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북일회담과 문화재 반환 문제 : 한일회담의 경험과 그 함의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의 목적은 북일회담 재개 시 문화재 반환 문제가 어떻게 논의될 것인가를 한일회담의 경험을 통해 고찰하는 것이다. 북일회담이 재개되면 문화재 반환 문제는 ‘반환의 법적의무 문제...

      본고의 목적은 북일회담 재개 시 문화재 반환 문제가 어떻게 논의될 것인가를 한일회담의 경험을 통해 고찰하는 것이다. 북일회담이 재개되면 문화재 반환 문제는 ‘반환의 법적의무 문제’, ‘반환문화재의 범위 문제’, ‘반환 문화재품목 문제’를 중심으로 논의될 것이다.
      ‘반환의 법적의무 문제’에 대해 불법으로 약탈된 문화재에 대한 사죄와 반환 요구라는 북한의 입장은 합법적인 방법으로 문화재를 반출했다는 일본의 입장과 충돌할 것이며, 한일회담과 같이 인도로 타결될 가능성이 높다. ‘반환 문화재의 범위 문제’에 대해 일본 측은 한일회담의 경험에 비추어 북한 출토 문화재만을 논의의 대상으로 삼을 것이고, 이에 따라 북한 출토 문화재를 중심으로 논의가 진행될 것이다. ‘반환 문화재 품목 문제’에 있어서 북한은 낙랑 관련 유물, 오구라 컬렉션, 평양 율리사지 팔각 오층 석탑의 반환을 요구할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식민사관의 정립 수단, 그리고 난굴된 약탈 문화재라는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 낙랑 관련 유물을 우선적으로 요구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how the issue of the return of cultural properties will be discussed at the resumption of the North Korea-Japan normalization talks through the experiences of the Korea-Japan normalization talks. The North ...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how the issue of the return of cultural properties will be discussed at the resumption of the North Korea-Japan normalization talks through the experiences of the Korea-Japan normalization talks.
      The North Korea’s demand for Japan’s apology and return of illegal looted cultural property will collide with Japan’s position that it has exported cultural properties legally.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legal obligation to return is likely to be settled in turn-over like the Korea-Japan normalization talks. When it comes to the scope of cultural properties to be returned, the Japanese side will consider only the excavated cultural properties of the North Korea through the experiences of the Korea-Japan normalization talks. Therefore, discussions will be conducted focusing on the North Korean cultural properties. It is expected that North Korea will demand the return of the relics of Nangnang, Ogura collection and the five-story stone pagoda from Yullisa temple site in Pyongyang. In particular, The North Korea will first demand the relics of Nangnang, which have the symbolic meanings of the historical view of colonization and the looted cultural propert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북일회담의 교섭 과정과 문화재 반환 문제
      • Ⅲ. 한일회담을 통해 본 북일회담의 문화재 반환 문제
      • Ⅳ. 북일회담에서 논의될 문화재: 북한은 어떤 문화재를 요구할 것인가?
      • Ⅳ. 맺음말
      • Ⅰ. 머리말
      • Ⅱ. 북일회담의 교섭 과정과 문화재 반환 문제
      • Ⅲ. 한일회담을 통해 본 북일회담의 문화재 반환 문제
      • Ⅳ. 북일회담에서 논의될 문화재: 북한은 어떤 문화재를 요구할 것인가?
      • Ⅳ.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엄태봉, "한일회담 중단기의 문화재 문제에 관한 연구" 일본학연구소 21 : 160-193, 2017

      2 이원덕, "한일기본조약과 북한 문제: 유일합법성 조항과 그 현재적 함의" 한국정치외교사학회 31 (31): 201-231, 2010

      3 이교덕, "한일 회담에 비추어 본 북일 수교협상: 기본문제 및 보상문제의 타결전망에 대하여" 통일연구원 4 (4): 155-187, 1995

      4 "한국경제신문"

      5 이구열, "한국 문화재 수난사" 돌베개 1996

      6 김용복, "한·일회담의 경험과 북·일 수교회담의 전망: 공개된 한일협상자료를 중심으로" (11) : 175-195, 2006

      7 "통일뉴스"

      8 배정호, "탈냉전기 북ㆍ일관계의 변천과 일본의 대북한 ‘대화와 억지’ 정책" 39 (39): 115-135, 1999

      9 외교부, "조일 평양선언"

      10 "조선중앙통신"

      1 엄태봉, "한일회담 중단기의 문화재 문제에 관한 연구" 일본학연구소 21 : 160-193, 2017

      2 이원덕, "한일기본조약과 북한 문제: 유일합법성 조항과 그 현재적 함의" 한국정치외교사학회 31 (31): 201-231, 2010

      3 이교덕, "한일 회담에 비추어 본 북일 수교협상: 기본문제 및 보상문제의 타결전망에 대하여" 통일연구원 4 (4): 155-187, 1995

      4 "한국경제신문"

      5 이구열, "한국 문화재 수난사" 돌베개 1996

      6 김용복, "한·일회담의 경험과 북·일 수교회담의 전망: 공개된 한일협상자료를 중심으로" (11) : 175-195, 2006

      7 "통일뉴스"

