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언어 정보와 얼굴 표정의 정서가 불일치할 때, 3세 아동은 어떤 정보에 주목하여 타인의 정서를 판단할까?: 점화 과제 연구 = Three-Year-Old Children Focus on Emotional Adjectives When Linguistic Context and Facial Expression were Not Congruent: The Priming Task Researc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502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타인의 표정을 인식할 때 함께 제공되는 언어 정보가 정서 인식에 영향을 주는 현상이 관찰되는 연령의 하한계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학령전기 아동을 대상으로 언어 정보와...

      본 연구는 타인의 표정을 인식할 때 함께 제공되는 언어 정보가 정서 인식에 영향을 주는 현상이 관찰되는 연령의 하한계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학령전기 아동을 대상으로 언어 정보와 얼굴 표정을 순차적으로 제시하는 점화 과제를 실시하여 언어 정보에 따른 아동의 정서 인식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연구 대상은 의료기관으로부터 언어장애나 정서발달장애 진단을 받은 경험이 없는 3세 0개월에서 3세 11개월 사이의 아동이었다. 점화과제에서 참가자에게 형용사(예-기뻐요, 슬퍼요)나 정서 상황(예-생일 선물을 받다, 키우던 강아지를 잃어버렸다)에 대한 언어 정보를 청각적으로 제시한 후, 5세 아동의 기쁨 또는 슬픔 표정 사진을 제시하여 사진 속 주인공의 정서를 판단하도록 요청하였다. 언어 정보는 형용사만 제시되는 단순한 언어 정보 조건(예-기뻐요), 정서와 관련성이 높은 상황 정보가 제시되는 구체적 언어 정보 조건(예-생일 선물을 받아서 기뻐요), 정서와 관련성이 낮은 상황 정보가 제시되는 애매한 언어 정보 조건(예-문을 열어서 기뻐요)으로 구성되었으며, 참가자들은 세 가지 조건 중 한 가지 조건에 무선 배정되었다. 모든 참가자들은 언어 정보와 표정의 정서가 일치하는 시행과 불일치하는 시행에서 사진 속 주인공의 정서를 판단하였고, 주인공의 얼굴 표정에 따라 정서를 판단하였을 경우 정답으로, 언어 정보에 따라 정서를 판단하였을 경우 오답으로 처리하여 각 집단 별 점화 과제 점수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모든 언어 정보 집단에서 언어 정보와 얼굴 표정의 정서가 불일치할 때 점화 과제 점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3세 아동이 다양한 상황 간의 정서적 의미의 강도를 비교하는 것을 어려워하지만, 언어적으로 제시된 상황 정보와 얼굴 표정의 정서가 불일치할 때, 얼굴 표정보다는 언어적으로 제시된 형용사로 타인의 정서 상태를 추론함을 보여 준다. 또한, 적어도 생후 3년 이후에서 타인의 정서 인식에 대한 언어 정보의 영향이 관찰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논의에서는, 이러한 결과에 대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된 언어 정보의 구조의 특성, 연령에 따른 정서의 원인에 대한 이해 발달 차이, 3세 아동의 형용사 이해의 용이성 등의 관점에서 설명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정서 및 언어 발달 장애 연구에의 응용에 대해 논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at whether three-year-old children in normal emotion and language development, more focus on linguistic contexts about emotional situations than facial expressions to judge the other’s emotions, expecially when emotions of ...

