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횡 중격 도달을 이용한 슬와 낭종의 관절경적 치료와 추시 결과 = Arthroscopic Treatment of Popliteal Cysts using the Trans-Septal Approach횡 중격 도달을 이용한 슬와 낭종의 관절경적 치료와 추시 결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5642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슬와 낭종의 관절경적 치료 시 횡 중격 도달의 유용성과 관절경하 감압술의 임상적 결과, 슬관절 내 동반 병변의 종류와 빈도 및 술후 초음파 추시 시 잔존하는 낭종의 빈도 등을 알아...

      목적: 슬와 낭종의 관절경적 치료 시 횡 중격 도달의 유용성과 관절경하 감압술의 임상적 결과, 슬관절 내 동반 병변의 종류와 빈도 및 술후 초음파 추시 시 잔존하는 낭종의 빈도 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2월부터 2007년 2월까지 총 44예의 슬와 낭종을 지닌 환자를 대상으로 관절경적 치료를 시행하였다. 14예는 남성이었으며 30예는 여성이었고, 평균 연령은 50세(20∼77세)였다. 모든 환자에서 자기 공명 영상 또는 초음파를 시행하여 동반 질환 여부와 슬와 낭종을 확인하였으며, 슬와 낭종은 관절경하에서 횡 중격 도달을 이용하여 낭종의 제거술을 시행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36개월이 었으며 36개월째에 초음파를 이용하여 슬와 낭종의 재발 여부를 조사하였다. 술 전과 술 후의 임상적 결과를 판정하기 위하여 Rauschning과 Lindgren의 임상적 분류를 이용하였다. 결과: 자기 공명 영상 검사 상 4예(8%)에서는 슬와 낭종이 슬관절 내부로 연결되어 있지 않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나, 관절경 소견 상 모든 환자에서 슬와 낭종과 슬관절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총 44예의 환자 중에서 34예(77%)에서 관절 내 동반 질환이 관찰되었으며, 동반된 관절 내 병변으로는 연골판 손상이 15예(34%), 관절 연골 손상 또는 병변이 17예(38%) 등이 관찰되었다. 1예에서 경골신경 및 총비골 신경에 압박 신경증을 유발하는 슬와 낭종으로 관절경하 절제술 후 6주째 재발하여 낭종에 대한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추시한 초음파 소견 상 37예(84%)에서 낭종이 관찰되었다. 최종 추시 시 Rauschning과 Lindgren 의 임상적 분류상 grade 0는 28예, grade 1은 12예, grade 2는 3예, grade 3는 1예였다. 결론: 횡 중격 도달법을 이용한 결과 슬와 낭종의 입구에 쉽게 도달할 수 있으며, 후내측 삽입구를 이용하여 감압술을 시행할 수 있으므로, 슬와 낭종에 대한 치료방법의 하나로 제안하는 바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the trans-septal approach for treating popliteal cyst, to determine the frequency and types of the associated pathologies and to assess the follow up ultrasound evaluation. Materials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the trans-septal approach for treating popliteal cyst, to determine the frequency and types of the associated pathologies and to assess the follow up ultrasound evaluation. Materials and Methods: From February, 2002 to February, 2007, 44 patients with popliteal cyst were treated by arthroscopy only. Fourteen patients were male and 30 patients were female. Their average age was 50 years (range: 20∼77 years). We used the trans-septal portal approach. We evaluated the satisfaction of the patients and the recurrence of the popliteal cyst by performing ultrasound exams at an average follow up of 36 months after surgery. At the final follow up, we evaluated the clinical results by the criteria of Rauschning and Lindgren. Results: We found no communication between the knee joint and the popliteal cyst by CT or MRI in 4 cases (8%), but we found a communication by arthroscopy in all the cases. Thirty-four cases had intra-articular pathologies and 9 cases didn`t. The total intra-articular pathologies included 17 articular cartilage defects or chondral lesion (38%) and 15 meniscus tears (34%). In 1 case, open excision was performed for the revision surgery because the patient had recurrence of the popliteal cyst, which caused compressive neuropathy of the common peroneal and tibial nerve. At the last follow up, the clinical outcome of surgery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Rauschning and Lindgren was grade 0 (28 cases), grade1 (12 cases), grade 2 (3 cases) and grade 3 (1 case). Conclusion: We can approach the orifice of a popliteal cyst directly with using the trans-septal portal and easily decompress the orifice of the cyst. We propose that the arthroscopic decompression using the trans-septal portal is an excellent treatment modality for popliteal cyst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