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생활주제를 중심으로 한 유아국악 교수-학습 지도안 연구 = (A) Study on Guidance Plan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for Infants Focused on Subject in Lif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0035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국악교육의 가치가 새로이 인식되면서 유,초,중등학교 교육과정에서의 전통예술 교육이 강화되고 있다. 그러나 국악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는데 비해 유아의 국악교육을 담당...

      국악교육의 가치가 새로이 인식되면서 유,초,중등학교 교육과정에서의 전통예술 교육이 강화되고 있다. 그러나 국악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는데 비해 유아의 국악교육을 담당해야 할 교사에 대한 국악교육은 체계와 심도에 있어 부족한 실정이다. 국악교육 관련 논문 역시 유아 국악 교육의 방법론이나 프로그램에 대한 것은 충분치가 않다.
      이 연구는 유아의 국악교육을 담당하는 교사를 위한 학습지도안을 제시하여 앞으로의 국악교육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제 6차 유치원 교육과정의 활동 영역을 살펴보고 이 안에서 국악교육이 어떻게 적용되는가에 대해 살펴본다.이를 통해 유아에게 국악교육을 하는 것은 표현 생활 영역에서 유아의 표현능력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건강,사회,언어,탐구 생활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유치원 교육과정의 학습 계획은 통합의 원칙 아래에서 진행되어야 한다. 국악영역 내에서의 통합, 음악 영역 내에서의 통합, 다른 예술영역과의 통합, 비예술영역과의 통합을 통한 수업은 유아의 생각의 틀을 넓혀 자유롭고 창의적인 유연한 사고방식을 갖게 해준다. 본 연구에서는 통합의 원칙을 염두에 두고 생활 주제를 이용해 유아국악교육의 연간계획안을 작성하고 이를 구체화한 학습지도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교수-학습 지도안은 유치원의 생활주제와 내용적인 연관성을 가지는 제재곡을 활용한 만 5세 유아 대상의 1차시 분 수업에 해당하는 지도안으로 구성하였다. 각 수업의 활동은 노래 부르기, 국악 감상하기, 전래놀이와 동작 표현, 악기 다루기의 네 가지 내용으로 진행하며 수업의 활동목표와 주요 활동과정, 지도시 유의점을 기술하였다.
      제재곡은 전래동요, 창작 국악동요, 민요를 다양하게 포함시키고 이야기 나누기, 동화 들려주기 등의 활동으로 유아의 주의를 집중시키며, 제재곡을 익힌 후에는 놀이,악기 연주,율동,창작 등의 과정을 진행하여 활동을 확장시킨다. 연구자는 본 지도안을 통해 국악교육 중심의 유치원 생활주제의 반복, 심화, 통합의 과정을 제시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the value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became newly recognized, the traditionalart education in the education courses of kindergarten and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has been reinforced. However, while the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of ...

      As the value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became newly recognized, the traditionalart education in the education courses of kindergarten and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has been reinforced. However, while the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of Korean traditionalmusicisbeing raised,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forteachers who are going to be in charge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for infants are actually insufficient in the aspects of system and depth. Theses related to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re also insufficient for methodologies or programs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for infants.
      This study has the purpose to help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n the future by suggesting a teaching guidance plan for teachers in charge of the education for infants. In order to accomplish the goal, first of all, it is going to examine the activity areas of the 6th Kindergarten Educational Course and the applications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within it. Through this, it could be found that educating Korean traditional music to infants help not only raise the infant's expression ability in the expression living area but also have an positive influence on health, society, language and inquiry life.
      The teaching plan of the kindergarten educational course should be progressed under the principle of consolidation. Teaching through consolidation within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area, music area, with other art areas and non-art areas makes the infant's thinking frame widen to have a free, creative and flexible thinking method. In this study, the principle of consolidation will be considered and an annual plan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for infants by using subjects in life will be prepared and a teaching guidance plan that concretes them will be suggested.
      The teaching guidance plan of this study is composed of that corresponding to the first minute teaching for infants atthe age of 5 utilizing subject songs that has connection of contents with subjects in life of kindergartens.
      The activities of each teaching are progressed with four items such as singing songs, appreciating Korean traditional music, plays handed down and movement expression and performance of the musical instruments and the goals, main activity courses and matters to be attended to in teaching are described.
      Subject songs include child verses handed down, creative child verse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folk songs variously and draw infant's attention to activities such as talking each other and telling children's stories and after learning subject songs, extend activities by progressing the courses of plays, performance of musical instruments, rhythmic movementand creation. The researcheris going to suggest the courses of repetition, deepening and consolidation of subjects in life of kindergarten focused on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through this guidance pla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목차-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 2. 선행연구의 고찰 = 3
      • (국문요약)
      • -목차-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 2. 선행연구의 고찰 = 3
      • Ⅱ. 본론 = 7
      • 1. 유치원 교육과정의 이해 = 7
      • 1) 제 6차 유치원 교육 과정이 추구하는 인간상 = 7
      • 2) 개정의 중점 = 7
      • 3) 유치원 교육과정의 영역별 국악 활동 = 9
      • (1) 건강 생활 = 10
      • (2) 사회 생활 = 11
      • (3) 표현 생활 = 12
      • (4) 언어 생활 = 15
      • (5) 탐구 생활 = 16
      • 2. 유아국악 교육과정의 운영 = 17
      • 1) 국악교육과 통합활동 = 17
      • 2) 생활 주제에 따른 연간 계획안 = 18
      • (1) 노래 부르기 = 19
      • (2) 국악 감상하기 = 20
      • (3) 전래놀이와 동작 표현 = 21
      • (4) 악기 다루기 = 22
      • (5) 연간 계획안의 예시 = 23
      • 3) 교수-학습 지도안의 예시 = 24
      • (1) ‘나와 유치원’을 주제로 구성한 교수-학습 지도안 = 27
      • (2) ‘봄’을 주제로 구성한 교수-학습 지도안 = 31
      • (3) ‘나와 가족’을 주제로 구성한 교수-학습 지도안 = 35
      • (4) ‘우리나라’를 주제로 구성한 교수-학습 지도안 = 39
      • (5) ‘여름’을 주제로 구성한 교수-학습 지도안 = 43
      • (6) ‘동물’을 주제로 구성한 교수-학습 지도안 = 48
      • (7) ‘가을’을 주제로 구성한 교수-학습 지도안 = 52
      • (8) ‘지구와 환경’을 주제로 구성한 교수-학습 지도안 = 56
      • (9) ‘겨울’을 주제로 구성한 교수-학습 지도안 = 59
      • (10) ‘새해’를 주제로 구성한 교수-학습 지도안 = 63
      • Ⅲ. 결론 = 68
      • 참고문헌 = 70
      • -표 목차- = 72
      • -그림 목차- = 72
      • (Abstract) = 7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