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뇌졸중 후 노인의 수면의 질과 우울의 관련성 = Association between sleep quality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after a strok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4944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level of depression in the elderly after stroke an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leep quality and post stroke depression. The study participants were 110 elderly people aged 60 or older who visit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level of depression in the elderly after stroke an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leep quality and post stroke depression. The study participants were 110 elderly people aged 60 or older who visited the physical therapy room after stroke,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August to November 2020.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for data analysis. As a result, 77.3% (85 patients) of the participants were depressed. The factor influencing on depression was the quality of sleep,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27.8%. It was confirmed that the sleep quality of the elderly after a stroke was a major influencing factor on depression.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measures to improve the quality of sleep should be prepared in order to reduce the post stroke depression of the elderl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뇌졸중 후 노인의 우울정도를 확인하고, 수면의 질과 우울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뇌졸중 후 물리치료실을 내원하는 60세 이상의 노인 110명이며, 설...

      본 연구는 뇌졸중 후 노인의 우울정도를 확인하고, 수면의 질과 우울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뇌졸중 후 물리치료실을 내원하는 60세 이상의 노인 110명이며, 설문조사는 2020년 8월부터 11월까지 시행하였다. 자료분석은 기술적 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참여 대상자의 77.3%(85명)이 우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우울은 뇌졸중 마비측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대상자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수면의 질이었으며, 설명력은 27.8%로 뇌졸중 후 노인의 수면의 질은 우울에 주요한 영향요인임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뇌졸중 후 노인의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해 수면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들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한영, "한글판 수정바델지수(K-MBI)의 개발: 뇌졸중 환자 대상의 다기관 연구" 대한재활의학회 31 (31): 283-297, 2007

      2 오은미, "재가노인의 뇌졸중 후 우울 예측요인" 한국노인간호학회 20 (20): 167-176, 2018

      3 서민희, "뇌졸중 후 수면-각성장애" 한국기초간호학회 11 (11): 23-31, 2009

      4 김종성, "뇌졸중 후 발생하는 감정장애: 우울, 불안, 감정조절장애, 분노조절장애, 그리고 피로" 대한신경과학회 23 (23): 1-8, 2005

      5 박지연, "노인의 심뇌혈관질환 관련요인의 융복합적 규명" 국제문화기술진흥원 6 (6): 215-221, 2020

      6 박순주,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뇌졸중 후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콘텐츠학회 20 (20): 385-394, 2020

      7 K. T. Kim, "The prevalence and clinical significance of sleep disorders in acute ischemic stroke patients—a questionnaire study" 21 (21): 759-765, 2017

      8 M.H. Su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n quality of life in stroke survivors at 1 year after survivor"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0

      9 Liming Dong, "Pre-stroke sleep duration and post-stroke depression" Elsevier BV 77 : 325-329, 2021

      10 E. M. Whyte, "Post stroke depression : epidemiology, pathophysiology, and biological treatment" 52 (52): 253-264, 2002

      1 정한영, "한글판 수정바델지수(K-MBI)의 개발: 뇌졸중 환자 대상의 다기관 연구" 대한재활의학회 31 (31): 283-297, 2007

      2 오은미, "재가노인의 뇌졸중 후 우울 예측요인" 한국노인간호학회 20 (20): 167-176, 2018

      3 서민희, "뇌졸중 후 수면-각성장애" 한국기초간호학회 11 (11): 23-31, 2009

      4 김종성, "뇌졸중 후 발생하는 감정장애: 우울, 불안, 감정조절장애, 분노조절장애, 그리고 피로" 대한신경과학회 23 (23): 1-8, 2005

      5 박지연, "노인의 심뇌혈관질환 관련요인의 융복합적 규명" 국제문화기술진흥원 6 (6): 215-221, 2020

      6 박순주,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뇌졸중 후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콘텐츠학회 20 (20): 385-394, 2020

      7 K. T. Kim, "The prevalence and clinical significance of sleep disorders in acute ischemic stroke patients—a questionnaire study" 21 (21): 759-765, 2017

      8 M.H. Su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n quality of life in stroke survivors at 1 year after survivor"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0

      9 Liming Dong, "Pre-stroke sleep duration and post-stroke depression" Elsevier BV 77 : 325-329, 2021

      10 E. M. Whyte, "Post stroke depression : epidemiology, pathophysiology, and biological treatment" 52 (52): 253-264, 2002

      11 R. Snyder‐Halpern, "Instrumentation to describe subjective sleep characteristics in healthy subjects" 10 (10): 155-163, 1987

      12 S. Shah, "Improving the sensitivity of the Barthel Index for stroke rehabilitation" 42 (42): 703-709, 1989

      13 Valery L Feigin, "Global and regional burden of stroke during 1990–2010: findings from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0" Elsevier BV 383 (383): 245-255, 2014

      14 Statistics Korea, "Emergency medical status statistics: The number of stroke patients"

      15 J. A. Yesavag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geriatric depression screening scale : A preliminary report" 17 (17): 37-49, 1983

      16 Chuanyou Li, "Association between obstructive sleep apnea and risk of post-stroke depression: A hospital-based study in ischemic stroke patients" Elsevier BV 29 (29): 104876-, 2020

      17 B. S. Kee, "A preliminary study for the standardizat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Korean Version" 35 (35): 298-307,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