      This study investigated that whether three-year-old children in normal emotion and language development, more focus on linguistic contexts about emotional situations than facial expressions to judge the other’s emotions, expecially when emotions of the situation and the facial expression are not congruent. Using priming task paradigm, a linguistic context sentence was acoustically presented as primer stimulus, after that, a happy face or a sad face was immediately presented on the monitor as target stimulus. There were three linguistic information groups: a) Simple information(SI)-emotional adjectives, b) Elaborative information(EI)- emotional adjectives with situa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adjectives, c) Ambiguous information(AI)-emotional adjectives with situational information not related to the adjectives. Participants asked to judge the emotional states of protagonists of facial expressions. The priming task score was calculated and compared among groups. As a result, all group’s task score were decreased when emotions of the situation and the facial expression are not congruent. Three-year-old children may struggle to compare emotional intensity of elaborative context and that of ambiguous context. However, sentences of all linguistic context contained emotional adjectives, happy and sad. Hence, it seems that three-year-old children focus on and use the adjectives to infer the other’s emotional state when emotions of the situation and the facial expression are incongruent. In discussion, we discussed the result of the present study in terms of three perspectives: structural feature of the linguistic information, developmental difference on understanding of reason for emotion, and easiness to use emotional adjectives to infer other’s emotional state in three-year-old children. Finally, we suggested that this study could applicate to future investigation to explore how children with emotional and language impairment perceive and recognize the interaction between language and emotion inform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남궁 정, "학령기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정서어휘이해력 특성"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2 강위영, "발달장애 아동을 위한 언어․행동치료의 실제" 교육과학사 2003

      3 정훈영, "감각 자극 양식에 따른 고기능 자폐아의 정서인식 특성"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6 (26): 77-93, 2010

      4 板倉昭二, "感情科学" 京都大学学術出版会 113-141, 2007

      5 森野美央, "幼児期における心の理論発達の個人差, 感情理解発達の個人差, 及び仲間との相互作用の関連" 16 (16): 36-45, 2005

      6 渡辺弥生, "幼児の共感と母親の共感との関係" 34 : 324-331, 1986

      7 平森秀美, "他者の感情を推論する能力の発達" 6 : 71-85, 1990

      8 Denham, S. A., "‘Baby looks very sad’ : Implications of conversations about feelings between mother and preschooler" 10 (10): 301-315, 1992

      9 Peter, M., "When and how do children develop knowledge of verb argument structure? Evidence from verb bias effects in a structural priming task" 81 (81): 1-15, 2015

      10 Friend, M., "What should I do? Behavior regulation by language and paralanguage in early childhood" 4 (4): 161-183, 2003

      1 남궁 정, "학령기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정서어휘이해력 특성"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2 강위영, "발달장애 아동을 위한 언어․행동치료의 실제" 교육과학사 2003

      3 정훈영, "감각 자극 양식에 따른 고기능 자폐아의 정서인식 특성"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6 (26): 77-93, 2010

      4 板倉昭二, "感情科学" 京都大学学術出版会 113-141, 2007

      5 森野美央, "幼児期における心の理論発達の個人差, 感情理解発達の個人差, 及び仲間との相互作用の関連" 16 (16): 36-45, 2005

      6 渡辺弥生, "幼児の共感と母親の共感との関係" 34 : 324-331, 1986

      7 平森秀美, "他者の感情を推論する能力の発達" 6 : 71-85, 1990

      8 Denham, S. A., "‘Baby looks very sad’ : Implications of conversations about feelings between mother and preschooler" 10 (10): 301-315, 1992

      9 Peter, M., "When and how do children develop knowledge of verb argument structure? Evidence from verb bias effects in a structural priming task" 81 (81): 1-15, 2015

      10 Friend, M., "What should I do? Behavior regulation by language and paralanguage in early childhood" 4 (4): 161-183, 2003

      11 Aguert, M., "Understanding expressive speech acts: The role of prosody and situational context in French-speaking 5-to 9-year-olds" 53 (53): 1629-1641, 2010

      12 Spackman, M. P., "Understanding emotions in context : The effects of language impairment on children’s ability to infer emotional reactions" 41 (41): 173-188, 2006

      13 Walker-Andrews, A. S., "The development of social cognition" Psychology Press 161-186, 1997

      14 Jones, D. C., "The development of display rule knowledge : Linkages with family expressiveness and social competence" 69 (69): 1209-1222, 1998

      15 Roberson, D., "The categorical perception of colors and facial expressions : The effect of verbal interference" 28 (28): 977-986, 2000

