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키에르케고어의 기독교 비판, 그 현재적 의의 및 적용 = Kierkegaard‘s Criticism of Christianity, Its Present Significance and Appli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549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past, the Korean church was recognized as a major force in social change by non-believers by playing the role of light and salt in the world. However, after Corona 19, when it is revealed that the church has not properly followed the quarantine...

      In the past, the Korean church was recognized as a major force in social change by non-believers by playing the role of light and salt in the world. However, after Corona 19, when it is revealed that the church has not properly followed the quarantine rules, the Korean church faces the sad reality of being condemned by non-believers. In this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reflect Kierkegaard's stinging criticism of the national church in his homeland, Denmark, as it is in today's Korean church and use it as a mirror. This is because the situation of the church at Kierkegaard's time and the situation of the church in Korea today are similar in many ways. Among them, the “secularization” of the church, the weakening or loss of the subjective faith of ordinary believers as a single person before God by being subsumed by the authority and subjectivity of the pastor, and the practical faith of God’s love and neighborly love, the essence of the gospel The commonality can be found in the loss and the distorted understanding that is directed towards the well-being of living well and eating well on this earth.
      Accordingly, this thesis seeks to find the justification and validity of a new application to today's Korean church by recalling the theological ideas contained in Kierkegaard's criticism of Christianity for the purpose of restoring the status and honor of the recently fallen Korean church. To this end, this paper, including “Introduction,” “Existential truth as a basis for attack on the church,” “The importance of honesty and correction in existential truth,” “The age of reflection and equalization,” “As the prototype of the true church, The New Testament Church,” “Conclusion: What does Kierkegaard’s critique of Christianity mean toda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과거 한국 교회는 세상에 빛과 소금의 역할을 잘 감당함으로써 세상 사람들로부터 사회 변혁의 주체 세력으로 인정받았지만, 코로나19 이후 교회를 중심으로 관리, 감독이 부실한 곳에서 집...

      과거 한국 교회는 세상에 빛과 소금의 역할을 잘 감당함으로써 세상 사람들로부터 사회 변혁의 주체 세력으로 인정받았지만, 코로나19 이후 교회를 중심으로 관리, 감독이 부실한 곳에서 집단감염이 연이어 발생하고 방역수칙을 제대로 따르지 않은 사실이 드러나자 한국 교회는 세상 사람들로부터 지탄과 혐오의 대상으로 추락하는 안타까운 현실을 보게 된다. 이런 상황에서 자신의 조국 덴마크의 국가 교회를 향한 키에르케고어의 신랄한 비판을 오늘의 한국 교회에도 그대로 투영시켜 거울로 삼아야 할 필요가 있다. 키에르케고어 당시의 교회 상황과 오늘의 한국 교회 상황이 다양한 측면에서 흡사한 점들이 발견되기 때문이다. 그 중에서도 특히 세상의 풍조에 떠밀려 분별없이 세속적인 것을 수용하는 교회의 “세속화”, 목회자의 권위와 주체성에 포섭되거나 경도되어 하나님 앞에서 단독자로서의 주체적 신앙의 약화 내지 상실, 복음의 본질인 하나님 사랑과 이웃 사랑의 실천적 믿음을 통해 세워지는 하나님 나라의 외면과 오로지 이 땅에서 건강하게 잘 먹고 잘 사는 웰빙적 신앙을 지향하는 왜곡된 이해에서 그 공통점을 찾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최근 추락한 한국 교회의 위상과 명예를 회복할 목적으로 키에르케고어의 기독교 비판에 담겨 있는 신학적 사상을 소환하여 오늘의 한국 교회에 새롭게 적용할 당위성 및 타당성을 찾으려한다. 이를 위해 본고는 “서론”을 포함해 “교회에 대한 공격의 토대로서 실존적 진리,” “실존적 진리에 있어 정직과 교정의 중요성,” “성찰과 평준화의 시대,” “참된 교회의 원형으로서 신약 교회,” “결론: 키에르케고어의 기독교 비판은 오늘날 무슨 의미를 갖는가?”로 나누어 체계적으로 제시해 보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호광, "한국 교회 변혁을 위한 그리스도인의 신앙적 주체성 확립의 의의와 그 적용성" 신학사상연구소 (190) : 115-151, 2020

