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이정원 소장 필사 18장본 심청전의 이본론 = The Distinctive Features of Leejeongwon 18-Chapter Version of Simcheongje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3403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Leejeongwon 18-chapter version of Simcheongjeon.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by Kim Youngsoo and Shin Horim, the Leejeongwon 18-chapter version belongs to Simpanggyu and Jangja groups. I compared the Leejeongwon 18-c...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Leejeongwon 18-chapter version of Simcheongjeon.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by Kim Youngsoo and Shin Horim, the Leejeongwon 18-chapter version belongs to Simpanggyu and Jangja groups.
      I compared the Leejeongwon 18-chapter version with a few versions of the Simpanggyu group (Choijaenam 22-chapter version, Paksunho 43-chapter version, Kimgwangsun 19-chapter version, and Jeongmunyoun 19-chapter version). As a result, I could determine that the Leejeongwon version was written earlier than the other versions and it directly influenced the Choijaenam version.
      According to manuscript records, it is estimated that the Leejeongwon version was written in 1829, because the Leejeongwon version was not influenced by Shinjaehyo version written by 1870. And the Leejeongwon version is supposed to have been written in Kyuongsang province because Kyoungsang dialect was mainly used in it and references to the area name of Yeju, Ulsan, which is in Kyoungsang province, were found in it.
      The distinguishing features of the Leejeongwon version are as below. First, it presents the typical Simcheongjeon in Gasa style. Second, it exhibits a transition period from Jangja group to Jangja’s wife group. Considering these features, we can gather three useful points from the Leejeongwon version. First, the Leejeongwon version is one of the earlier versions of Simcheongjeon whose time and geographical area of writing have been confirmed. Second, the Leejeongwon version is the full script of the earlier versions of Simcheongjeon in Gasa style.
      Third, the Leejeongwon version uses the Kyoungsang dialect of a certain perio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이정원 소장 필사 18장본 심청전을 학계에 소개하고자 한다. 이정원본은 김영수와 신호림의 분류에 따르면 심팽규 계열과 장자 계열에 속한다. 이정원본의 이본론을 위해 심팽규 ...

      이 논문은 이정원 소장 필사 18장본 심청전을 학계에 소개하고자 한다. 이정원본은 김영수와 신호림의 분류에 따르면 심팽규 계열과 장자 계열에 속한다. 이정원본의 이본론을 위해 심팽규 계열인 최재남22장본, 박순호43장본, 김광순19장본, 정문연19장본과 대비하였다. 그 결과 이정원본은 비교 대상 이본들보다 앞선 이본이고 특히 최재남본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준 이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정원본의 필사 시기는 필사기(기축팔월십일닐등서우 짐)로 볼 때 1829년으로 추정된다. 이는 이정원본이 1870년 무렵에 나온 신재효본의 영향을 받지 않은 이본으로 확인되기 때문이다. 필사 지역은 경상도로 추정된다. 이는 이정원본에서 경상 방언이 보편적으로 쓰였고, 예주・울산과 같은 지역명이 발견되기 때문이다.
      이정원본의 이본적 특징은 크게 두 가지이다. 첫째, 이정원본은 가사체 심청전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인다. 둘째, 이정원본은 장자 계열에서 장자부인 계열으로 이행기 양상을 보인다. 이러한 특징에 기반하여 이정원본은 다음의 가치를 지닌다. 첫째 필사 시기와 지역을 확정할 수 있는 초기 심청전이다. 둘째 가사체 심청전 중 이른 시기의 완본이다. 셋째 이정원본은 특정 시기 경상 지역 문헌 방언을 보여주는 이본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수, "필사본 심청전 연구" 민속원 1-545, 2001

      2 서유경, "초기 <심청전> 연구" 판소리학회 (37) : 79-106, 2014

      3 차재은, "이정원본 심청전에 대한 국어사적 고찰 - 표기와 음운 체계를 중심으로 -" 한말연구학회 (46) : 175-205, 2017

      4 신호림, "심청전의 계열과 주제적 변주"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6

      5 유영대, "심청전연구" 문학아카데미 1-269, 1989

      6 최운식, "심청전연구" 집문당 1-237, 1982

      7 김진영, "심청전 전집 9" 박이정 1-484, 2000

      8 김진영, "심청전 전집 8" 박이정 1-505, 2000

      9 김진영, "심청전 전집 7" 박이정 1-517, 1999

      10 김진영, "심청전 전집 4" 박이정 1-449, 1998

      1 김영수, "필사본 심청전 연구" 민속원 1-545, 2001

      2 서유경, "초기 <심청전> 연구" 판소리학회 (37) : 79-106, 2014

      3 차재은, "이정원본 심청전에 대한 국어사적 고찰 - 표기와 음운 체계를 중심으로 -" 한말연구학회 (46) : 175-205, 2017

      4 신호림, "심청전의 계열과 주제적 변주"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6

      5 유영대, "심청전연구" 문학아카데미 1-269, 1989

      6 최운식, "심청전연구" 집문당 1-237, 1982

      7 김진영, "심청전 전집 9" 박이정 1-484, 2000

      8 김진영, "심청전 전집 8" 박이정 1-505, 2000

      9 김진영, "심청전 전집 7" 박이정 1-517, 1999

      10 김진영, "심청전 전집 4" 박이정 1-449, 1998

      11 김석배, "심청가 결말부의 지평전환 연구" 판소리학회 (29) : 61-96, 2010

      12 박일용, "가사체 <심청전> 이본과 초기 판소리 창본계 <심청전>의 관련 양상" 판소리학회 7 : 47-76, 1996

      13 박일용, "<심청전>의 가사적 향유 양상과 그 판소리사적 의미" 판소리학회 5 : 51-100, 1994

      14 김석배, "<심청가> 더늠의 통시적 연구" 판소리학회 9 : 195-275, 199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3-1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Pansori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2 0.72 0.7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71 1.536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