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다문화가정청소년에 대한 일반청소년들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고정관념·편견·사회적 거리감을 중심으로 = Factors determining the attitude of Korean students' toward adolesc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 Focusing on stereotypes, prejudice, and social dista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5319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n explorative study of stereotypes, prejudice, and social distance against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ir contributing factors. Through findings, this study aims to provide specific measures to address various problem...

      This study is an explorative study of stereotypes, prejudice, and social distance against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ir contributing factors. Through findings, this study aims to provide specific measures to address various problems and conflict that these adolescents experience in schools. Research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how are Korean adolescents' stereotypes, prejudice, and social distance against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Second, do their stereotypes, prejudice, and social distance against adolesc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significantly differ depending on thei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ird, do their stereotypes, prejudice, and social distance against adolesc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significantly differ or correlate to school-related factors?
      Fourth, do their stereotypes, prejudice, and social distance against adolesc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significantly differ or correlate to the degree of exposure and experiences they had with adolesc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Fifth, what i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determining their stereotypes, prejudice, and social distance toward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recruited from middle schools in Daejeon where adolesc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attend as well as schools without these adolescents and one Multicultural Research School located in Goesan area. Out of 594 surveys that were completed by the students, only 524 were used and 70 were excluded in data analyses due to missing or incomplete information.
      For data analyses, reliability test,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SPSS/WIN 17.0 softwar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Korean adolescents's scores of stereotypes, prejudice, and social distance toward adolesc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were lower than the median score.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degree of stereotypes, prejudice, and social distance by gender that the male students had more stereotypes and prejudice and felt more distant toward adolesc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than the female students. Third-year students reported to have more stereotypes about adolesc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than the first-year students. The Students' parents with high school education had the most stereotypes.
      Third, Korean students' stereotypes, prejudice, and social distance were statistically less for students of teachers with multicultural awareness. The number of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school was also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Korean students' level of prejudice, indicating that their prejudice may be reduced when they are exposed to mor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school. In addition, students from regular schools with no adolesc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reported to have more prejudice and felt more distant toward these adolescents than thos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Research School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urth, students with more exposure to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edia had less stereotypes, prejudice, and social distance. Stereotypes and prejudice were less for students with experiences of having direct contact with the adolescents than those without and they also felt less distant than those without the experiences. The longer the period of contact, the more contact Korean students had with adolesc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closer they felt toward them, the less of stereotypes and prejudice they had as well as less socially distant they felt toward these adolescents. Th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students who were friends with these adolesc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had less stereotypes, prejudice, and social distance than those without these adolescents as friends. The findings indicate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media, and having direct contact with these adolescents play a significant role in shaping these stereotypes and prejudice.
      Fifth,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younger students, higher multicultural awareness of teacher, having friend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experienc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were less likely to have stereotypes than their counterparts. Furthermore, students with more exposure to media on multicultural content, having teachers with better cultural awareness, having friend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female students were also less likely to feel social distance to the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sum, the findings showed that male students and the higher the school year had more stereotypes and prejudice toward adolesc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felt more distant to them compared to female and younger counterparts. Furthermore, the amount of exposure to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edia, the number of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school and the degree of contact with these adolescents decreased students' degree of stereotype, prejudice, and social distanc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direc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on working with Korean students for their attitude toward adolesc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It also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to help these adolesc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lead a better life in school, home, and commun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앞으로 다문화 환경 속에서 살아나가게 될 우리 청소년들의 다문화가정의 자녀들에 대한 고정관념, 편견, 사회적 거리감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청소년...

      본 연구에서는 앞으로 다문화 환경 속에서 살아나가게 될 우리 청소년들의 다문화가정의 자녀들에 대한 고정관념, 편견, 사회적 거리감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청소년들이 학교생활 안에서 겪는 갈등을 해결하기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청소년들의 다문화가정 청소년에 대한 고정관념, 편견, 사회적 거리감의 정도는 어떠한가?
      둘째, 일반청소년들의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따른 다문화가정 청소년에 대한 고정관념, 편견, 사회적 거리감의 차이는 유의한가?
      셋째, 일반청소년들의 학교관련 요인에 따른 다문화가정 청소년에 대한 고정관념, 편견, 사회적 거리감의 차이 혹은 상관관계는 유의한가?
      넷째, 일반 청소년들의 다문화경험요인에 따른 다문화가정 청소년에 대한 고정관념, 편견, 사회적 거리감의 차이 혹은 상관관계는 유의한가?
      다섯째, 일반청소년들의 다문화가정 청소년에 대한 고정관념, 편견, 사회적 거리감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가?
