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ㆍ중등교사와 학생의 교실수업형 원어민 화상영어교육에 대한 인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6013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crutinize 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ons of video-conferencing English teaching/learning. The study subjects were 77 students from three primary schools and three middle schools along with 28 teachers from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crutinize 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ons of video-conferencing English teaching/learning. The study subjects were 77 students from three primary schools and three middle schools along with 28 teachers from Southwestern provincial areas. The data sources utilized include: pre and post questionnaires, post written reports and on-site journals regarding students’ confidence, motivation and interest in English learning; and post questionnaires regarding students’ perceptions of English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skills improvements; post questionnaires and post interviews regarding teachers’ perceptions of teacher roles and difficulties to implement video-conferencing English teaching. Following study results emerged: 1) The students perceived that their confidence, motivation and interest in English learning were improved; 2) The students perceived also that their listening and speaking skills were improved but reading and writing skills were not; 3) the teachers perceived that Korean teachers needed to contribute more at video-conferencing English classes and that English native speaking teacher teaching qualification varied a lot and caused troubles; 4) The teachers also perceived that video-conferencing English curriculum did not meet students’ needs so it needed to be modified, and that student selection guidelines needed to be clarified to implement proficiency-based teaching. Some suggestions are proposed based on the study findings and limitations to make video-conferencing English teaching more fruitfu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I. 서론
      • II. 영어 원어민 화상교육 및 선행연구
      • III. 연구 방법
      • IV. 결과 및 논의
      • Abstract
      • I. 서론
      • II. 영어 원어민 화상교육 및 선행연구
      • III. 연구 방법
      • IV. 결과 및 논의
      • V.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부록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류경아, "화상수업을 통한 고등학생 학습자의 의사소통능력 향상에 관한 연구 : Hamilton Secondary College와의 상호작용 화상수업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2 최민정, "초등학생을 위한 원격 화상 영어 교육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3 한수민, "초등학교 원격화상 영어수업을 위한 효과적인 지도방안 연구 : 초등학교 4학년을 중심으로"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4 신동로, "초등 원어민화상수업의 학습자 인식과 학습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교육학회 47 (47): 119-143, 2009

      5 최인철, "웹기반 원격화상 영어교수법 효과성 분석"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12 (12): 257-286, 2009

      6 정민수, "원어민화상수업 유형과 학습자 인지양식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디지털정책학회 9 (9): 291-303, 2011

      7 정민수, "원어민화상수업 유형과 인지양식이 영어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1

      8 오영범, "원어민을 활용한 초등학교 영어화상원격교육 사례 연구" 한국초등교육학회 23 (23): 21-46, 2010

      9 정민수, "원어민 원격 화상수업의 효율적 운영 방향" 44-52, 2010

      10 박대원, "원어민 원격 화상강의 운영의 실제" 20-27, 2010

      1 류경아, "화상수업을 통한 고등학생 학습자의 의사소통능력 향상에 관한 연구 : Hamilton Secondary College와의 상호작용 화상수업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2 최민정, "초등학생을 위한 원격 화상 영어 교육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3 한수민, "초등학교 원격화상 영어수업을 위한 효과적인 지도방안 연구 : 초등학교 4학년을 중심으로"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4 신동로, "초등 원어민화상수업의 학습자 인식과 학습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교육학회 47 (47): 119-143, 2009

      5 최인철, "웹기반 원격화상 영어교수법 효과성 분석"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12 (12): 257-286, 2009

      6 정민수, "원어민화상수업 유형과 학습자 인지양식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디지털정책학회 9 (9): 291-303, 2011

      7 정민수, "원어민화상수업 유형과 인지양식이 영어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1

      8 오영범, "원어민을 활용한 초등학교 영어화상원격교육 사례 연구" 한국초등교육학회 23 (23): 21-46, 2010

      9 정민수, "원어민 원격 화상수업의 효율적 운영 방향" 44-52, 2010

      10 박대원, "원어민 원격 화상강의 운영의 실제" 20-27, 2010

      11 교육과학기술부, "원어민 원격 화상강의 기본계획" 교육과학기술부, 영어교육강화추진팀 2008

      12 이현주, "원격화상수업이 6학년 학생의 영어듣기 능력과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3 손창훈, "원격 화상교육이 초등학생 영어 말하기 능력 및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4 정성무, "온·오프라인 연계 하이브리드 방식의 영어 공교육 실천 사례" KERIS 1-39, 2008

      15 허미선,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이 초등학생들의 말하기 능력과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6 김명신, "영어 원어민 교사 예산 삭감, 사실은 이렇습니다"

      17 오영범, "설계기반연구방법에 기반한 초등학교 원어민 원격화상수업 설계원리" 1 (1): 185-192, 2010

      18 김인석, "디지털 영어교재 활용도 및 효과성 분석 연구" KERIS/과학기술부 2009

      19 Dörnyei, Z., "Teaching and researching: motivation (2nd Edition)" Pearson Education ESL 2010

      20 "Teach English in Korea"

      21 최수정, "Symbolic Violence of the Native Speaker Fallacy: A Qualitative Case Study of an NNES Teacher"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15 (15): 33-57, 2009

      22 맹은경, "Reading Strategy Instruction and Reading Comprehens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한국중앙영어영문학회 52 (52): 95-121, 2010

      23 Grimm, L. G. G., "Reading & understanding multivariate statistics" American Psychology Association 1995

      24 이현경, "Meaning negotiation in task-based videoconferencing" 숙명여자대학교 TESOL대학원 2005

      25 Cook, V., "Going beyond the native speaker in language teaching" 33 (33): 185-209, 1999

      26 Horwitz, E. K., "Foreign language classroom anxiety" 70 (70): 125-132, 1986

      27 김인석, "4개 영어교육특구 지역 초등학교 학생들의 원어민 사이버 영어공부방 성과 분석 연구"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16 (16): 27-54, 2010

      28 김인석, "21세기 멀티미디어 영어교육론" 한국문화사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7-03-10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Association Of Primary English Education -> The Korea Association of Primary English Education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2 0.72 0.8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4 0.92 1.442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