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희귀식물 정향풀(Amsonia elliptica (Thunb.) Roem. & Schult.)의 국내분포 및 개체군 크기 = Population Distribution and Size of Amsonia elliptica (Thunb.) Roem. & Schult., Rare Plants of the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139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975년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식물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CITES, Conservation on International Trade in Endangered Species of Wild Fauna and Flora)이 발효됨에 따라 생물종 보전을 위한 국제사회의 활동이 활...

      1975년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식물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CITES, Conservation on International Trade in Endangered Species of Wild Fauna and Flora)이 발효됨에 따라 생물종 보전을 위한 국제사회의 활동이 활발해지고 있고,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은 위협 정도에 따라 등급별로 세계 희귀·멸종위기생물을 목록화(Red Data Book)하여 지구상에 알려진 190만 종 중 16만 종의 평가를 목표로 생물다양성의 감소와 멸종위기에 직면한 종에 대한 자료를 평가·등재하고 있다. 현재 2021년 08월 기준 190만 종 중 약 7.08%에 해당하는 13만 4백여 종이 평가되었으며, 이중 식물 54,127종이 IUCN 적색목록(Red List)에 등재되어 있다.
      희귀생물종(Rare Species)이란 지리적인 분포역에 있어서 생물종이 어떤 제한된 지역에만 생육하는 경우를 가리키는데, 우리나라의 경우 산림청에서 「수목원·정원의 조성 및 진흥에 관한 법률」에 의해 571종을 희귀식물로 지정했으며, 환경부에서는 1994년 이후부터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88종을 멸종위기야생생물로 지정하였다.
      정향풀(Amsonia elliptica (Thunb.) Roem. & Schult.)은 협죽도과(Apocynaceae) 정향풀속(Amsonia)식물로 바닷가의 모래땅이나 들의 풀밭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산림청 국립수목원의 ‘Critically Endangered (CR)’로 지정된 희귀식물로 환경부 멸종위기야생생물 Ⅱ급에 해당한다.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일본과 중국, 북한의 함경북도 칠보산과 황해남도 구월산 등에 출현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특히, 우리나라에는 백령도와 대청도 등 서해안 도서 지역과 완도 등지에 제한적으로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최근 들어 출현지역이 전국으로 확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산림청 희귀식물과 환경부 멸종위기야생생물로 지정된 정향풀의 현지 내·외 보전과 관리방안 마련을 위해 정향풀 개체군의 분포와 특성을 조사·분석하여 향후 정향풀 지속성에 대한 추론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정향풀의 국내 자생지 분포파악을 위해 정향풀 분포에 대한 문헌·표본 DB 및 연구자의 기존 정보 등을 참고하여 국내 자생지 정보를 수집하였고, 명확하게 알려진 인천광역시의 대청도, 백령도, 고흥의 거금도와 본 연구로 분포가 확인된 속초와 완도의 조약도 등 총 5 지역에서 개체군 분포를 확인하였다. 개체군 특성은 백령도 내 자생지 2곳을 대상으로 조사 거리 845.5m 내 정향풀 출현지점 좌표, 해발고 등을 GPS (Oregon 750t, Garmin)를 사용하여 기록하였다. 기록된 출현지점에서 출현 개체와 개화 개체를 현장에서 전수조사하였다. 출현 거리는 기록한 정향풀 출현지점을 기반으로 QGIS 프로그램(QGIS Desktop ver. 3.16.8)을 사용하여 산정하였다. 밀도는 출현 개체 수 대 출현 거리 비로 구하였다.
      백령도 중심으로 조사한 개체군 특성 조사 결과 출현 거리 845.5m 내 정향풀 전체 출현 개체는 5,115개체로 확인되었으며, 밀도는 20.85/m로 산정되었다. 한편, 개체군의 개화율(개화 개체 수 / 출현 개체 수)은 0.6047로 출현 개체의 절반 이상이 개화한 것으로 나타나 생식 생장(reproductive growth)이 활발히 이뤄질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결과는 정향풀의 대표적인 자생지인 백령도만을 대상으로 한 것으로 보다 정확한 정향풀의 보전방안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향후 조사지역을 늘리고, 각 지역 개체군 모니터링을 통해 개체군 지속성에 대한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