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일본의 1960년, 그 현대적인 의미 (시미즈 이쿠타로(淸水幾太郞) 와 마루야마 마사오(丸山眞男)의 정치사상)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916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에토쥰은 안보투쟁이후, 「마루야마씨는 예산서를 쓰고서 파산은 없다고 말하고 있는 반면, 시미즈씨는 결산서를 쓰는 도중 무의식적으로 파산을 입증」했다고 말하고 있다. 이는 시미즈와...

      에토쥰은 안보투쟁이후, 「마루야마씨는 예산서를 쓰고서 파산은 없다고 말하고 있는 반면, 시미즈씨는 결산서를 쓰는 도중 무의식적으로 파산을 입증」했다고 말하고 있다. 이는 시미즈와 마루야마가 ‘근대주의’라는 범주에서 자유롭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는 말이다. 에토쥰의 말은 과연 사실일까
      전후 두사람은 ‘20세기연구소’와 ‘평화문제담화회’를 통해서, 적극적으로 평화사상과 민주주의사상을 연구, 보급, 계몽하는 활동을 하게 된다. 그러나, 1950년대를 지나면서 시미즈는 점차 두 단체의 멤버들과는 실질적・정신적인 거리를 두게된다. 그것은 시미즈가 조직내에서의 소외감을 경험하게 되고, 우치나다(内灘)와 스나가와(砂川)에서 미군기지반대운동에 참여하는등 독자적으로 운동을 전개하기 때문이다.
      한편, 기시 노부스케(岸信介)는 50년대말부터 ‘미일안전보장조약’을 개정하려는 음직임을 본격화한다. 하지만 반대운동도 시작되고, 결정적으로 1960년 5월 19일 자민당에 의해 단독으로 체결된 후 6월 18일까지의 한달간은 수십만의 인파가 국회의와 수상관저주변을 점령했다.
      그런데 5월 19일이후 운동의 전면에 서게된 ‘근대주의’ 그룹들의 캐치프레이즈는 ‘안보반대’가 아닌 ‘민주주의’(그 이데올로그중의 한명이 마루야마)로 변해있었다. 하지만 ‘민주주의’는 많은 사람과 그룹을 참가시킨다는 장점은 있었지만, 운동의 성격을 희석시켜버렸다. 안보조약의 자동승인 이후의 승패론에 있어서도, 시미즈의 ‘안보반대’는 ‘실패’를 선언하고 마루야마등의 ‘민주주의’는 성공을 선언한다.
      안보운동이후 마루야마는 ‘근대주의’ 및 ‘보편’와는 반대의 지점인 ‘고층(古層)’이라는 일본의 전통을 발견한다. 시미즈는 ‘19세기’(근대주의, 체계, 대사상)의 사상적인 붕괴를 선언하고, 니힐리즘과 함께 ‘경험’을 맞이한다. 여기서의 ‘경험’은, 첫째, 안보투쟁이라는 직접적인 「경험」을 통해서 얻어졌고, 둘째, ‘무지’ ‘미신’ ‘신화’ ‘야만’ ‘소비’라고 하는 ‘근대주의’로부터 배제되어온 영역을 다루며, 심지어 일본의 역사, 제국주의, 천황제, 핵무기등을 복권시킨다.
      결국 안보투쟁이 남긴 상흔은, 시미즈와 마루야마를 기준으로 한다면, 민주주의적인 것을 상대화하는 방향으로 작용했다고 말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I want to sketch a piece of Ikutaro Shimizu and Masao Maruyama's thoughts First, I describe '20 Century Institute' and 'Peace Rounge', which have been both common workshops. Then I inspect whether Shimizu and anti-U.S. bases movements...

      In this paper, I want to sketch a piece of Ikutaro Shimizu and Masao Maruyama's thoughts
      First, I describe '20 Century Institute' and 'Peace Rounge', which have been both common workshops. Then I inspect whether Shimizu and anti-U.S. bases movements in Uchinada and Sunagawa are connected with.
      Second, I start with the former of 1960's Anti-Security Treaty Movements (ASTM) and trace both works from 5・19 to 6・18, 1960. Subsequently I overview the catch phrases dividing 5・19‘s before and after, Anti-Security Treaty and Democracy. I think that it will help to make both's democracies clear
      Third, I summarize their points at issue. In addition, I double-check the disputes whether ASTM is victory or defeat.
      Fourth, I pursue both's traces of the thoughts following ASTM, and I maintain their connection with ASTM.
      In conclusion, I think that Maruyama has found the Japanese Tradition 'basso ostinato', standing against 'modernism' since ASTM. The start was 'modern', but the terminal was 'tradition'. In the meantime, Shimizu declares the collapse of ‘the 19th century’(modernism, Laws, grand thoughts), and then greets 'experience', which can overcomes 'nihilism'. ‘Experience’ was obtaind through ASTM's experiences, and have treated with the issues(ignorance, myth, savagery, superstion, and consumption as well), which had been ruled out by 'modernism'. Further it liberates the objects(Japanese History, imperialism, the Emperor system, nuclear weapons), which has been a taboo. Namely we can say that sayatisfying the term of Shmizu and Maruyama's the scars which ASTM leaved has worked against 'the democratic'.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