      16 Taumoepeau, M., "Stepping stones to others’ minds : Maternal talk relates to child mental state language and emotion understanding at 15, 24, and 33 months" 79 (79): 284-302, 2008

      17 Lieberman, M. D., "Putting feelings into words affect labeling disrupts amygdala activity in response to affective stimuli" 18 (18): 421-428, 2007

      18 Lagattuta, K. H., "Preschoolers’ understanding of the link between thinking and feeling : Cognitive cuing and emotional change" 68 (68): 1081-1104, 1997

      19 上野一彦, "PVT-R絵画語い発達検査" 日本文化科学社 2008

      20 Park, Y. H., "Modulation of emotional recognition of facial expression by linguistic context in Japanese preschoolers"

      21 Garner, P. W., "Low‐Income mothers’ conversations about emotions and their children’s emotional competence" 6 (6): 37-52, 1997

      22 Bretherton, I., "Learning to talk about emotions : A functionalist perspective" 57 (57): 529-548, 1986

      23 Barrett, L. F., "Language as context for the perception of emotion" 11 (11): 327-332, 2007

      24 Diéguez-Risco, T., "Judging emotional congruency : Explicit attention to situational context modulates processing of facial expressions of emotion" 112 : 27-38, 2015

      25 Gardner, D., "Japanese children’s understanding of the distinction between real and apparent emotion" 11 (11): 203-218, 1988

      26 Neville, H. F., "Is this a phase? Child development & parent strategies, birth to 6 years" Parenting 2007

      27 Ford, J. A., "Inferring emotional reactions in social situations: Differences in children with language impairment" 46 (46): 21-30, 2003

      28 Joshi, M. S., "Indian and English children’s understanding of the distinction between real and apparent emotion" 65 (65): 1372-1384, 1994

      29 Trope, Y., "Identification and inferential processes in dispositional attribution" 93 (93): 239-257, 1986

      30 Banerjee, M., "Hidden emotions : Preschoolers’ knowledge of appearance-reality and emotion display rules" 15 (15): 107-132, 1997

      31 Gross, D., "False beliefs about emotion : Children’s understanding of misleading emotional displays" 11 (11): 475-488, 1988

      32 Diéguez-Risco, T., "Faces in context : Modulation of expression processing by situational information" 8 (8): 601-620, 2013

      33 Ekman, P., "Emotion in the human face: Guidelines for research and an integration of findings" Elsevier 2013

      34 Pons, F., "Emotion comprehension between 3and 11 years : Developmental periods and hierarchical organization" 1 (1): 127-152, 2004

      35 Halberstadt, J. B., "Effects of emotion concepts on perceptual memory for emotional expressions" 81 (81): 587-598, 2001

      36 Carroll, J. M., "Do facial expressions signal specific emotions? Judging emotion from the face in context" 70 (70): 205-218, 1996

      37 Eskritt, M., "Do actions speak louder than words? Preschool children’s use of the verbal-nonverbal consistency principle during inconsistent communications" 27 (27): 25-41, 2003

      38 Walden, T. A., "Discrimination of facial expressions by preschool children" 53 (53): 1312-1319, 1982

      39 Ekman, P., "Constants across cultures in the face and emotion" 17 (17): 124-129, 1971

      40 Harris, P. L., "Children’s understanding of the distinction between real and apparent emotion" 57 (57): 895-909, 1986

      41 Saarni, C., "Children’s understanding of display rules for expressive behavior" 15 (15): 424-429, 1979

      42 Ridgeway, D., "Acquisition of emotion-descriptive language : Receptive and productive vocabulary norms for ages 18 months to 6years" 21 (21): 901-908, 1985

      43 Friend, M., "A developmental lexical bias in the interpretation of discrepant messages" 46 (46): 342-369, 200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3-22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The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 The Korean Society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KCI등재
      2018-01-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4 1.44 1.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4 1.42 1.763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