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TNBS로 유발된 마우스 대장염모델에서 설파살라진, 육계와 시호 복합 추출물의 항염증 및 세포 자멸 개선효과 = Anti-inflammatory and apoptosis improving effects of sulfasalazine and Cinnamomi cortex and Bupleuri radix mixture in TNBS-induced colitis mouse model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염증성 장 질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설파살라진은 고용량 및 장기 섭취 후 다양한 부작용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TNBS로 유발된 마우스 대장염 모델에서 설파살라진, 육계와 시호 복합추...

      염증성 장 질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설파살라진은 고용량 및 장기 섭취 후 다양한 부작용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TNBS로 유발된 마우스 대장염 모델에서 설파살라진, 육계와 시호 복합추출물의 항염증 및 세포 자멸 개선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험은 정상군, TNBS 대조군, Sulfasalazine (30 mg/kg)군, Sulfasalazine (60 mg/kg)군, Sulfasalazine (30 mg/kg)+육계 및 시호 혼합 (30 mg/kg)군, 총 5개의 군으로 나누었으며, 7일간 경구투여 하였다. 염증 및 세포 자멸 단백질은 western blot을 통해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SCB 투여는 염증 단백질 및 세포 자멸과 관련된 단백질의 억제에 유의한 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설파살라진, 육계와 시호 복합 추출물은 염증과 세포 자멸의 억제를 통해 염증성 장 질환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염증성 장 질환의 치료 대안 가능 물질로 사료되는 바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 is including Crohn`s disease and ulcerative colitis. Sulfasalazine commonly used in IBD, possibly has various side effects after high dosage and long term intake.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sulfasalazin...

      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 is including Crohn`s disease and ulcerative colitis. Sulfasalazine commonly used in IBD, possibly has various side effects after high dosage and long term intake.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sulfasalazine and combination with herbal medicine on 2,4,6- trinitrobenzene sulfonic acid (TNBS)-induced in mice model. TNBS-induced mice were injected through a flexible catheter 4 cm in length 1.6 mg TNBS. Animals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n=12): Normal group, TNBS control group, Sulfasalazine (30 mg/kg) group, Sulfasalazine (60 mg/kg) group, Sulfasalazine (30 mg/kg)+Cinnamomi cortex and Bupleuri radix mixture (30 mg/kg) (SCB) group. Administration groups were fed extract during 7 days. The inflammatory, and apoptotic protein levels were determined using western blotting. SCB treatment showed an outstanding effectiveness in counteracting the IBD, as assessed by reduction of body weight loss, down-regulation of proinflammatory proteins and cytokines, and by inhibition of proteins related to apoptosis. This is the first report that sulfasalazine and Cinnamomi cortex plus Bupleuri radix mixture improve the severity of experimental IBD through the inhibition of both inflammation and apoptosis. We confirm that the SCB treatment instead of sulfasalazine alone may be promising as an alternative therapeutic plan against IBD, without any evidence of adverse effec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영철, "한약의 다양한 항암기전" 대한본초학회 27 (27): 39-55, 2012

      2 제현동, "육계 유래 Cinnamaldehyde의 투여와 항염증 및 진통효과의 평가" 대한약학회 56 (56): 236-239, 2012

      3 황성연, "육계 에탄올 추출물이 HT-29 대장암 세포주의 성장 및 COX-2 기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5 (35): 1115-1120, 2006

      4 조성완, "시호추출물 (SHI-1909)의 염증성 대장염 실험동물 모델에 대한 치료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10 (10): 613-619, 2009

      5 김신정, "생강과 법제생강의 DSS(Dextran Sulfate Sodium)로 유도된 마우스의 대장염 억제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3 (43): 477-484, 2014

      6 이영미, "산초 (Zanthoxylum schnifolium)열매 분획물의 대장암세포(HT-29)에 대한 항암 효과" 한국생약학회 42 (42): 282-287, 2011

      7 류봉하, "궤양성 대장염 동물모델에서 四味軟堅湯의 항염증 및 장내세균 효소활성 억제효과" 대한한의학회 29 (29): 50-62, 2008

      8 이경호, "감초 추출물의 Dextran Sulfate Sodium 유도 마우스 궤양성 대장염 억제효과" 한국식품영양학회 23 (23): 435-439, 2010

