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근대기 공주의 서화계 - 서화 창작과 수집, 그리고 연구 = Painting and Calligraphic World of Modern Gongju : The Creation, Collection, and Study of Painting and Calligraphic Work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3979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Lee Gyeong-bae(李慶培, 1898~1960) and Cho Dong-wuk(趙東旭, 1899~1947), to discuss the characteristics of Gongju painters which simultaneously produced two painters who excelled at the Four-gentlemen painting, especially the...

      This study focuses on Lee Gyeong-bae(李慶培, 1898~1960) and Cho Dong-wuk(趙東旭, 1899~1947), to discuss the characteristics of Gongju painters which simultaneously produced two painters who excelled at the Four-gentlemen painting, especially the ink orchids. This is considered to be from the characteristic of the loclal art circle, which is a concrete group of devotees for the Four-gentlemen; Lee Gyeong-bae and Cho Dong-wuk was able to develop their own styles by proving themselves through 《Joseon Art Exhibition》, a government exhibition. Lee Gyeong-bae studied under Kim Yong-jin and gained fame with Unmi-style ink orchids(雲楣蘭), while Cho Dong-wuk consolidated his position as a specialist for Seoklan(石蘭), a style with boulders and orchids in harmony. They were active at Gongju for a long time; even after moving to Seoul, they continued to maintain the relationship with their regional acquaintances of the art world, continuing their performance as a representative Four-gentlemen painters of Modern times. Furthermore, this study notes that not only the painters and calligraphers but also other people from Gongju continued on meaningful acts for Korean art and culture with deep interest in the art of their times and of the past; it especially sheds light on Yu Byeong-pil(劉秉珌, 1871~1928) and Yu Pok-yol(劉復烈, 1900~1971). Yu Byeong-pil, a doctor, was a representative patron of Cho Seok-jin and had a significant collection of paintings and calligraphy. Yu Pok-yol, his nephew, had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art world and developed discernment for old art. Afterwards, Yu Pok-yol lays the cornerstone of old painting and calligraphy research by authoring Pageant of Korean Painting, a vast database of Korean paintings. This paper meticulously studies the description system and the significance of Pageant of Korean Painting to use it as an opportunity to contemplate on various aspects of Yu Pok-yol–a collector of old painting and calligraphy with deep exchange with the art worl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공주 출신 서화가 이경배(李慶培, 1898~1960), 조동욱(趙東旭, 1899~1947)에 주목하여 사군자화, 특히 묵란화에 뛰어난 두 명의 화가를 동시에 배출했던 공주 화단의 특성을 고찰한다. 이...

      본 연구는 공주 출신 서화가 이경배(李慶培, 1898~1960), 조동욱(趙東旭, 1899~1947)에 주목하여 사군자화, 특히 묵란화에 뛰어난 두 명의 화가를 동시에 배출했던 공주 화단의 특성을 고찰한다. 이는 사군자 애호층이 두터운 지역화단의 특징에 기반한 것으로 판단되는데, 이경배, 조동욱은 관설전람회인 《조선미술전람회》를 통해 실력을 입증하면서 자신만의 화풍을 다듬어 나갔다. 이경배는 김용진을 사사하여 민영익 양식에 계보를 둔 운미란(雲楣蘭)으로 명성을 얻었으며, 조동욱은 바위와 난초가 어우러진 석란(石蘭) 전문 화가로서 입지를 굳혔다. 이들은 공주에서의 활동기간이 상당하고, 이후 서울로 이주한 이후에도 지역 연고를 유지하여 미술계의 동향인(同鄕人)들과 관계를 맺으면서 근대기 대표적 사군자 화가로 활약했음을 살펴 볼 수 있다. 아울러 본고는 단지 서화가뿐만 아니라, 공주 출신 인물들이 동시대 미술 및 고서화에 대한 깊은 관심으로 우리 미술문화계에서 의미 있는 행보를 이어갔음을 지적하고, 각별히 유병필(劉秉珌, 1871~1928), 유복렬(劉復烈, 1900~1971)에 관심을 가져 보았다. 의사였던 유병필은 조석진의 대표적 후원자로서 상당한 고서화 컬렉션을 갖추었으며, 유병필의 조카 유복렬은 미술계와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고미술에 대한 너른 견식을 키웠다. 이후 유복렬은 방대한 자료를 집적한 『한국회화대관』의 저술을 통해 고서화 연구의 주춧돌을 마련한다. 이에 『한국회화대관』 서술의 체제 및 의의를 상세히 살피고, 고서화 소장가이자 당시 미술계와 교류가 깊었던 유복렬의 면면을 인식하는 계기로 삼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이태훈, "한말-일제하 유병필의 생애와 의료문제인식" 의학사연구소 4 (4): 139-154, 2000

      2 유복렬, "한국회화대관" 문교원 1969

      3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

      4 김상엽, "한국 근대 미술시장사 자료집 : 광복 이후·1950년대의 경매도록" 경인문화사 2015

      5 "택선고집" 공아트스페이스 2017

      6 "충남미술 연구총서: 충남미술가편람 Ⅰ" 충청남도·충남문화재단 2021

      7 충남문화재단, "충남근현대미술사 : 제2편 미술사" 충남문화재단 2016

      8 "조선중앙일보"

      9 "조선일보"

      10 "전국박물관소장품"

      1 이태훈, "한말-일제하 유병필의 생애와 의료문제인식" 의학사연구소 4 (4): 139-154, 2000

      2 유복렬, "한국회화대관" 문교원 1969

      3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

      4 김상엽, "한국 근대 미술시장사 자료집 : 광복 이후·1950년대의 경매도록" 경인문화사 2015

      5 "택선고집" 공아트스페이스 2017

      6 "충남미술 연구총서: 충남미술가편람 Ⅰ" 충청남도·충남문화재단 2021

      7 충남문화재단, "충남근현대미술사 : 제2편 미술사" 충남문화재단 2016

      8 "조선중앙일보"

      9 "조선일보"

      10 "전국박물관소장품"

      11 "매일신보"

      12 "매일경제"

      13 "공주대학교 공주학연구원 공주학아카이브 홈페이지"

      14 "경향신문"

      15 김소연, "韓國近代蘭竹畵의 양식 및 계보 분류 연구"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11 : 7-38, 2003

      16 김취정, "韓國 近代期의 畵壇과 書畵 需要 硏究"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17 "朝鮮新聞"

      18 "『근대 서예와 사군자』 수원박물관 특별기획전"

      19 윤여헌, "「공주 근대 향토작가 지상전」上" 공주향토문화연구회 20 :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