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렌디드 러닝은 오늘날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에 따른 스마트 기기의 확산과 4차 산업혁명 시대가 요구하는 지식의 내용을 통합하는 학제적 융합을 기반으로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특...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998535
2021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77-103(27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블렌디드 러닝은 오늘날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에 따른 스마트 기기의 확산과 4차 산업혁명 시대가 요구하는 지식의 내용을 통합하는 학제적 융합을 기반으로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특...
블렌디드 러닝은 오늘날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에 따른 스마트 기기의 확산과 4차 산업혁명 시대가 요구하는 지식의 내용을 통합하는 학제적 융합을 기반으로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사태 이후 온라인 강의 빈도가 높아지며,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혼합한 형태의 블렌디드 러닝이 보편적인 교육 형태로 자리잡고 있으며, 디지털 네이티브로 불리는 신세대들의 학습 특성에도 적합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블렌디드 러닝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기 때문에 교수자와 학습자 사이의 원활한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학습자 중심의 교육활동이 가능하며, 온라인과 오프라인 학습환경의 통합으로 학습도구와 학습자원의 면에서도 유리하다. 하지만 온라인과 오프라인 수업을 단순히 결합하는 것으로는 미흡하며, 과목에 따라 수업내용과 학습자 특성을 고려하여 유기적으로 양자를 결합해야 학습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교육을 중심으로 블렌디드 러닝의 도입과 관련하여 수업의 구성, 수업방법의 선택, 학습자와 학습환경의 분석 및 교수학습자료 개발 등 수업설계의 정교화, 교수자의 수업운영 및 멘토링 역량의 제고, 교수자와 학습자의 원활한 상호작용을 통해 그리스도의 사랑과 섬김이 구현되는 교육과정 구성을 통한 학습효과의 증진 방안을 제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importance of blended-learning is highlighted a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develops an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mphasizes the convergence of knowledge. Blended-learning occupies the universal form of education because onli...
The importance of blended-learning is highlighted a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develops an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mphasizes the convergence of knowledge. Blended-learning occupies the universal form of education because online learning is widespread after the COVID-19 and it satisfies the needs of the new generation, so-called digital natives. Since blended-learning transcends the space-time constraint, it enhances learning efficiency by seamless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nd has an advantage in terms of learning resources because of the integration of online and offline learning environments. However,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students need to be thoughtfully considered to achieve educational goals. Hence, this study examined the composition of classes, the choice of instruction methodology, the analysis of students and learning environments to improve instructional design. The study also suggested ways to enhance the teaching and mentoring competency of faculty members and to realize Christian love and service in the curriculum of a college education.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유수연, "효과적인 블렌디드 러닝을 위한 교사의 자질" 한국독일언어문학회 (87) : 91-110, 2020
2 유재원, "현대 예배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활용방안 연구"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52 (52): 221-247, 2020
3 임진숙,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 수업 개발 연구: 한국어 뉴스 리터러시 교과에의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국어교육학회 (125) : 379-416, 2020
4 함영주, "플립드러닝(flipped learning)을 활용한 성경교수실행모형개발" 개혁신학회 34 : 241-267, 2015
5 김성숙, "포스트 휴먼 시대의 한국어교육을 위한 블렌디드 교육과정 개발"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47 : 53-80, 2017
6 이보경, "코로나 19로 인한 비대면 교양영어 수업의 학습자 반응에 관한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14 (14): 97-112, 2020
7 박구만,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블렌디드 러닝에서 기술수용의도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IT서비스 전문기업의 사례 중심)"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1 (21): 739-748, 2016
8 황영아, "수업분석 도구 개발 및 적용을 통한 대학 내 성인학습자 대상 블렌디드 러닝 수업 운영 개선 방안 모색" 원격교육연구소 16 (16): 205-226, 2020
9 이은성, "사회통합프로그램을 위한 블렌디드 러닝 기반 한국어 학습 도구 개발 방향 연구 - 독일, 덴마크, 호주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79 (79): 7-32, 2020
10 유지은, "비대면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만족도 연구: A 대학교 기독교교육과 강좌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67) : 277-298, 2020
1 유수연, "효과적인 블렌디드 러닝을 위한 교사의 자질" 한국독일언어문학회 (87) : 91-110, 2020
2 유재원, "현대 예배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활용방안 연구"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52 (52): 221-247, 2020
3 임진숙,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 수업 개발 연구: 한국어 뉴스 리터러시 교과에의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국어교육학회 (125) : 379-416, 2020
