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여성 알쯔하이머병 환자에서 골다공증에 대한 임상 연구 = Association between Osteoporosis and Alzheimer`s Disease in Wom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00866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배경 및 목적 : 치매는 낙상 가능성의 증가를 통하여 골절의 위험을 높힌다. 진행된 치매에서 관찰되는 골다공증은 영양실조에 의한 2차성 부갑상선항진증과 운동부족이 중요한 원인으로 알...

      배경 및 목적 : 치매는 낙상 가능성의 증가를 통하여 골절의 위험을 높힌다. 진행된 치매에서 관찰되는 골다공증은 영양실조에 의한 2차성 부갑상선항진증과 운동부족이 중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알쯔하이머병 여성 환자에서 골다공증에 대한 유병률을 조사하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 80명의 알쯔하이머병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초기 치매는 임상치매척도가 1 이하이며, 운동 기능은 정상인 경우로 정의하였다. 과거력상 비외상성 골절의 유무를 조사하였고, osteocalcin과 deoxypyridinoline 등의 골대사지표와 함께 이중에너지 방사선흡수계측법을 이용하여 골밀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 전체적으로 알쯔하이머병 여성에서 골다공증의 유병률은 58%이었다. 80명중 45명이 초기 치매에 해당하였다. 초기 치매환자에서 골다공증성 골절의 과거력이 38%, 골교체률이 증가한 경우가 72%이었으며 골다공증의 유병률은 62%이었다.
      결론 : 여성에서 영양상태와 운동기능이 정상인 초기 알쯔하이머병은 골다공증과 매우 높은 연관성을 보이며, 이는 난포호르몬-알쯔하이머병 가설을 뒷받침하는 연구 결과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and objective : Dementia is one of the risk factors of fracture via increasing risk of falling down. Osteoporosis occurring in advanced dementia might be causally related to secondary hyperparathyroidism resulting from poor nutrition and ph...

      Background and objective : Dementia is one of the risk factors of fracture via increasing risk of falling down. Osteoporosis occurring in advanced dementia might be causally related to secondary hyperparathyroidism resulting from poor nutrition and physical activ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evalence of osteoporosis (OP) in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AD). Materials and methods : Past history of non-traumatic fracture, bone turnover markers such as osteocalcin and deoxypyridinoline and bone mineral density (BMD) using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were assessed in 80 women with AD. Early AD was defined as clinicla dementia rating scale ≤ 1 and physical activity unimpaired. Results : In general, the prevalence of OP (T value on BMD ≤ -2.5) was 58% in women with AD. Forty-five out of 80 patients belonged to early AD. Thirty-eight percentage of early AD patients had history of fragility fracture, 72% increased bone turnover rate, and 62% osteoporosis. Conclusions : Early AD with normal nutritional status and physical activity might be highly associated with OP, which supports estrogen-AD hypothesi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