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과정 패러다임에 관한 한 연구 : 교회성장을 중심으로 = (A) Study of Process Paradigm : With Reference to Church Growt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7092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교회성장에 대한 기존 패러다임을 살펴보고 미래 교회성장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연구하고자 한다. 기존 패러다임의 문제점이 경직성에 있음을 발견하고 미래 교회성장의 대...

      본 논문은 교회성장에 대한 기존 패러다임을 살펴보고 미래 교회성장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연구하고자 한다. 기존 패러다임의 문제점이 경직성에 있음을 발견하고 미래 교회성장의 대안으로 과정 패러다임(process paradigm)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1장에서는 문제제기 부분으로 연구 목적과 연구 범위 및 방법, 용어 해설에 대하여 소개하였고, 제2장은 과거 교회성장의 패러다임에 대한 부분으로 교회성장에 대한 이해와 과거 전통 교회의 교회성장 패러다임, 교회성장의 이항 대립적 패러다임 유형에 대하여 알아보고 과거 교회성장을 이끈 패러다임을 살펴보았다. 교회성장에 대한 이해를 피터 와그너, 도날드 맥가브란(C. Peter Wagner, Donald A. Mcgavran)의 이론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과거 교회성장을 이끈 패러다임과 요인들을 분석함으로 과거 전통 교회에 있던 패러다임의 문제점에 경직성이 있음을 연구한 것이다.
      제3장은 교회성장에 대한 대안으로서의 과정 패러다임에 대한 부분으로 현재와 미래 사회의 특징과 시대적 변화에 대하여 분석하고 시대적 변화에 맞추어 성장을 이루고 있는 증거들을 논증하였다. 그 첫 번째는 정보화, 미디어, 네트워크 사역상의 증거이고, 두 번째는 지역사회 섬김 복지와 마케팅 사역상의 증거, 마지막으로 소그룹, 셀 활성화 사역상의 증거이다. 최근 교회성장의 주도를 이끌고 있는 증거들을 통해 새로운 미래 교회성장을 위한 패러다임을 제시하였다. 곧 시대적 변화에 따른 패러다임을 수용한 여러 교회들의 예를 통해 미래 교회성장을 이끌 패러다임을 연구한 것이다.
      시대가 변하고 사람들이 변하고 있지만 현재 많은 교회가 변화를 수용하지 못하고 기존의 패러다임만 고수하여 퇴보하였다. 급변하는 시대적 상황을 반영하지 않고 기존의 체제만을 유지하여 쇠퇴의 길을 걷고 있는 것이다. 미래 사회에 시대적 상황에 맞는 새로운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 이 시대를 이끌어 가는 교회들은 현 사회의 변화에 주목하고 있다. 앞으로의 교회성장을 위해서는 시대에 맞는 패러다임 쉬프트(paradigm shift)가 이뤄져야 한다. 미래 교회 성장을 위한 과정 패러다임은 미래 변화에 열려 있고 하나님의 사람의 가치를 중요하게 여기는 건강한 교회를 만드는 요소를 말한다.
      경직된 기존의 패러다임을 벗어버리고 양적 성장뿐만 아니라 질적 성장을 이룩할 수 있는 과정 패러다임으로 전환하여 사람들을 키우고 교회를 온전히 세워 가는 건강한 교회성장을 이뤄야 하겠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esent work examines existing paradigms and seeks to develop a new paradigm, a process paradigm, which is to be decisive to the growth of future church. It was found that the problem of existing paradigms is from rigidity, so that it is proposed,...

      The present work examines existing paradigms and seeks to develop a new paradigm, a process paradigm, which is to be decisive to the growth of future church. It was found that the problem of existing paradigms is from rigidity, so that it is proposed, as its title implies, that, as one way of taking care that rigidity problem, the process paradigm is supposed to be the most suitable substitute for future church growth.
      The 1st Chapter introduces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thesis, dealing with purpose of the research, scope and method of research, and explanations of terminologies.
      The 2nd Chapter discusses paradigms of church growth in the past, examining theories concerning church growth in general. Not only that, the present researcher also examines the paradigms of traditional church growth, and unsuccessful and successful types of paradigm which affected the development of old church.
      The perception regarding the progress of church is examined on the basis of the theory of C. Peter Wagner and Donal A. McGavran. And then the analysis about the paradigm and factors that led to the development of church were conducted to find out the fact that rigidity was a main obstacle of existing traditional church.
      The 3rd Chapter deals with the process paradigm as an alternative for church growth in the future. It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and future society. And it in turn does analyze periodical changes as well. And it also proves the evidence that constitutes the growth according to the periodical changes. The first proof is shown on the basis of information, medial, and network service.
      The second proof was shown through argumentations regarding local service, welfare, and marketing service. One last thing is derived from a small group and cell revitalization service. The paradigm for the growth of future church is presented on the basis of the proofs that lead the growth of today's church. The investigation regarding paradigms was carried out via the cases of the churches that accepted each paradigm according to changing period.
      Today's churches, preserving its old paradigm, are unable to accommodate the changing generation and its people, thus suffering a relapse. Churches refuse to reflect rapidly-changing situations and hold on to its existing constitution, walking in the way of retrogression. The ransformation of paradigm will be critical in the future. Leading churches of the age embrace the changes of the current society. For the progress of today's church, the paradigm shift is a must. The process paradigm for the future is open to the forthcoming changes and values which contribute to healthier church that appreciates the God's respect for men's values.
      Churches should discard existing rigid paradigms and transform their old paradigm to the new process paradigm, achieving not only the quantitative development, but also qualitative development; they shall raise Christians and fulfill their goal of building a sound and healthy on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국문초록 = ⅰ
      • Ⅰ. 서론 = 1
      • A. 문제 제기와 연구 목적 = 1
      • B. 연구 범위와 방법 = 2
      • 목차
      • 국문초록 = ⅰ
      • Ⅰ. 서론 = 1
      • A. 문제 제기와 연구 목적 = 1
      • B. 연구 범위와 방법 = 2
      • C. 기본 용어에 대한 개념 = 3
      • Ⅱ. 교회성장에 대한 기존 패러다임 = 7
      • A. 교회성장의 이해 = 7
      • B. 전통교회의 성장 패러다임 = 16
      • C. 교회성장의 이항 대립적 패러다임 = 19
      • Ⅲ. 교회성장의 대안으로서의 과정 패러다임 = 24
      • A. 정보화, 미디어, 네트워크 사역상의 증거 = 27
      • B. 지역사회 섬김(복지)과 마케팅 사역상의 증거 = 33
      • C. 소그룹, 셀 활성화 사역상의 증거 = 44
      • Ⅳ. 결론 = 55
      • 참고문헌 = 59
      • CONTENTS = 65
      • ABSTRACT = 6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