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영동과 안동 일라이트의 광물학적 특성 및 중금속 제거 효율 연구 =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and Heavy Metal Removal Efficiency of Yeongdong and Andong Illit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921573

      • 저자
      • 발행사항

        안동 : 안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안동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구환경과학과 , 2024. 2

      • 발행연도

        2024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경상북도

      • 형태사항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김정진

      • UCI식별코드

        I804:47015-200000735207

      • 소장기관
        • 국립안동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일라이트(Illite)는 Ralph E. Grim에 의해 미국 일리노이주(State of Illinois)의 이름에서 유래되었으며, 운모류 점토광물로 퇴적암, 그 중에서도 특히 셰일에서 흔히 산출되는 층상규산염광물이다. ...

      일라이트(Illite)는 Ralph E. Grim에 의해 미국 일리노이주(State of Illinois)의 이름에서 유래되었으며, 운모류 점토광물로 퇴적암, 그 중에서도 특히 셰일에서 흔히 산출되는 층상규산염광물이다. 일라이트의 화학 조성은 K0.8-0.9(Al, Fe, Mg)2(Si, Al)4O10(OH)2로 이루어져 있으며 산출지에 따라 화학조성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일라이트는 형태에 따라 의약품, 건축마감재, 화분재, 필터재료 등으로 많은 활용이 되고 있으며, 관련 연구로는 주로 흡착을 이용한 연구들로 방사성 세슘 흡착 특성연구, 중금속 흡착 효과 연구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영동 일라이트와 안동일라이트의 광물학적 규명을 밝히고 일라이트의 흡착능을 이용한 제조비드의 중금속 제거 효율을 평가하였다. 일라이트는 Quartz, Albite, Illite로 구성되어 있으며, 안동 일라이트에는 Hematite와 Calcite가 포함되어있었다. 일라이트의 소성 전 후 성분변화는 없었으며, Illite의 피크값이 낮아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각 일라이트의 pH 상승능력은 소성 전일 경우, AD-02>Kaolinite>YD-02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소성 후 경우, AD-02>Kaolinite=YD-02 순으로 pH 상승이 높게 나타났다.
      비드의 경우 종류별시 YD-02-Bead, AD-02-Bead 비슷한 상승능력을 가지고 있다. 각 일라이트의 함량별에 따른 pH 상승능력은 YD-02-Bead 경우, Illite의 함량이 많은 순으로 pH 상승이 높게 나타났으며, AD-02Bead는 Illite와 Calcite의 함량이 많을수록 pH 상승이 좋게 나타났다. 각 일라이트의 중금속 제거 효율에서 YD-02-Bead는 전체적으로 4hr에 중금속 농도가 크게 감소하였으며, Cr 항목은 모든 비드에서 크게 감소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YD-02 함량에 따라 제조한 비드에서는 제조 비드내 일라이트의 함량이 많은 YD-02-Bead20>YD-02-Bead35>YD-02-Bead30 순으로 제거 효율이 좋게 나타났다. AD-02-Bead에서 또한 비드에 Illite와 Calcite의 함량이 많은 AD-02-Bead 35>AD-02-Bead30>AD-02-Bead20 순으로 제거 효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시간에 차이는 있으나 특정 중금속 항목인 Cr, Cu, Fe, Pb 항목에서는 최종적으로 0 ppm에 수렴하는 제거 효율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Illite의 함량이 많을수록 중금속 제거 효율이 높게 나타나는 것과 영동 일라이트 보다 Calcite 성분이 있는 안동 일라이트가 제거 효율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있었다. 이에 Mg(OH)2만 함유한 비드보다 Illite가 포함된 비드의 pH 상승 지속성이 높아 중금속 제거 효율이 더 높을 것으로 생각되며, 각 일라이트의 중금속 제거 특성에 따라 중금속 제거에 다양하게 활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1
      • 2. 연구지역 ···························································· 3
      • 2.1 영동군····························································· 3
      • 2.2 안동시····························································· 3
      • 3. 연구방법 ···························································· 5
      • 1. 서론 ································································· 1
      • 2. 연구지역 ···························································· 3
      • 2.1 영동군····························································· 3
      • 2.2 안동시····························································· 3
      • 3. 연구방법 ···························································· 5
      • 3.1 기초실험 ························································· 5
      • 3.2 시료선정 ························································· 10
      • 3.3 실험방법 ························································· 11
      • 3.3.1 중금속 제거 연구·············································· 12
      • 3.3.2 비드제조······················································ 13
      • 4. 연구결과···························································· 15
      • 4.1 매질 X-선 회절분석············································· 15
      • 4.1.1 원 분말 시료 X-선 회절 분석 ······························ 15
      • 4.1.2 소성 분말 시료 X-선 회절 분석 ···························· 18
      • 4.1.3. 제조 비드의 X-선 회절 분석 ······························· 21
      • 4.2 제조 비드 물리적 특성 평가····································· 29
      • 4.3 매질에 따른 중금속 제거 pH 변화 ····························· 31
      • 4.3.1 분말 원시료의 pH 변화 ····································· 31
      • 4.3.2 분말 소성시료의 pH 변화 ··································· 31
      • 4.3.3 제조 비드에 따른 pH 변화 ·································· 34- II -
      • 4.4 제조비드의 중금속 제거 효율 평가 ································· 39
      • 4.4.1 종류에 따른 중금속 제거 효율 평가 ························ 39
      • 4.4.2 영동일라이트 함량에 따른 중금속 제거 효율 평가 ········· 44
      • 4.4.3 안동일라이트 함량에 따른 중금속 제거 효율 평가 ········· 49
      • 5. 결론································································ 54
      • 참고문헌······························································· 5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