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근로자들의 고용안정성에 대한 인식과 혁신활동 간의 관계 = 조직정체성의 매개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2978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무한경쟁시대에 생존의 필수적인 요소가 혁신으로 인식되면서 혁신을 제고할 수 있는 영향요인을 찾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혁신활동이 고용안정성에 어떠한 영향을 받...

      무한경쟁시대에 생존의 필수적인 요소가 혁신으로 인식되면서 혁신을 제고할 수 있는 영향요인을 찾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혁신활동이 고용안정성에 어떠한 영향을 받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타 연구와 달리 개인수준에서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편의추출법에 의해 중소 제조기업의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612부를 회수하였다. 연구결과 고용안정성이 혁신활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검증하였다. 또한 고용안정성을 측정하였던 직위안정성 및 상황통제력이 조직 정체성을 매개로 혁신활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이 연구는 고용안정성이 높으면 혁신활동이 저하된다는 일부 이론이나 상식과는 반대의 실증결과를 보여준다. 고용안정성의 영향에 관한 연구가 국내에 많지 않은 현실에서 본 연구는 고용안정성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보다 심화시키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고용불안정이 큰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기업이 여기에 대응하여야 하는 상황에서 중요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고용안정성이 혁신활동에 기여를 한다는 것을 증명함으로써 고용안정성 제고가 단순히 근로자의 안정욕구를 충족하는 것이 아니라 기업의 혁신활동을 촉진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더불어 실무적으로 고용안정성을 단순한 하나의 개념이 아닌 직위안정성과 상황통제력이라는 구성요소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이는 기업과 근로자가 혁신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보다 구체적으로 고용안정을 실행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는 점을 지적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and how innovative activities are influenced by job security.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at the individual level we collected the 612 survey data from 1,000 employees who worked for small-siz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and how innovative activities are influenced by job security.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at the individual level we collected the 612 survey data from 1,000 employees who worked for small-sized manufacturing companies.
      According to the research, job security facilitates innovative activities. And this research finds that positional stability and situational control power lead employees to activity participate in innovation activities through organizational identity.
      This research result is opposite to common sense that job security demotes innovative activities.
      This research presents a practical implication to Korea when it suffers from high employment instability and stagnant innovation at the same time. This study suggest that companies and employees improve positional stability and situational control power in order to enhance innovation. This will sustain their win-win solution.
      Moreover, this research may contribute to expand the aspect of advance academic research on job security while there exist little research on the effects of job security can contribute to innovation activities. Also, this research presents that job security is not a notion but the alternative by using of the positional stability and situational control power.
      Finally, The limitation of this research is discuss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이론적 고찰 및 가설설정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Ⅴ. 결론 및 시사점
      • Ⅰ. 서론
      • Ⅱ. 이론적 고찰 및 가설설정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Ⅴ. 결론 및 시사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양혁승, "창조경영을 논하다" 연세대학교 창조경영센터 113-134, 2008

      2 조윤형, "조직구성원들의 변화에 대한 태도가 혁신성향에 미치는 영향: 학습조직의 조절효과" 한국인력개발학회 13 (13): 63-88, 2011

      3 배규식, "작업장혁신 중장기 발전전략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008

      4 김주엽, "긍정심리자본이 조직구성원의 직무만족과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교육학회 26 (26): 117-148, 2011

      5 정대용, "긍정심리자본과 리더십성과" 한국경영교육학회 26 (26): 401-428, 2011

      6 박통희, "공무원의 신분불안과 조직시민행동 - 조직신뢰의 매개효과 -" 한국정책학회 17 (17): 275-310, 2008

      7 박상언, "고용조정을 경험한 조직에서 사원들의 고용불안감 및 신뢰감 지각과 직무성과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학회 33 (33): 7-7, 2004

      8 Hackman, J. R, "Work Redesign" Addison Wesley 1980

      9 Zhou, J, "When Job Dissatisfaction Lead to Creativity: Encouraging the Expression of Voice" 44 (44): 682-696, 2001

      10 Woodman, R. W., "Toward a Theory of Organizational Creativity" 18 (18): 293-321, 1993

      1 양혁승, "창조경영을 논하다" 연세대학교 창조경영센터 113-134, 2008

      2 조윤형, "조직구성원들의 변화에 대한 태도가 혁신성향에 미치는 영향: 학습조직의 조절효과" 한국인력개발학회 13 (13): 63-88, 2011

      3 배규식, "작업장혁신 중장기 발전전략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008

      4 김주엽, "긍정심리자본이 조직구성원의 직무만족과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교육학회 26 (26): 117-148, 2011

      5 정대용, "긍정심리자본과 리더십성과" 한국경영교육학회 26 (26): 401-428, 2011

      6 박통희, "공무원의 신분불안과 조직시민행동 - 조직신뢰의 매개효과 -" 한국정책학회 17 (17): 275-310, 2008

      7 박상언, "고용조정을 경험한 조직에서 사원들의 고용불안감 및 신뢰감 지각과 직무성과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학회 33 (33): 7-7, 2004