      2 장호광, "키에르케고어의 철학사상에 있어 “동시성”의 신학적 의의와 그 적용성"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34 (34): 1-32, 2020

      3 심민수, "키에르케고어의 실존적 주체성의 교육적 함의" 교육문제연구소 (21) : 53-73, 2004

      4 심민수, "키에르케고어의 실존적 단독자 사상의 교육적 함의" 안암교육학회 10 (10): 5-35, 2004

      5 김웅래, "키에르케고어의 그리스도인 되기" 42 : 257-286, 2018

      6 홍경실, "키에르케고어와 레비나스의 주체성 비교― 우리 시대의 새로운 인간 이해를 위하여 ―" 철학연구소 (27) : 143-172, 2004

      7 오신택, "키에르케고어를 읽는 한 방법: 『기독교세계 공격(Attack upon Christendom)』을 중심으로" 한국하이데거학회 (40) : 63-96, 2016

      8 장호광, "상호주체성과 기독교윤리학" 한국학술정보 2021

      9 장창일, "기독교 배타적... 호감도 25% 그쳐"

      10 Hegel, G.W.F., "Vorlesungen über die Philosophie der Religion" Meiner Verlag 1925

      1 장호광, "한국 교회 변혁을 위한 그리스도인의 신앙적 주체성 확립의 의의와 그 적용성" 신학사상연구소 (190) : 115-151, 2020

      2 장호광, "키에르케고어의 철학사상에 있어 “동시성”의 신학적 의의와 그 적용성"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34 (34): 1-32, 2020

      3 심민수, "키에르케고어의 실존적 주체성의 교육적 함의" 교육문제연구소 (21) : 53-73, 2004

      4 심민수, "키에르케고어의 실존적 단독자 사상의 교육적 함의" 안암교육학회 10 (10): 5-35, 2004

      5 김웅래, "키에르케고어의 그리스도인 되기" 42 : 257-286, 2018

      6 홍경실, "키에르케고어와 레비나스의 주체성 비교― 우리 시대의 새로운 인간 이해를 위하여 ―" 철학연구소 (27) : 143-172, 2004

      7 오신택, "키에르케고어를 읽는 한 방법: 『기독교세계 공격(Attack upon Christendom)』을 중심으로" 한국하이데거학회 (40) : 63-96, 2016

      8 장호광, "상호주체성과 기독교윤리학" 한국학술정보 2021

      9 장창일, "기독교 배타적... 호감도 25% 그쳐"

      10 Hegel, G.W.F., "Vorlesungen über die Philosophie der Religion" Meiner Verlag 1925

      11 übersetzt von Hayo Gerdes, "Krankheit zum Tode" Reinbek 1964

      12 Anz, Wilhelm, "Kierkegaard und der deutsche Idealismus" Mohr Siebeck 1956

      13 Struve, Wolfgang, "Interpretationen zu Kierkegaard und Nietzsche" 1948

      14 Kierkegaard, Sören., "Gesammelte Werke, Abteilung 12: Der Augenblick" Eugen Diederichs Verlag 1966

      15 übersetzt von Hayo Gerdes, "Einübung im Christentum" Diederichs Verlag 1933

      16 Löwith, Karl, "Einsichten. Gerhard Krüger zum 60" Klosterman 1962

      17 übersetzt von Hayo Gerdes, "Eine literarische Anzeige" Eugen Diederichs Verlag 1953

      18 Diem, Hermann, "Dogmatik und Existenzdialektik" 1955

      19 übersetzt von Hayo Gerdes, "Die Schriften über sich selbst" Eugen Diederichs Verlag 1951

      20 Diem, Hermann, "Die Existenzdialektik von Sören Kierkegaard" Evangelischer Verlag 1950

      21 Martensen, H.L., "Die Christliche Ethik" R. Besser 1871

      22 Jaspers, Karl, "Der philosophische Glaube angesichts der Offenbarung" Pipper & Co. Verlag 1962

      23 übersetzt von Hayo Gerdes, "Das Buch Adler" Verlag Hegner 1951

      24 übersetzt von Hayo Gerdes, "Abschliessende unwissenschaftliche Nachschrift zu den philosophischen Brocken" Eugen Diederichs Verlag 195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9-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06-29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Evangelical Society Of Systematic Theology -> Systematic Theology Division of Korea Evangelical Theological Society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