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당풍(唐風) 수용기 정용(鄭鎔)의 한시(漢詩)에 대한 고찰 -시선집(詩選集)에 수록된 작품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hinese poems of Jeong Yong(鄭鎔) in Acceptance Era with the Tang Dynasty`s poem styles -Focusing on the works of art in the anthology of poetry(詩選集)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807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조선중기 盛唐詩를 수용한 三唐詩의 등장은 우리 문학사에서 매우 중요한 분기점이 된다. 문학사에서 새로운 풍조의 유행은 몇몇 작가의 노력만으로 이루어질 수 없으며, 당시 활동했던 많...

      조선중기 盛唐詩를 수용한 三唐詩의 등장은 우리 문학사에서 매우 중요한 분기점이 된다. 문학사에서 새로운 풍조의 유행은 몇몇 작가의 노력만으로 이루어질 수 없으며, 당시 활동했던 많은 시인들이 교유하고 참여하는 과정에서 典範의 논리와 방향성이 자리를 잡게 된다. 그러나 三唐詩人을 제외하면 이 시기에 활동했던 여러 시인들에 대한 논의는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鄭鎔은 그동안 전혀 알려지지 않았던 시인으로 삼당시인이 활동했던 시기에 참여한 인물이다. 靖國功臣으로 海平府院君에 봉해진 鄭眉壽의 후손으로 화려한 가문의 배경과 경제적 풍요에도 출사하지 않고 자연을 벗 삼아 시작에 전념하였다. 많은 작품을 남긴 것은 아니지만 許筠은 그의 작품을 높이 평가하여 『國朝詩刪』에 6수를 선발하여 넣고 『鶴山樵談』과 『惺所覆?藁』에도 그에 대한 詩話를 수록했을 만큼 당시 상당한 비중을 지녔던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그는 唐風을 수용하여 정회를 표출하였다. 때로는 미숙한 작품이 보이기도 하지만, 절구 형식을 선호하여 주로 주위 경물과 심사를 소박하게 표현하는 특징을 보인다. 시화에 실린 일부 방대하고 현란한 의경의 작품을 허균은 詩魔가 들어 지은 것으로 소개하였다. 소박한 의경의 다른 작품과 연관성이 떨어지지만 정용의 입을 통해 지어진 것만은 분명하다. 조선 중기 당풍의 정착과 유행의 관점에서 정용의 담백하면서 소박한 한시는 일정한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아울러 당시 알려지지 않은 많은 시인들의 다양한 시풍을 논의하는 것은 당풍의 수용을 폭넓게 이해하는 단서가 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ppearance of Chinese poems of the Tang Dynasty style by three poets in the Joseon Dynasty(三唐詩) that accepted the Tang poetry during its flourishing period(盛唐詩) became the turning point of Korean literary history. Trends of new tendenc...

      The appearance of Chinese poems of the Tang Dynasty style by three poets in the Joseon Dynasty(三唐詩) that accepted the Tang poetry during its flourishing period(盛唐詩) became the turning point of Korean literary history. Trends of new tendencies in literary history cannot be done by several writers` efforts and model(典範)`s logic and directivity get to settle in the process that many poets who are active then associate with each other and participate. However, except the three poets who wrote the Tang Dynasty`s Chinese poem styles, discussion on several poets who were active in this period are desperately lacking.
      Joeng Yong(鄭鎔) is the figure who participated in the period that the three poets who wrote the Tang Dynasty`s Chinese poem styles were active as the poet who has never been known to us in the meanwhile.
      He devoted himself to writing his poems by communing with nature without entering government service despite the background of his distinguished family and economic affluence as the descendant of Jeong Mi-su(鄭眉壽) who was raised to Haepyeongbuwongun(海平府院君) as Jeonggukgongsin(靖國功臣). He did not leave many works of art. However, he can be evaluated to account for a considerable proportion of the period as Heo Gyun put his 6 poems in Gukjosisan(國朝詩刪) and included stores about his poems in Haksanchodam(鶴山樵談) and Seongsobugo(惺所覆?藁) by thinking highly of him.
      He expressed his thoughts by accepting the Tang Dynasty`s Chinese poem styles. Sometimes, he shows unpracticed works of art. However, his works of art usually feature simple expressions of the scenery of the seasons around him and his mind and thought as he gave preference to quatrain forms. Heo Gyun introduced his partial works of art about the vast and ornate scenery written by him because of a kind of spells that he felt a disposition to do them(詩魔) to people. It is clear that they were written by Jeong, Yong`s mouth even though they are not linked to his other works of art about the simple scenery. Jeong, Yong`s light and simple Chinese poems can somewhat be meaningful from an angle that the Tang Dynasty`s Chinese poem styles settled and were popular in the middle of the Jonseon Dynasty. In addition, discussion on various poetical styles by many poets who were not known then will be a clue to understand acceptance of the Tang Dynasty`s Chinese poem styles widely.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