      8 Hackman, J. R, "Work Redesign" Addison Wesley 1980

      9 Zhou, J, "When Job Dissatisfaction Lead to Creativity: Encouraging the Expression of Voice" 44 (44): 682-696, 2001

      10 Woodman, R. W., "Toward a Theory of Organizational Creativity" 18 (18): 293-321, 1993

      11 Rank, J., "Three Avenues for Future Research on Creativity, Innovation and Initiative" 53 : 518-528, 2004

      12 Deci, E. L, "The ‘What’ and ‘Why’ of Goal Pursuits: Human Needs and the Self-determination of Behavior" 11 : 227-268, 2000

      13 Amabile, T. M, "The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Springer- Verlag 1983

      14 Tajfel, H, "The Social Identity Theory of Intergroup Behavior, In The Psychology of Intergroup Relations" Nelson-Hall 7-24, 1986

      15 Baron, R. M,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51 (51): 1173-1182, 1986

      16 Fried, Y,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Security on the Relation between Role Clarity and Job Performance: A Longitudinal Field Study" 56 (56): 787-805, 2003

      17 De Cuyper, N, "The Impact of Job Insecurity and Contract Type on Attitudes, Well-being and Behavioural Reports: A Psychological Contract Perspective" 79 : 395-409, 2006

      18 Pfeffer, J., "The Human Equation: Building Profits By Putting People First"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1998

      19 Brockner, J., "The Effects of Layoffs on Survivors: Research Theory and Practice" 10 : 213-255, 1988

      20 Quinn, D. P, "The Effects of American-and Japanese-Style Employment and Compensation Practices on Innovation" 2 (2): 323-341, 1991

      21 Van Knippenberg, D, "Social Identity and Team Performance: Identification as the key to Team-oriented Efforts, In Social Identity at Work: Developing Theory for Organizational Practice" Psychology Press 29-42, 2003

      22 Ashforth, B. E, "Social Identity Theory and the Organization" 14 : 20-39, 1989

      23 Hogg, M. A, "Social Identifications: A Social Psychology of Intergroup Relations and Group Processes" Routledge 1988

      24 Ellemers, N., "Self-categorisation, Commitment to the Group and Group Self-esteem as Related but Distinct Aspects of Social Identity" 29 : 371-389, 1999

      25 Porter, L. W, "Propertieso Forganizations Tructure in Relation to Job Attitudes and Job Behavior" 64 : 23-51, 1965

      26 Albert, S, "Organizational Identity" 7 : 263-295, 1985

      27 Gould, S. B.,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Commitment in Two Environments" Michigan state University 1975

      28 Galbraith, "Organizational Design, Reading, Mass" Addison-Wesley 1977

      29 Delery, J. E, "Modes of Theorizing in 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 Tests of Universalistic, Contingency, and Configurational Performance predictions" 39 (39): 802-835, 1996

      30 Harman, H. H., "Modern Factor Analysis (3rd ed.)"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6

      31 Chant, S. N., "Measuring Factors That make a Job Interesting" 11 (11): 126-148, 1958

      32 Nolan, J. P., "Job Insecurity, Psychological Well-being and Family Life, In The Insecure Workforce" Routledge 181-209, 2000

      33 Ellemers, N., "Identity, Culture, and Change in Organizations: A Social Identity Analysis and Three Illustrative Cases, In Social Identity at Work: Developing Theory for Organizational Practice" Psychology Press 191-204, 2003

      34 Foote, N. N., "Identification as the Basis for a Theory of Motivation" 16 : 14-21, 1951

      35 Brown, M. E, "Identification and Some Conditions of Organizational Involvement" 14 : 346-355, 1969

      36 전상길, "IMF시대 우리나라 금융기관의 고용안정에 대한 동태적 이해의 틀:개념적 모델" 23 (23): 189-208, 1999

      37 Hogg, M. A., "Effective Leadership in Salient Groups: Revisiting Leader-member Exchange Theor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ocial Identity Theory of Leadership" 31 (31): 991-1004, 2005

      38 Ashford, S., "Content, Causes and Consequences of Job Insecurity: A Theory-Based Measure and Substantive Test" 32 : 803-829, 1989

      39 Pfeffer, J., "Competitive Advantage through People: Unleashing the Power of the Work Force"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1995

      40 Bowlby, J., "Attachment and loss: Vol. 1. Attachment (2nd ed.)" Basic Books 1982

      41 Lee, S. M, "An Empirical Analysis of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4 : 213-226, 1971

      42 Mael, F. A, "Alumni and Their Alma Mater: A Partial Test of the Reformulated Model of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13 : 103-123, 1992

      43 Rosenblatt, Z, "A Test of Multidimensional Model of Job Insecurity: The Case of Israeli Teachers" 17 : 587-605, 1996

      44 Davy, J. A., "A Test of Job Security’s Direct and Mediated Effects on Withdrawal Cognitions" 18 : 323-349, 1997

      45 Elliot, A. J, "A Achievement Goal Framework" 80 : 501-519,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2 0.92 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 1.23 1.948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