 : 468-494, 2007

      13 Obstfeld, M., "Exchange Rate Dynamics Reddux" 103 (103): 624-660, 1995

      14 Campa, J., "Eachange Pass-Through into Import Prices: A Macro and Micro Phenomenon"

      15 An, S., "Bayesian Analysis of DSGE Models" 26 (26): 113-172, 2007

      16 김태봉, "Analysis on Korean Economy with an Estimated DSGE Model after 2000" Korea Development Institute 36 (36): 1-64, 2014

      17 Liu, Philip, "A Small New Keynesian Model of the New Zealand Econmy" Reserve Bank of New Zealand 2006

      18 Clarida, R., "A Simple Framework for International Monetary Policy Analysis" 49 : 879-904, 200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9 0.59 0.6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1 0.57 0.894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