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수출딸기의 수확 후 예냉 및 저장온도에 따른 품질변화 = Qualitative Changes in Precooling and Storage Temperatures on the Post-harvest Management of the Fruits in Strawberry for Expor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261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precooling and storage temperatures on the storage life of ‘Maehyang’ strawberry for export. Fruits at a 80% ripe stage were harvested from a commercial greenhouse in Gyeongsangnamdo Jinju on January ...

      A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precooling and storage temperatures on the storage life of ‘Maehyang’ strawberry for export. Fruits at a 80% ripe stage were harvested from a commercial greenhouse in Gyeongsangnamdo Jinju on January 11, 2011. Fruits were precooled at 0, 2, 4℃ for 2-5 hours, and then transported for about 30 minutes. And stored in set chamber at 4, 8, 10℃, immediately. Fruits were examined for their changes in weight, hardness, Hunter color values, soluble solid content (SSC), acidity, and incidence of gray mold (Botrytis cinerea) during storage. The fresh weight decreased during storage at all temperatures. Especially, strawberry treated the lowest precooling and storage temperatures was the greatest in quality. The hardness was drastically decreased in precooled at 4℃ and stored at 10℃ after storage 10 days. SSC was the greatest when strawberry stored at the lowest temperature. Acidity increased during storage at all temperatures. But in the last day after storage, the strawberry of precooled at 4℃ and stored at 10℃ was the highest as 0.7%. Gray mold was the greatest at 10℃ storage temperature. The results indicate that effectiveness for keeping the freshness was best achieved by precooling at 0℃ and storage at 4℃.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예냉온도와 저장온도가 수출 딸기 ‘매향’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2011년 1월 11일에 숙도 80%의 과실을 경상남도 진주지역의 상업적 온실에서 수확하...

      예냉온도와 저장온도가 수출 딸기 ‘매향’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2011년 1월 11일에 숙도 80%의 과실을 경상남도 진주지역의 상업적 온실에서 수확하여 0, 2, 4℃로 2-5시간 동안 예냉한 딸기를 30분 만에 실험실로 수송하여 4, 8, 10℃로 설정된 챔버에 저장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저장하는 동안 딸기의 무게, 경도, 색도, 당도 및 산도의 변화와 잿빛곰팡이 발생률을 조사하였다. 딸기의 무게는 저장기간 중 모든 온도처리에서 감소하였고, 특히 예냉 및 저장온도가 가장 낮은 처리구에서 품질이 가장 우수하였다. 경도는 예냉온도 4℃, 저장온도 10℃ 처리구에서는 저장 후 10일째부터 급격히 감소하였다. 당도는 가장 낮은 온도인 4℃에 저장하였을 때 우수하였다. 산도는 모든 온도처리에서 증가하였으나 실험종료 마지막 날 4℃ 예냉온도와 10℃ 저장온도 처리구에서 0.7%로 가장 높았다. 잿빛곰팡이는 10℃ 저장에서 가장 많이 발생했다. 따라서 딸기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하기 위해서는 0℃에 예냉하여 4℃에 저장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세원, "토마토 ‘York’ 품종의 수확시기 및 저장온도별 과실의 품질 변화" 한국원예학회 23 (23): 31-37, 2005

      2 김태일, "촉성 재배용 딸기 신품종 '매향' 육성" 한국원예학회 22 (22): 434-437, 2004

      3 조준일, "저장중 온도, pH, potassium sorbate를 이용한 딸기 paste의 natural microflora의 증식억제 효과" 한국식품과학회 36 (36): 355-360, 2004

      4 박지은, "수출딸기 ‘매향’과 ‘수경’의 수확후 예냉 및 저장온도의 효과"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19 (19): 366-371, 2010

      5 이스람모하메드조히를, "수경재배한 토마토의 품종별 품질특성 비교 및 품질특성간 상관관계"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19 (19): 88-92, 2010

      6 Yang, Y. J, "The changes of acetaldehyde, ethanol and firmness during CA storage of strawberries" 40 : 303-335, 1999

      7 Barrett, D. M, "Strawberries and raspberries, In Processing fruits science and Technology" CRC Press 531-561, 2005

      8 Ho, L. C, "Regulation of assimilate translocation between leaves and fruits in the tomato" 43 : 437-448, 1979

      9 Kader, A.A, "Postharvest biology and technology: An overview" Postharvest technology of horticultural crops 39-47, 2002

      10 Yang, Y. J, "Physiological responses to different temperatures and high carbon dioxide concentrations during storage of strawberry fruit" 5 : 108-109, 1995

      1 박세원, "토마토 ‘York’ 품종의 수확시기 및 저장온도별 과실의 품질 변화" 한국원예학회 23 (23): 31-37, 2005

      2 김태일, "촉성 재배용 딸기 신품종 '매향' 육성" 한국원예학회 22 (22): 434-437, 2004

      3 조준일, "저장중 온도, pH, potassium sorbate를 이용한 딸기 paste의 natural microflora의 증식억제 효과" 한국식품과학회 36 (36): 355-360, 2004

      4 박지은, "수출딸기 ‘매향’과 ‘수경’의 수확후 예냉 및 저장온도의 효과"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19 (19): 366-371, 2010

      5 이스람모하메드조히를, "수경재배한 토마토의 품종별 품질특성 비교 및 품질특성간 상관관계"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19 (19): 88-92, 2010

      6 Yang, Y. J, "The changes of acetaldehyde, ethanol and firmness during CA storage of strawberries" 40 : 303-335, 1999

      7 Barrett, D. M, "Strawberries and raspberries, In Processing fruits science and Technology" CRC Press 531-561, 2005

      8 Ho, L. C, "Regulation of assimilate translocation between leaves and fruits in the tomato" 43 : 437-448, 1979

      9 Kader, A.A, "Postharvest biology and technology: An overview" Postharvest technology of horticultural crops 39-47, 2002

      10 Yang, Y. J, "Physiological responses to different temperatures and high carbon dioxide concentrations during storage of strawberry fruit" 5 : 108-109, 1995

      11 McCollum, T. G, "Modification of polyuronides and hemicelluloses during muskmelon fruit softening" 76 : 303-308, 1989

      12 Fishman, M. L, "Macromolecular components of tomato fruit pectin" 274 : 179-191, 1989

      13 Jeon, C. G, "Expansion strategies for Korean strawberries export into Southeast Asia" KREI 2011

      14 Sistrunk, W. A, "Evaluation of quality of fruit and vegetable, In Evaluation of quality of fruit and vegetables" AVI 217-256, 1985

      15 Kim, Y. B, "Effect of storage temperature on keeping quality of tomato and strawberry fruits" 37 : 526-532, 1996

      16 Hwang, Y. S, "Effect of postharvest CO2 application time on the flesh firmness and quality in ‘Nyoho’ strawberries" 40 : 179-182, 1999

      17 Chung, H. D, "Effect of foliar application of calcium chloride on shelf-life and quality of strawberry fruits" 34 : 7-15, 1993

      18 Seymour, G. B, "Composition and structural features of cell wall polysaccharides from tomato fruits" 29 : 725-731, 1990

      19 Choi, S. J, "Changes in pectic substance during the storage of tomato fruits at varied temperature" 24 : 118-123, 1983

      20 Won, J. H,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vegetables temperature in the pre-cooling vacuum unit" 879-884,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6-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KCI등재
      2012-04-13 학회명변경 영문명 :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e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7 0.37 0.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37 0.581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