      8 배정호, "탈냉전기 북ㆍ일관계의 변천과 일본의 대북한 ‘대화와 억지’ 정책" 39 (39): 115-135, 1999

      9 외교부, "조일 평양선언"

      10 "조선중앙통신"

      11 "조선신보"

      12 정인성, "일제강점기의 낙랑고고학" 한국상고사학회 71 (71): 149-170, 2011

      13 국립문화재연구소, "일본 도쿄국립박물관 소장 오구라 컬렉션 한국문화재" 미술문화 2006

      14 "연합뉴스"

      15 조법종, "식민주의적 고조선사 인식의 비판과 과제" 한국고대사학회 (61) : 45-73, 2011

      16 "시사저널"

      17 혜문, "빼앗긴 문화재를 말하다" 금강초롱 2015

      18 강태훈, "북한과 일본의 국교정상화에 관한 연구" 2 (2): 125-142, 2004

      19 양기웅, "북일수교협상(1990-2006)의 결렬(決裂)과 재개(再改)의 조건" 현대일본학회 (23) : 113-162, 2006

      20 이면우, "북일간의 수교교섭 전망 -제1회 포괄병행협의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한일군사문화학회 4 : 163-191, 2006

      21 박정진, "북일 스톡홀름 합의 재론: 한국의 대북정책에 대한 함의" 일본학연구소 (19) : 102-135, 2016

      22 전진호, "북일 국교정상화 교섭과 북한의 체제전환"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21 (21): 131-155, 2018

      23 유의상, "북·일 수교회담 전망과 한국의 대응전략: 과거청산문제를 중심으로" 일본학연구소 (23) : 97-131, 2018

      24 권태환, "북,일 정상회담과 수교협상 동향" 한일군사문화학회 1 : 5-28, 2003

      25 "동아일보"

      26 도진순, "동북아 탈냉전의 고리. 북일 수교교섭의 역사와 한계" (6) : 179-221, 2005

      27 "뉴스1"

      28 "노동신문"

      29 이영훈, "낙랑문화 연구의 현황과 과제" 227-236, 2001

      30 "국민일보"

      31 송호정, "고조선과 낙랑의 북한 문화유산" 한국고대사학회 25 : 29-64, 2002

      32 전민숙, "高麗時代 平壤 栗里寺址 五層石塔에 관한 연구" 한국미술사학회 298 (298): 31-64, 2018

      33 "韓国国宝古書籍目録 日本各文庫所蔵, 日付不明, No.379"

      34 정인성, "關野貞의 낙랑유적 조사 ? 연구 재검토 - 일제강점기「古蹟調査」의 기억 1 -" 호남고고학회 24 : 139-156, 2006

      35 "第四次日韓全面会談における請求権小委員会の第一回会合, 1958年6月4日, No.445"

      36 高崎宗司, "検証日朝交渉" 平凡社 2004

      37 "日韓会談文化財問題に関する省内打合会, 1962年12月19日, No.578"

      38 "日韓会談問題別経緯(6) (文化財問題), 1962年7月1日, No.535."

      39 "日韓会談の諸懸案につき北鮮問題が関連してくる諸点の協定上の取扱振りについて, 1963年8月1日, No.1845"

      40 "日韓交渉における日本政府の立場に関する法律上の問題点, 1960年12月6日, No.1410"

      41 "日韓予備交渉文化財関係会合の進め方要領 (試案), 1963年2月11日, No.579"

      42 康成銀, "日本に散財する朝鮮考古遺物-朝鮮総督府の古蹟調査事業に伴う搬出遺物を中心に" (7) : 39-87, 2006

      43 尹基老, "日朝首脳会談に関する考察-日朝国交正常化の経過と展望" (3) : 207-218, 2002

      44 北川広和, "日朝国交正常化交渉の経緯と現状" (31) : 22-29, 2001

      45 松本英樹, "日朝国交正常化交渉の経緯と朝鮮半島をめぐる最近の動向" 31-52, 2003

      46 "文化財関係についての文部省側との打合わせ記録, 1963年2月12日, No.580"

      47 오영찬, "國立中央博物館 所藏 樂浪古墳 資料와 硏究現況" 한국고대사학회 34 : 41-70, 2004

      48 李英哲, "国際社会における略奪文化財返還に関する諸アプローチおよび問題点-在日朝鮮文化財返還のために" (7) : 88-144, 2006

      49 "世襲的文化財について, 1953年2月17日, No.1117"

      50 서동만, "‘한일 기본조약’과 ‘조일 수교교섭’의 상관관계" (102) : 65-90, 1999

      51 이형식, "‘조선의 전기왕’ 오구라 다케노스케(小倉武之助)와 조선사회" 동양사학회 (145) : 171-211, 2018

      52 이기완, "‘스톡홀름 합의’와 일본의 대북 제재 해제의 배경"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17 (17): 155-169,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0-04-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아세아문제연구소 -> 아세아문제연구원
      영문명 : Asiatic Research Center -> Asiatic Research Institute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0-1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亞細亞 硏究 -> 아세아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Asiatic Studies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6 0.76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6 1.013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