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옛이야기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130407

      • 저자
      • 발행사항

        춘천 :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2010. 8

      • 발행연도

        2010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374.71 판사항(5)

      • 발행국(도시)

        강원특별자치도

      • 기타서명

        (A) Study on Korean education utilized an folk tales

      • 형태사항

        v,65 p. ; 26 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p.59-62

      • 소장기관
        • 강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study on Korean education utilizing folk tales Namhyung, Kim the department of Korean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For arriving at 'cultivation of smooth communicative competence', th...

      A study on Korean education utilizing folk tales


      Namhyung, Kim

      the department of Korean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For arriving at 'cultivation of smooth communicative competence', the purpose of Korean education, correctly, not only fulfillment of linguistic functions but also understanding of Korean society and culture have to be achieved properly. Recently, the opinion that combined education of language and culture by education utilizing Korean literary works becomes possible is proposed and lots of studies for that are suggested. But the object of almost studies is modern literacy works and for the selection of learners, it's limited to learners whose standard is more than intermediate level.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eek Korean education utilizing 'folk tales', among Korean classical literature, under the object of foreign leaners studying Korean in Korea. There are also critical opinions that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s not proper in the practical aspect of Korean education. But foreign learners cannot neglect classical novels reflected by Korean traditional thought, values, etc. the mostly if Korean values, thought, world view, etc. among various cultural factors of Korea, are important that they are living in Korea. Also, among Korean classical literature, the characteristics of 'folk tales' have great significance and utility for Korean education.
      In this paper,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folk tales' were firstly revealed and based on those characteristics, significance and utility for Korean education were suggested.
      The characteristics of ‘folk tales’ are basically concise and simple plot of story, forms of repetition and opposition, international universal subject, Koreans' traditional way of thinking, emotional whole, etc, as a literature of Oral Transmission. Based on those characteristics, significance and utility of Korean education can induce learners' interest easily, make them understand easier than other Korean literature and help them to understand Korean society and culture by making them experience Korean classical society and culture indirectly.
      Through those 'folk tales', it's possible to educate language and culture synthetically for learners. In the context reflected by concrete and usual Korean languages well, natural Korean studying and synthesized functional education linguistically are possible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oral transmitted literature. In addition, they can experience naturally Korean society and culture indirectly as Koreans' educational way of thinking, values, emotion, etc. are melted in languages so the education of Korean society and culture is possible. Furthermore, through the international universal subject reflected in ‘folk tales’, foreign learners can feel that it is not different from their own values and emotion and can be provided by an opportunity to assimilate with Korean society.
      Finally, methods and realities of Korean education utilizing ‘folk tales’ were suggested. Prior to seeking of concrete education, cultural models of Ronald A. Carter and Michael N. Long were examined. Their cultural models provide methods and reasons for teaching literary works in foreign languages' education and they can be applied to Korean education as they are. Also, they accept the viewpoint that cultural ability, grammar knowledge, literature ability, etc. are necessary, in current situation that importance of communicational competence is emphasized for Korean education.
      The cultural models of Carter and Long are saying firstly, the cultural model, secondly, the language model and thirdly, the personal growth model. And in this paper, those three models can be applied gradually and hierarchically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learners. Those three models discussed that education is conducted synthetically but teaching and studying can be achieved by changing model's weight suitable for the standard of learners.
      Therefore, for learners in elementary level, an improvement of linguistic ability was attempted through the studying focusing on simple vocabulary, expression and sentence structures by laying stress on the language model. For learners in intermediate level, an improvement of ability understanding Korean society and culture was their purpose by laying stress on the cultural model. For learners in advanced level, individual experiences accumulated by enjoying Korean literary works could be connected to personal growth, by laying stress on the personal growth model.
      Based on the discussion until now, a way of education utilizing 'folk tales' was introduced and practical examples for each standard of learners were suggested under the material of「Kongji and Padji」, an universal folk tales all Koreans know.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옛이야기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연구 김 남 형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한국어 교육의 목표는 ‘원활한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이다. 이러한 교육 목표에 바르게 도...