      9 김덕구, "肉桂 추출물이 Rat fetus 두개골로부터 분리한 조골세포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부인과학회 25 (25): 61-70, 2012

      10 김의수, "烏梅丸과 烏梅가 DSS로 유발된 생쥐의 염증성 장 질환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내과학회 36 (36): 284-296, 2015

      1 박영철, "한약의 다양한 항암기전" 대한본초학회 27 (27): 39-55, 2012

      2 제현동, "육계 유래 Cinnamaldehyde의 투여와 항염증 및 진통효과의 평가" 대한약학회 56 (56): 236-239, 2012

      3 황성연, "육계 에탄올 추출물이 HT-29 대장암 세포주의 성장 및 COX-2 기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5 (35): 1115-1120, 2006

      4 조성완, "시호추출물 (SHI-1909)의 염증성 대장염 실험동물 모델에 대한 치료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10 (10): 613-619, 2009

      5 김신정, "생강과 법제생강의 DSS(Dextran Sulfate Sodium)로 유도된 마우스의 대장염 억제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3 (43): 477-484, 2014

      6 이영미, "산초 (Zanthoxylum schnifolium)열매 분획물의 대장암세포(HT-29)에 대한 항암 효과" 한국생약학회 42 (42): 282-287, 2011

      7 류봉하, "궤양성 대장염 동물모델에서 四味軟堅湯의 항염증 및 장내세균 효소활성 억제효과" 대한한의학회 29 (29): 50-62, 2008

      8 이경호, "감초 추출물의 Dextran Sulfate Sodium 유도 마우스 궤양성 대장염 억제효과" 한국식품영양학회 23 (23): 435-439, 2010

      9 김덕구, "肉桂 추출물이 Rat fetus 두개골로부터 분리한 조골세포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부인과학회 25 (25): 61-70, 2012

      10 김의수, "烏梅丸과 烏梅가 DSS로 유발된 생쥐의 염증성 장 질환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내과학회 36 (36): 284-296, 2015

      11 최성우, "柴胡가 HMC 및 Mouse의 염증관련 cytokine 분비에 미치는 영향" 한의병리학회 23 (23): 150-157, 2009

      12 현미선, "TNBS에 의해 유도된 마우스 대장염모델에서 유산균 발효 마의 항염효과" 한국응용생명화학회 54 (54): 51-55, 2011

      13 Kooy NW, "Peroxynitritemediated oxidation of dihydrorhodamine 123" 16 : 149-156, 1994

      14 Kye BH, "Nutritional Supports in Patients with Inflammatory Bowel Disease" 8 : 11-18, 2016

      15 신성호, "LPS로 유발한 장염증 모델에 대한 주초황금의 항산화 조절 및 장염증 개선 효과" 대한본초학회 30 (30): 81-88, 2015

      16 Cho JG, "Effect of Buplerum falcatum on the immune system" 34 : 769-779, 1994

      17 명노일, "Dextran sulfate sodium으로 유도된 궤양성 대장염에 대한 와송의 억제효과" 대한본초학회 29 (29): 29-34, 2014

      18 김선미, "DSS(Dextran Sulfate Sodium)로 유도된 마우스의 대장염에 대한 유황오리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2 (42): 1567-1575, 2013

      19 Krammer PH, "CD95 (APO-1/Fas)-mediated apoptosis: live and let die" 71 : 163-210, 1997

      20 Choi EJ, "Apoptotic signaling pathways" 33 : 85S-95S, 2001

      21 조쌍구, "Apoptotic Signaling Pathways: Caspases and Stress-Activated Protein Kinases" 한국생화학분자생물학회 35 (35): 24-27, 2002

      22 Majno G, "Apoptosis, oncosis and necrosis: an overview of cell death" 146 : 3-15, 1995

      23 Park JH, "A philological study on poisoning and side effects of Cinnamomi Cortex" 15 : 1-6, 2015

      24 김경진, "1-Furan-2-yl-3-pyridin-2-yl-propenone의 TNF-α 유도성 MCP-1과 IL-8의 발현 억제를 통한 장 상피세포 염증 억제효과" 대한약학회 52 (52): 402-406,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5-0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Agricultrual Chemistry and Biotechnology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1 0.41 0.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 0.44 0.741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