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원위 비골 골절 환자에서의 천비골 신경의 변이적 주행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6012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원위 비골 골절의 수술적 접근 시 발견되는 천비골 신경(superficial peroneal nerve)의 변이적 주행을 평가하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저자들은 원위 비골 골절의 측방 접...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원위 비골 골절의 수술적 접근 시 발견되는 천비골 신경(superficial peroneal nerve)의 변이적 주행을 평가하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저자들은 원위 비골 골절의 측방 접근법을 이용한 수술 시 접하게 된 천비골 신경의 변이적 주행을 확인하기 위해 238예의 증례를 연구군으로 하여 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결과: 238예 중 10예(4%)에서 신경의 비정상적인 주행을 확인하였으며 이 신경은 원위 비골 위를 평행하게 주행하다가 비골 말단으로부터 근위 3.5 cm 높이에서 비골의 전연을 벗어나면서 급격하게 전방으로 진행하는 양상을 보였다. 저자들은 또한 3예의 천비골 신경 직접 손상을 확인하였다. 이 중 1예는 완전 절단된 소견을 보였으며 다른 1예에서는 부분 절단 소견을, 나머지 1예에서는 신연 손상 소견을 관찰할 수 있었다. 차례대로 비골 원위 말단부에서 각각 2.5 cm, 5 cm, 6 cm 떨어진 위치에서 천비골 신경의 손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본 논문에서는 족관절 골절 환자에서 감각 이상을 포함한 세심한 신경학적 검사를 시행하는 것과 원위 비골에 절개 및 박리를 시행할 때 천비골 신경의 변이적 주행에 대해 인지하고 주의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our study was to assess the anomalous location and course of the superficial peroneal nerve (SPN), which were come across during exposure of distal fibula fracture. Materials and Methods: We operated on 238 cases of ankle fr...

      Purpose: The purpose of our study was to assess the anomalous location and course of the superficial peroneal nerve (SPN), which were come across during exposure of distal fibula fracture.
      Materials and Methods: We operated on 238 cases of ankle fractures, and examined the anomalous location and course of SPN around the distal part of the fibula. The study was performed prospectively.
      Results: The mean length of surgical exposure was 9.8 cm. In 10 (4%) of 238 cases, the nerve was anomalous in its course, which was in parallel with the distal fibula and rapidly curved anteriorly at 3.5 cm proximal to the tip of the fibula. We found 3 cases of injury to the SPN; one was completely transected, the second was partially transected, and the third was stretched over the fracture site, at 2.5 cm, 5 cm, and 6 cm proximal to the tip of distal fibula, respectively.
      Conclusion: We emphasize the importance of a detailed neurologic examination, including sensory test for patients with ankle fractures, because of the variation in course of the SPN around the distal fibul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론
      • 대상 및 방법
      • 결과
      • 고찰
      • 결론
      • 서론
      • 대상 및 방법
      • 결과
      • 고찰
      •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Solomon LB, "Surgical anatomy of the sural and superficial fibular nerves with an emphasis on the approach to the lateral malleolus" 199 : 717-723, 2001

      2 Blair JM, "Surgical anatomy of the superficial peroneal nerve in the ankle and foot" 305 : 229-238, 1994

      3 Rosson GD, "Superficial peroneal nerve anatomic variability changes surgical technique" 438 : 248-252, 2005

      4 Pichler W, Clement H, Boldin C, Grechenig W, Tesch NP, "Primary transection of the superficial peroneal nerve resulting from a distal fibula fracture" 21 : 212-214, 2007

      5 Canovas F, "Organisation, surgical applications" 18 : 241-244, 1996

      6 Huene DB, "Operative anatomy of nerves encountered in the lateral approach to the distal part of the fibula" 77 : 1021-1024, 1995

      7 Redfern DJ, "Investigation of incidence of superficial peroneal nerve injury following ankle fracture" 24 : 771-774, 2003

      8 Borley NR, "Gray's anatomy" Chruchill Livingstone 1411-1428, 2008

      9 O'Neill PJ, "Excursion and strain of the superficial peroneal nerve during inversion ankle sprain" 89 : 979-986, 2007

      10 Hughes JL, "Evaluation of ankle fractures : non-operative and operative treatment" 138 : 111-119, 1979

      1 Solomon LB, "Surgical anatomy of the sural and superficial fibular nerves with an emphasis on the approach to the lateral malleolus" 199 : 717-723, 2001

      2 Blair JM, "Surgical anatomy of the superficial peroneal nerve in the ankle and foot" 305 : 229-238, 1994

      3 Rosson GD, "Superficial peroneal nerve anatomic variability changes surgical technique" 438 : 248-252, 2005

      4 Pichler W, Clement H, Boldin C, Grechenig W, Tesch NP, "Primary transection of the superficial peroneal nerve resulting from a distal fibula fracture" 21 : 212-214, 2007

      5 Canovas F, "Organisation, surgical applications" 18 : 241-244, 1996

      6 Huene DB, "Operative anatomy of nerves encountered in the lateral approach to the distal part of the fibula" 77 : 1021-1024, 1995

      7 Redfern DJ, "Investigation of incidence of superficial peroneal nerve injury following ankle fracture" 24 : 771-774, 2003

      8 Borley NR, "Gray's anatomy" Chruchill Livingstone 1411-1428, 2008

      9 O'Neill PJ, "Excursion and strain of the superficial peroneal nerve during inversion ankle sprain" 89 : 979-986, 2007

      10 Hughes JL, "Evaluation of ankle fractures : non-operative and operative treatment" 138 : 111-119, 1979

      11 Agthong S, "Anatomy of the superficial peroneal nerve related to the harvesting for nerve graft" 30 : 145-148, 2008

      12 Adkison DP, "Anatomical variations in the course of the superficial peroneal nerve" 73 : 112-114, 199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4-14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1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등록 한글명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06 0.06 0.0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08 0.08 0.24 0.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