      옛이야기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연구


      김 남 형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한국어 교육의 목표는 ‘원활한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이다. 이러한 교육 목표에 바르게 도달하기 위해서는 언어 기능의 올바른 수행과 동시에 목표 언어 사회의 문화에 대한 이해가 바르게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그 동안 한국어 교육의 현황은 언어 기능 중심 교육이 주를 이루고 있었고 문화 교육은 단지 단편적인 지식의 전달과 소개 차원에 그치고 있었다.
      최근 한국어 교육에서는 문화 교육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문학 작품을 활용한 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문학을 활용한 교육은 학습자에게 흥미를 제공하며, 작품을 통해 한국 사회와 문화를 이해하고 작품의 다양한 상황과 맥락에서 한국어를 학습할 수 있다. 또한 언어 교육과 문화 교육의 효과는 학습자 개인의 성장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한국의 문학 작품 중 예로부터 구비전승 되어 오는 서사 갈래의 하나인 ‘옛이야기’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 마련을 목적으로 한다.
      우선, ‘옛이야기’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에서의 효용성과 가치를 밝히기 위해 개념과 특성을 정리하여 제시했다.
      ‘옛이야기’는 구비전승의 문학, 간결하고 단순한 이야기 구성, 반복과 대립의 형식, 세계 보편적 주제, 한국인의 사고방식과 가치, 감정의 총체 등의 특성을 가진다. 이 같은 특성은 외국인 학습자의 흥미를 유도할 수 있고 여타 문학에 비해 비교적 이해하기 쉽고 한국 사회와 문화의 이해를 돕는다. 또한 언어 기능의 통합적 지도가 가능하고 여타 문학으로 옮겨갈 수 있는 기초와 기회를 마련할 수 있음을 밝혔다.
      다음으로 ‘옛이야기’를 통해 교육해야할 내용을 언어 교육의 측면과 문화 교육의 측면으로 살펴보았다.
      언어 교육 측면에서 ‘옛이야기’는 한국인의 전통적 언어생활 모습이 구체적이고 실제적으로 나타나는 자료로서 가치를 가지고 있다. 또한 구비전승되는 특성으로 언어의 통합적 교육이 가능함을 밝혔다.
      문화 교육 측면에서 ‘옛이야기’는 한국인의 전통적 사고방식과 가치관, 감정 등이 언어 안에 녹아 있어 한국 사회와 문화 이해 능력을 향상할 수 있는 자료이다. 또한 세계 보편적인 주제를 보이는 옛이야기는 외국인 학습자의 내용 이해를 용이하게 하고 비교 문학의 관점에서 접근이 가능하여 한국 문화의 특수성을 이해할 수 있음을 살폈다.
      본고에서는 ‘옛이야기’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과 실제를 제시하였다. 교육 방안의 모색에 앞서 카터(Ronald A. Carter)와 롱(Michael N. Long)의 문화 모형을 살피고 활용하여 교육 모형을 구안해 보았다. 카터와 롱의 문화 모형은 외국어 교육에서 문학 작품을 가르쳐야 하는 방법과 이유를 제공하는데 이것은 그대로 한국어 교육에도 적용될 수 있다고 생각해서이다. 또한 최근 한국어 교육에서 의사소통 능력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가운데 이외에도 문화 능력, 문법 지식, 문학 능력 등도 필요하다는 관점을 받아들인 것이다.
      카터와 롱의 문화 모형은 첫째, 문화 모형(The cultural model), 둘째, 언어 모형(The language model), 셋째, 개인 성장 모형(The personal growth model)을 말하는데 본고에서는 이 3가지 모형이 학습자 수준에 따라 순차적이고 위계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인식해서이다. 3가지 모형은 통합적으로 교육하되 학습자 수준에 맞게 모형의 비중을 달리 하여 교수 학습될 수 있음을 논하였다.
      그리하여 초급 단계의 학습자에게는 언어 모형의 비중을 두어 간단한 어휘와 표현, 문장 구조를 중심의 학습을 통해 언어 능력의 신장을 꾀하였다. 중급 단계 학습자에게는 문화 모형의 비중을 두어 한국의 사회 및 문화 이해 능력의 신장을 목표로 하였다. 고급 단계 학습자에게는 개인 성장 모형에 비중을 두어 한국의 문학 작품을 향유하여 개인적 경험을 쌓아 개인 성장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살폈다.
      마지막에는 지금까지 논의를 바탕으로 ‘옛이야기’를 활용한 방안을 소개하고 실례를 제시하였다.
      본고는 한국어 교육에서 ‘옛이야기’가 가지는 가치와 효용성을 밝혔다. 그리고 미비 하지만 외국인 학습자에게 순차적이고 위계적인 교육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구체적 교수 학습 방안을 구성해 보았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 2. 연구 방법 및 내용 4
      • 목 차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 2. 연구 방법 및 내용 4
      • 3. 선행연구 검토 6
      • Ⅱ. 옛이야기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12
      • 1. 옛이야기의 개념 및 특성 12
      • 2. 옛이야기가 가지는 한국어 교육의 가치 16
      • 3. 옛이야기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내용 19
      • 3.1. 옛이야기를 활용한 언어 교육 20
      • 3.2. 옛이야기를 활용한 문화 교육 22
      • Ⅲ. 옛이야기를 활용한 수준별 수업 방안 및 실제 24
      • 1. 언어 능력 향상 중심의 학습 26
      • 2. 사회 및 문화 이해 중심의 학습 28
      • 3. 개인 성장 중심의 학습 30
      • 4. 수업 활동 방안 및 실제 32
      • 4.1. 초급의 경우 35
      • 4.2. 중급의 경우 44
      • 4.3. 고급의 경우 52
      • Ⅳ. 결론 55
      • 【참고문헌】 59
      • 【Abstract】 6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