4 함영주, "플립드러닝(flipped learning)을 활용한 성경교수실행모형개발" 개혁신학회 34 : 241-267, 2015
5 김성숙, "포스트 휴먼 시대의 한국어교육을 위한 블렌디드 교육과정 개발"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47 : 53-80, 2017
6 이보경, "코로나 19로 인한 비대면 교양영어 수업의 학습자 반응에 관한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14 (14): 97-112, 2020
7 박구만,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블렌디드 러닝에서 기술수용의도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IT서비스 전문기업의 사례 중심)"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1 (21): 739-748, 2016
8 황영아, "수업분석 도구 개발 및 적용을 통한 대학 내 성인학습자 대상 블렌디드 러닝 수업 운영 개선 방안 모색" 원격교육연구소 16 (16): 205-226, 2020
9 이은성, "사회통합프로그램을 위한 블렌디드 러닝 기반 한국어 학습 도구 개발 방향 연구 - 독일, 덴마크, 호주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79 (79): 7-32, 2020
10 유지은, "비대면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만족도 연구: A 대학교 기독교교육과 강좌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67) : 277-298, 2020
11 김은혜, "비대면 문화에 대한 신학적 성찰: 디지털 문화에 대한 이해와 관계적 목회의 가능성" 세계선교연구원 (52) : 237-269, 2020
12 김연철, "블렌디드 액션러닝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5 (15): 658-671, 2015
13 남신혜,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한 학문목적 한국어 읽기 수업 모형" 한국 리터러시 학회 10 (10): 249-273, 2019
14 손혜숙,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한 독서 교육방안 연구" 한국 리터러시 학회 12 (12): 163-190, 2021
15 김옥진, "블렌디드 러닝을 통한 대학 신입생의 자기개발과 진로설계 수업의 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5 (25): 159-180, 2018
16 오선경, "블렌디드 러닝에 대한 외국인 학부생 대상 요구조사 연구- <사고와표현> 과목을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2 (12): 143-166, 2018
17 조미영,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을 적용한 기본간호학 실습교육에서 성찰일지의 작성이 간호학생의 메타인지와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기본간호학회 23 (23): 430-439, 2016
18 남창우, "블렌디드 러닝 수업전략과 플립러닝 수업전략이 대학생의 사회적 실재감과 집단 응집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창의정보문화학회 5 (5): 1-13, 2019
19 전경란, "미디어 리터러시의 이해" 커뮤니케이션북스 2015
20 홍효정, "대학의 블렌디드 러닝 수업 운영에 따른 교수자 요구분석"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11 (11): 2517-2532, 2020
21 우종정, "대학에서 면대면 수업 대안으로서의블렌디드 러닝에 대한 연구" 한국정보기술학회 7 (7): 219-225, 2009
22 이순덕, "대학교수의 효과적인 교수행동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실천 역량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18 (18): 469-478, 2017
23 김강희, "대학교 교양 교과에서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블렌디드 러닝 수업 운영의 효과 및 한계 연구 -온라인과 오프라인 강의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4 (14): 239-249, 2020
24 강경희, "대학 교원의 교수역량 도구 개발과 적용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7 (17): 88-98, 2017
25 기영화, "글로벌 MOOC의 학습형태와 한국형온라인공개강좌(K-MOOC) 학습경험분석" 교육연구소 24 (24): 65-86, 2018
26 권회림, "국내 블렌디드 러닝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1 (21): 333-359, 2015
27 McLuhan, M., "Understanding media : The extensions of man" McGraw-Hilll 1964
28 Bronfenbrenner, U.,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 Experiments by nature and design" Harvard University Press 1979
29 Hodges, C, "The difference between emergency remote teaching and online learning" 27 : 1-12,
30 Brewer, R., "Successful stories and conflicts : A literature review on the effectiveness of flipped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34 : 409-416, 2018
31 Wang, C., "Students’ characteristics, self-regulated learning, technology self-efficacy, and course outcomes in online learning" 34 : 302-323, 2013
32 Allen, I. E., "Online nation : Five years of growth in online learning" Sloan Consortium 2007
33 Lage, M. J., "Inverting the classroom : A gateway to creating an inclusive learning environment" 31 : 30-43, 2000
34 최영림, "I-세대의 어패럴캐드 교육을 위한 블렌디드 러닝 활용 제안" 한국의류산업학회 18 (18): 766-775, 2016
35 Stein, J., "Essentials for blended learning : A standards-based guide" Routledge 2014
36 Prensky, M., "Digital natives, digital immigrants" 9 : 1-6, 2001
37 Mantyla, Karen, "Blending e-learning : the power is in the mix" Association for Talent Development 2001
38 Bostrom, N., "A history of transhumanist thought" 14 : 1-25, 2005
39 최성훈, "4차 산업혁명의 도전과 기독교 대학의 교양과목 운영전략"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67) : 199-225, 2020
40 강경리, "4차 산업혁명시대의 대학교육의 방향과 대학교원의 교수역량에 대한 분석 연구: 평생교육 패러다임을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25 (25): 49-82, 2019
41 양성진,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기독교교육의 방향에 관한 고찰- 자동화와 연결성을 중심으로 -" 한국실천신학회 (59) : 567-597, 2018
포스트휴먼 시대의 인간론: 동아시아적 여물(與物)의 관점에서 얽힘(entanglement)과 네트워크적 연장 읽기
기독교대안학교의 정체성 유지와 성장을 위한 방안 연구: 기독교대안학교 전현직 교장 인터뷰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4 | 0.54 | 0.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8 | 0.59 | 0.655 | 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