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컨테이너터미널 작업의 인과관계를 고려한 생산성 측정모델 개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567639

      • 저자
      • 발행사항

        부산 :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8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동아대학교 대학원 , 경영정보학과 , 2008.8

      • 발행연도

        2008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326.369 판사항(4)

      • 발행국(도시)

        부산

      • 기타서명

        Development of productivity measurement model based on task causality in a container terminal

      • 형태사항

        viii, 129 p. : 삽도,챠트; 26 cm.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동아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급변하는 항만환경에 유연하게 대처하기 위해 전 세계 컨테이너터미널은 선사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던 서비스를 화주 및 운송사를 포함한 전체적인 관점에서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노...

      급변하는 항만환경에 유연하게 대처하기 위해 전 세계 컨테이너터미널은 선사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던 서비스를 화주 및 운송사를 포함한 전체적인 관점에서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예를 들어 컨테이너터미널의 관점에서는 장비별 단위생산성(예: QC당 처리능력(30 van/hr), TC당 처리능력(15 van/hr))이나 순 작업생산성 등을 중시하고 이러한 정보를 고객들에게 제공 및 홍보 할 수 있지만 선사의 관점에서는 선박당 총 작업생산성이 중요하고, 화주나 운송사의 경우에도 육상운송을 통해 컨테이너터미널로 반입된 컨테이너 또는 컨테이너터미널 장치장에 장치되어 있는 컨테이너를 육상운송으로 연계시키는데 처리되는 시간에 관한 생산성을 중시하게 되었으며, 컨테이너터미널 내에서 처리되는 컨테이너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관한 정보를 요구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상황에도 기존 컨테이너터미널은 여전히 안벽능력 또는 개별 장비 중심의 생산성을 관리하는데 주력하고 있고, 이와 관련한 기존 연구들도 각 컨테이너터미널의 장비별 생산성 비교 또는 각 부문별 생산성을 측정하는데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최근의 추세를 고려한 전체적인 관점에서의 컨테이너터미널 생산성의 측정 및 관련 정보에 관한 대고객 서비스, 적용기술이나 장비의 유형을 고려했을 때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생산성은 어떻게 변화하는지 측정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러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기존 컨테이너터미널의 생산성 측정과 관련한 다양한 연구의 현황을 분석하여 한계점이 무엇인지 파악하였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론 즉 시스템 다이내믹스 기법을 제안하였다.
      시스템 다이내믹스 방법론을 활용하여 기존 컨테이너터미널 주요 작업의 단선적이고, 정태적인 운영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순환적이고 동태적인 상황을 고려한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한 인과관계를 기반으로 생산성 측정 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동태적 상황이 반영될 수 있도록 환경을 설정하였고 이러한 환경하에서 생산성이 측정될 수 있도록 모델을 개발하였다.
      또한 측정해야 될 생산성 지표 제시를 위해 기존 문헌에 사용된 생산성 지표와 및 관련주체(선사, 운송사, 컨테이너터미널 등)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수행된 인터뷰를 통해 도출하였다.
      이상의 내용을 기반으로 여러 가지 형태의 생산성을 분석하였고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생산성 측정 모델의 활용도를 제시하기 위해 기존에 수행된 국가용역사업의 결과와 본 연구의 모델을 통해 분석된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는 이후 생산성 분석에 대한 연구의 가이드라인이 될 수 있고 현업의 의사결정자 및 관리자가 컨테이너터미널 생산성에 대해 보다 현실적인 관점에서 사전에 운영 결과를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배경 및 목적 1
      • 2. 연구내용 및 방법 2
      • Ⅱ. 기존연구 고찰 5
      • Ⅰ. 서 론 1
      • 1. 연구배경 및 목적 1
      • 2. 연구내용 및 방법 2
      • Ⅱ. 기존연구 고찰 5
      • 1. 컨테이너터미널의 개요 5
      • 가. 정의 5
      • 나. 장비 6
      • 다. 시설 10
      • 2. 컨테이너터미널 생산성 15
      • 가. 컨테이너터미널 생산성의 개념 15
      • 나. 기존 컨테이너터미널 생산성 측정 지표 16
      • 3. 컨테이너터미널 생산성에 관한 기존 연구 21
      • 가. 국외문헌 21
      • 나. 국내문헌 23
      • 다. 분석결과 26
      • 4. 시스템 다이내믹스 방법론 29
      • 가. 개요 29
      • 나. 특징 30
      • 다. 시스템 다이내믹스 기법을 활용한 연구 설계 절차 33
      • 라. 인과지도 35
      • Ⅲ. 컨테이너터미널 작업의 인과관계 분석 40
      • 1. 컨테이너터미널 작업 분석 40
      • 가. 반출․입 작업 40
      • 나. 장치장 작업 45
      • 다. 양․적하 작업 46
      • 라. 특수화물/공컨/철송 작업 52
      • 2. 컨테이너터미널 작업의 인과관계 분석 57
      • 가. 컨테이너터미널 작업의 인과관계 개요 57
      • 나. 컨테이너터미널 작업의 인과관계 58
      • 다. 반출․입 작업의 인과관계 59
      • 라. 장치장 작업의 인과관계 62
      • 마. 양․적하 작업의 인과관계 63
      • Ⅳ. 컨테이너터미널 작업 생산성 측정 모델 개발 65
      • 1. 전제조건 및 개발 환경 65
      • 2. 모델개발 대상 작업 및 시나리오 작성 67
      • 가. 반출․입 작업 67
      • 나. 장치장 작업 67
      • 다. 양․적하 작업 68
      • 3. 컨테이너터미널 생산성 측정 지표 68
      • 4. 컨테이너터미널 작업 생산성 측정 모델 73
      • 가. 반출․입 작업 모델 75
      • 나. 장치장 작업 모델 78
      • 다. 양․적하 작업 모델 81
      • Ⅴ. 컨테이너터미널 작업 생산성 모델 평가 83
      • 1. 작업별 시뮬레이션 결과 분석 84
      • 가. QC당 처리능력 84
      • 나. 선박 총 작업시간 및 선석당 처리능력 85
      • 다. 야드 장비당 처리 능력 86
      • 라. 게이트 레인별 처리능력 87
      • 마. 반출․입 작업 Turnaround Time 87
      • 2. 상황별 시뮬레이션 결과 분석 91
      • 가. 반출․입 작업의 적용 기술에 따른 생산성 분석 91
      • 나. 양․적하 작업 생산성 분석 93
      • 3. 사례연구 96
      • 가. 부산신항 남컨테이너부두 기본 환경 96
      • 나. 부산신항 남컨테이너부두 주요장비 소요 및 소요 게이트 레인 수 97
      • 다. New Model 활용을 통한 주요 장비 소요 및 소요 게이트 레인 수 98
      • Ⅵ. 결 론 103
      • 1. 연구의 요약 103
      • 2. 연구의 기여점 및 활용방안 104
      • 3.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 106
      • 參 考 文 獻 107
      • Abstract 113
      • 부 록 1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