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놀부의 삯군, 째보형 인물의 기능과 그 변이 = Cleft Lip Characters in Heungbuge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649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놀부의 삯군 째보를 임노동의 형상으로 보는 기존의 관점을 자료와 관점 차원에서 반성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구순구개열 장애가 있는 삯군을 째보형 인물이라 지칭하고 이들...

      이 연구는 놀부의 삯군 째보를 임노동의 형상으로 보는 기존의 관점을 자료와 관점 차원에서 반성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구순구개열 장애가 있는 삯군을 째보형 인물이라 지칭하고 이들이 등장하는 <흥부전> 이본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째보형 인물은 수용자의 ‘놀부 괴롭히기’ 심리를 충족시키는 기능과 장애를 대상화화여 웃음을 주는 골계적 기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때 째보형 인물의 수용자의 심리를 대리하는 기능은 20세기의 구활자본과 창본에서는 찾아볼 수 없게 되고 다만 재담의 차원에서 다루어짐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변이의 이유로는 도덕과 윤리를 무시하고도 요족하게 살 수 있는 놀부와 그러한 개인의 출현을 가능하게 한 사회 변화에 대한 문제적 인식, 즉 사회적 상상력의 변모를 꼽았다. 또한 신체적 장애가 사회 인식이 결여된 인물의 인격적 장애를 형상화하기 위한 일종의 레퍼토리로서 활용되었다고 보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essay is an attempt to overcome the view that the “Cleft Lip” characters in Heungbugeon are merely a reflection of the status of menial workers of that time. With more versions of Heungbugeon available evidence for this perspective is found t...

      This essay is an attempt to overcome the view that the “Cleft Lip” characters in Heungbugeon are merely a reflection of the status of menial workers of that time. With more versions of Heungbugeon available evidence for this perspective is found to be inadequate. The Cleft Lip character is better understood as someone who functions differently in numerous version of the text to satisfy the appetites of a particular audience. In some versions the character has a unique satirical function related to the audience’s desire to protest against Nolbu’s immoral character. In other versions of the story, especially old printed versions and transcribed versions, the satirical function of the character disappears; he is portrayed simply as comedic. The Cleft Lip character is not depicted as being a means to bring justice to Nolbu as Seoul block printed version, but he reflects the social change that was developing in the culture―a culture that was losing its traditional moral mores. The physical disorder imagery of the character shows the pervasive acceptance of the moral social disorde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진형(崔鎭亨), "?흥부전?의 傳承 樣相 - 出版文化와의 관련을 중심으로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4 (34): 205-228, 2006

      2 김종철, "흥부전의 지향성 연구" 서울대 국어교육과 13 : 1982

      3 김진영, "흥부전 전집 3" 박이정 2003

      4 김진영, "흥부전 전집 2" 박이정 2003

      5 김진영, "흥부전 전집 1" 박이정 1997

      6 정충권, "흥부전 연구" 월인 2003

      7 임형택, "한국문학사의 시각" 창작과비평사 1984

      8 鄭忠權, "판소리의 巫歌系 辭說 硏究"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9

      9 김진영, "심청전 전집 7" 박이정 1999

      10 Mills, Charles W, "사회학적 상상력" 돌베개 2007

      1 최진형(崔鎭亨), "?흥부전?의 傳承 樣相 - 出版文化와의 관련을 중심으로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4 (34): 205-228, 2006

      2 김종철, "흥부전의 지향성 연구" 서울대 국어교육과 13 : 1982

      3 김진영, "흥부전 전집 3" 박이정 2003

      4 김진영, "흥부전 전집 2" 박이정 2003

      5 김진영, "흥부전 전집 1" 박이정 1997

      6 정충권, "흥부전 연구" 월인 2003

      7 임형택, "한국문학사의 시각" 창작과비평사 1984

      8 鄭忠權, "판소리의 巫歌系 辭說 硏究"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9

      9 김진영, "심청전 전집 7" 박이정 1999

      10 Mills, Charles W, "사회학적 상상력" 돌베개 2007

      11 조한욱, "문화사란 무엇인가?" 길 2005

      12 정충권, "구활자본 <흥부전>의 특성" 판소리학회 (37) : 221-256, 2014

      13 金昌辰, "興夫傳의 異本과 構成 연구" 慶熙大學校 大學院 1991

      14 박희병, "‘병신’에의 視線-前近代 텍스트에서의-" 한국고전문학회 24 : 11-361, 2003

      15 金鍾澈, "19세기-20세기초 판소리 변모양상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3 1.33 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5 0.94 2.362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