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장애인의 취업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Employment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and find factors related to employment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The study conducted logit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8th of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P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mong...

      This study aims to analyze and find factors related to employment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The study conducted logit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8th of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P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mong demographic variables, sex, age, health, spouse were predictor variables. Second, among disability variables, type of disability, the need to get help from others, the ability to use transportation were predictor variables. Third, among discrimination variables, discrimination in daily living and in seeking job activities were predictor variables. Fourth, among institutional variables, welfare recipients, social insurance recipients were predictor variables. Fifth, among human capital variables, education, certificate of qualification, human relationship/organization adaptation skill, private income support were predictor variables. Upon these research, author discussed the ways and stratigies to increase the employment rate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장애인의 취업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5년 장애인고용패널 데이터(8차년도)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종속변수는 취업과 미취업으로 구...

      본 연구는 장애인의 취업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5년 장애인고용패널 데이터(8차년도)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종속변수는 취업과 미취업으로 구분하였으며 취업을 예측하는 독립변수에는 인구학적 요인, 장애 요인, 차별 요인, 제도적 요인, 인적자본 요인을 투입하였다. 통계분석방법으로는 기술통계와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장애인의 취업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면, 인구학적 요인 중 남성일수록, 연령이 낮을수록,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배우자가 있는 경우 취업할 확률이 높았다. 장애 요인 중에서는 장애유형에서 신체외부장애, 감각장애가 신체내부장애보다 취업할 가능성이 높았다. 일상생활도움 필요정도가 낮을수록, 교통수단이용 가능정도가 높을수록 취업할 확률이 높았다. 차별 요인에서는 일상생활상의 차별경험, 구직활동/취업준비시 차별경험이 많을수록 취업할 가능성이 낮았다. 제도적 요인에서는 국민기초생활수급자가 비수급자보다, 사회보험급여가 있을수록 취업할 확률이 낮았다. 인적자본 요인에서는 학력이 낮을수록, 자격증을 보유하는 경우, 대인관계/조직적응능력이 좋을수록, 사적이전소득이 낮을수록 취업할 확률이 높았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장애인의 취업관련 함의를 도출하였고, 취업 활성화를 위한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장애인의 취업 관련 요인들을 다양한 변인들을 통해 파악해 냄으로써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준상, "지체 및 뇌병변장애인의 취업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18 (18): 57-82, 2008

      2 임효순, "지적장애인의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19 (19): 27-50, 2009

      3 최운정, "중고령 여성장애인의 취업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4 (24): 123-146, 2014

      4 성준모, "정신적 장애인의 취업에 종단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배제와 차별요인"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6 (26): 125-148, 2016

      5 정원철, "정신장애인의 취업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2 (22): 5-27, 2012

      6 조상미, "정신장애인의 사회적 기업 취업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40 (40): 146-174, 2012

      7 이석원, "장애인의 취업 및 취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6 (26): 41-66, 2016

      8 김용탁, "장애인의 재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17 (17): 161-176, 2013

      9 남정휘, "장애인의 재취업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4 (24): 27-49, 2014

      10 남정휘, "장애인의 실업탈출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17 (17): 127-149, 2013

      1 이준상, "지체 및 뇌병변장애인의 취업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18 (18): 57-82, 2008

      2 임효순, "지적장애인의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19 (19): 27-50, 2009

      3 최운정, "중고령 여성장애인의 취업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4 (24): 123-146, 2014

      4 성준모, "정신적 장애인의 취업에 종단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배제와 차별요인"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6 (26): 125-148, 2016

      5 정원철, "정신장애인의 취업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2 (22): 5-27, 2012

      6 조상미, "정신장애인의 사회적 기업 취업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40 (40): 146-174, 2012

      7 이석원, "장애인의 취업 및 취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6 (26): 41-66, 2016

      8 김용탁, "장애인의 재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17 (17): 161-176, 2013

      9 남정휘, "장애인의 재취업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4 (24): 27-49, 2014

      10 남정휘, "장애인의 실업탈출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17 (17): 127-149, 2013

      11 신유리, "장애인의 사회적 포함(Social Inclusion)의 의미에 관한 탐색적 고찰"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6 (26): 125-152, 2016

      12 이선우, "장애인의 경제활동유형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Multinomial Logit(다항로짓)을 이용한 분석" 18 (18): 113-135, 2001

      13 전영환, "장애인 고용서비스의 취업효과분석"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4 (24): 5-25, 2014

      14 곽지영, "장애여성의 노동시장 진입 및 유지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 (20): 79-104, 2010

      15 서진숙, "신체 내부기관 장애인의 취업결정요인"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2 (22): 241-266, 2012

      16 박자경, "기업의 장애인고용 결정기제에 관한 연구: 저원가 경영전략, 거래비용이론, 제도화이론을 바탕으로" 한국직업재활학회 25 (25): 131-151, 2015

      17 김성용, "국민기초생활수급여부가 정신장애인의 취업에 미치는 영향 - 연령 차이를 중심으로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19 (19): 1-26, 2015

      18 이성규, "고령 장애인의 취업 결정 요인 연구" 한국장애인복지학회 (19) : 45-64, 2012

      19 이수용, "고령 장애인의 노동시장 진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직업재활학회 25 (25): 107-127, 2015

      20 Leon, L. C., "Self-esteem theories : Possible explanations for poor interview performance for people experiencing unemployment" 76 (76): 41-50, 2010

      21 Darensbourg, B. L., "Predictors of competitive employment of VR consumers with blindness or visual impairments" 38 (38): 29-34, 2013

      22 Capella-McDonnall, M., "Predictors of competitive employment for blind and visually impaired consumer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99 (99): 303-315, 2005

      23 Bolton, B., "Predicting client employment outcomes from personal history, functional limitations, and rehabilitation services" 44 (44): 10-21, 2000

      24 Martz, E., "Person-related and service-related factors predicting employment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28 (28): 97-104, 2008

      25 Wang, Y., "Employment outcome predictor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aiwan-A Preliminary study usiing ICF conceptual frameworks" 79 (79): 3-14, 2013

      26 Henry, A., "Employer-recommended strategies to increase opportun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41 (41): 237-248, 2014

      27 Simonsen, M., "Employer preferences in hiring youth with disabilities" 81 (81): 9-18, 2015

      28 Tremblay, T., "Effects on beneficiary employment and earnings of a graduated $1-for$2 benefit offset for Social Security Disability Insurance" 77 (77): 19-28, 2011

      29 Erikson, W., "Disability Statistics from the 2008 American Community Survey(ACS)" Cornell University Rehabilitation Research and Training Center on Disability Demographics and Statistics 2010

      30 Austin, B., "A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 Predictors of employment outcomes for clients with intellectual and co-occurring psychiatric disabilities" 80 (80): 11-20, 2014

      31 고제훈, "2015년 장애인경제활동 실태조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5-27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영문명 : Korea Employment Promotion Agency for the Disabled / Employment Development Institute ->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 Employment Development Institute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8-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Disability & employment -> Disability & Employment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1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장애인고용 -> 장애와 고용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7 1.77 1.8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93 1.85 2.252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