      조사대상은 대전광역시의 5개구에 위치한 다문화가정 학생이 재학 중인 일반학교, 다문화가정이 전혀 없는 일반학교 5개 학교와 괴산지역에 위치한 다문화 연구학교 1개교 등 모두 6개 중학교에서 1, 2, 3학년 학생 594명이 참여하였고, 질문지 조사결과 응답내용이 충실하지 못한 70부를 제외한 총 524부가 최종결과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WIN 17.0 프로그램을 통해 통계처리 하였으며, 척도의 신뢰도 검사와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t-test와 ANOVA,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청소년들의 다문화가정 청소년에 대한 태도 중 고정관념, 편견, 사회적 거리감 수준은 중간 값보다 약간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른 고정관념과 편견, 사회적 거리감 수준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고, 고정관념은 3학년이 1학년 보다 높고, 보모의 학력은 아버지 학력이 ‘고졸’인 집단에서 고정관념이 가장 높았고,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셋째, 교사의 다문화적 인식이 높을수록 다문화가정 청소년에 대한 일반청소년의 고정관념, 편견, 사회적 거리감이 낮고, 그리고 다문화학생 수와 편견과의 상관은 유의미하였다. 이는 학교에 다문화학생수가 많을수록 일반청소년들의 편견이 낮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청소년이 소속된 학교의 유형에 따른 결과 일반학교의 학생들이 다문화 연구학교의 학생들 보다 다문화가정 청소년에 대한 편견과 사회적 거리감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검증되었다.
      넷째, 다문화 교육경험, 대중매체경험이 많을수록 다문화가정 청소년에 대한 고정관념과 편견, 사회적 거리감이 낮았다. 다문화청소년과의 직접접촉경험이 없는 경우 보다 접촉경험이 있는 청소년의 고정관념, 편견이 더 낮게 나타났고, 접촉경험이 있는 경우보다 접촉경험이 없는 경우 사회적 거리감을 더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접촉기간과 접촉정도, 친밀감 수준은 다문화가정 청소년과의 접촉기간이 길수록, 접촉정도가 많을수록, 친밀감정도가 깊을수록 이들에 대한 고정관념, 편견, 사회적 거리감이 모두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그 차이는 유의미하였다. 또한 친구 중에 다문화가정이 없는 청소년이 있는 청소년 보다 고정관념과 편견, 사회적 거리감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다문화 교육경험, 대중매체경험, 접촉경험 모두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고정관념과, 편견, 사회적 거리감에 대한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교사의 다문화적 인식이 높을수록, 주변 다문화가정 친구가 있을수록, 다문화에 대한 교육경험이 많을수록, 청소년들의 학년이 낮을수록 다문화가정 청소년에 대한 일반청소년의 고정관념 수준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친구 중 다문화가정이 있을수록,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그리고 다문화에 대한 교육경험이 많을수록 다문화가정 청소년에 대한 편견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문화에 대한 대중매체경험이 많을수록, 교사의 다문화적 인식이 높을수록, 친구 중 다문화 가정의 친구가 있을수록,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다문화가정 청소년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그리고 학년이 높을수록 다문화 학생들에 대한 고정관념과 편견 사회적 거리감 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다문화 학생들이 많고 접촉경험이 많을수록, 그리고 다문화 교육경험과 대중매체 경험이 많을수록 다문화 학생들에 대한 고정관념과 편견, 사회적 거리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에 대한 일반청소년들의 태도에 대한 이해를 돕고,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이 학교와 가정, 지역사회 내에서 더불어 사는 삶을 가꿀 수 있도록 사회복지적 실천개입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 론 1
      • 제1절 문제제기 1
      • 제2절 연구문제 6
      • 제2장 이론적 배경 7
      • 제1절 태도의 개념 정의 7
      • 제1장 서 론 1
      • 제1절 문제제기 1
      • 제2절 연구문제 6
      • 제2장 이론적 배경 7
      • 제1절 태도의 개념 정의 7
      • 1. 고정관념 9
      • 2. 편견 11
      • 3. 사회적 거리감 12
      • 제2절 다문화가정 청소년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5
      • 1. 인구사회학적 요인 16
      • 2. 학교관련요인 18
      • 3. 다문화경험요인 20
      • 제3장 연구 방법 25
      • 제1절 연구 모형 25
      • 제2절 변수의 정의 및 측정 27
      • 1. 종속변수 27
      • 2. 독립변수 29
      • 제3절 표본 및 표집방법 33
      • 제4절 자료 수집 방법 34
      • 제5절 자료 분석 방법 35
      • 제4장 결과분석 36
      • 제1절 조사대상자의 특성 36
      • 1. 인구사회학적 특성 36
      • 2. 학교관련요인 특성 38
      • 3. 다문화경험요인 특성 39
      • 제2절 태도의 특성 및 차이분석 41
      • 1. 다문화가정 청소년에 대한 일반청소년의 태도 41
      • 2.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다문화가정 청소년에 대한 태도 42
      • 3. 학교관련요인과 다문화가정 청소년에 대한 태도 44
      • 4. 다문화경험요인과 다문화가정 청소년에 대한 태도 46
      • 제3절 다문화가정청소년에 대한 일반청소년들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51
      • 1. 다중공선성 검토 51
      • 2. 다문화가정 청소년에 대한 일반청소년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53
      • 제5장 결론 61
      • 제1절 연구의 요약 61
      • 제2절 실천적 함의 66
      • 제3절 연구의 한계 및 제언 70
      • 참고문헌 71
      • 설문지 79
      • ABSTRACT 8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